•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욕구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2초

빈곤계층의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08년의 변화 비교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or Households)

  • 정원오;이선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305-331
    • /
    • 2011
  • 본 연구는 빈곤가구의 소비패턴이 단일 유형이 아니라 여러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러한 차이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계층을 하나의 소비유형으로 단순화 할 수 없으며,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수품의 목록이 변화하였고, 변화의 양상은 라이프사이클이 상이한 가구원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비패턴의 유형은 여섯가지로 분류되었는데, 각각은 교육비지출형, 식료품지출형, 사회적관계지출형, 교통통신비지출형, 의료비지출형, 주거비지출형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각 소비패턴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곤가구의 경제적 특성보다는 가구특성, 가구주특성, 사회적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빈곤가구의 다양한 욕구를 확인했고, 소비패턴의 영향 요인이 경제적인 요인보다는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한시적인 소득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는 한국의 빈곤정책은 가구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공연예술 수요개발 촉진을 위한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 제안 (The Study For a New Positioning Strategy For the Performance Arts)

  • 박준형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3호
    • /
    • pp.87-1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수요 촉진을 목적으로 "공연예술재화의 소비 혜택과 가치에 대한 새로운 포지셔닝 전략"을 제안한다. 공연예술 소비를 통해 경험하고 즐기고 싶은 "향수(享受)욕구(Wants)"에 집중하는 기존 포지셔닝과 달리 새로운 포지셔닝은 "잠재 소비자들의 최대 공통 관심사인 건강문제 및 자녀교육과 관련된 실용적 욕구(Utilitarian/Should need)"충족에 초점을 맞춘다. 사치재와 기호품으로 여겨진 공연예술 재화에 대해 잠재 소비자들은 이미 실용적 욕구충족을 기대하고 있으며 기존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 관람의"교육 및 치료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기에 실용적 가치에 대한 포지셔닝 전략의 성공 가능성은 높다. 또한 사치재의 성격이 강한 공연예술은 낭비 인식과 죄책감으로 소비회피의 가능성이 높지만 실용적 욕구를 만족시키는"실용적 가치의 포지셔닝"은 낭비인식과 죄책감을 줄여주며 소비의 정당화가 용이하다는 소비 정당성 측면에서도 "향수적 가치의 포지셔닝" 대비 우월한 수요개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새로운 포지셔닝 전략은 교육, 가격장벽 완화, 문화복지 실현과 같은 기존 수요개발 전략의 고유효과를 유지하면서 수요개발 효과 측면의 한계점을 개선하는 보완전략으로 본 전략의 성공을 위해서는 공연예술 마케팅 정책 관련자들의 공연예술 재화의 소비가치에 대한 관점의 혁신적 변화와 함께 과감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투자가 필요하다.

화장품 소비욕구가 구매동기, 브랜드 만족, 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smetic Consumption Need on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Attachment, and Loyalty)

  • 이진;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82-893
    • /
    • 2013
  • This study provides an efficient marketing strategy for the cosmetic market by analyzing the effect of consumer desire on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The research conducted a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for adult women (from 20 years to 60 years) who purchased cosmetic items within 6 months. A total of 463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consi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Customer cosmetic consumption need had six factors: exhibition need, safety need, need to look younger and to pursue beauty, need to go along with others, eco-friendly need, and pleasure need. The buying motive had four factors: others-oriented motive, motive to keep skin healthy, economic motive, and motive to change products. The causality model showed that customer consumption need influenced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effects on buying motive for brand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In addition, there were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sumption need and brand loyalty. The pursuit for pleasure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brand loyalty.

안경디자인에 있어서 전통문양의 문화적 의미 연구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Pattern in the Eyewear Design)

  • 김대년;장준영;이경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17
    • /
    • 2008
  • 목적: 안경의 기능이 점차 문화적, 심리적, 사회학적 측면으로 확대 되는 점에 주목하고, 그러한 요구에 맞는 디자인을 위해 전통문양을 접목하는 방법 연구. 방법: 전통문양의 상징성을 이해하고, 그 중에서 세계적인 보편성을 지닌 팔메트 문양 넝쿨장식문양 등의 문양연구와 전통재료기법의 하나인 자수기법, 조각보 기법 등을 안경의 템플과 안경 클리너 등에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 세계화는 문화의 교차적 소비현상을 빠르게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보편성위에 그 민족의 미적 특질이 잘 드러난 전통문양을 활용한 안경디자인은 오히려 세계 시장의 이러한 속성에 적응하여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자원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문양 및 전통기법을 활용하여 현대화함으로써 안경 디자인의 문화적 가치를 발견하고, 현대 소비자의 문화적 욕구와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였다. 결론: 안경은 소비자의 사회적 지위를 표상하고, 현재의 심리적 언어로써 하나의 스타일을 표현해내는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전통문양을 활용한 안경디자인은 소비자의 문화적 소비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기존의 안경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서구 문화중심의 디자인 개념을 동양적인 미감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 PDF

뮤지컬 반복관람자들의 소비가치와 혜택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Rpeat Audiences of Musical of Consumer Vlue and Benefits Based on Satisfaction Research)

  • 박다인;김대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26
    • /
    • 2014
  • 본 연구는 뮤지컬 반복관람자들의 소비가치가 반복관람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혜택이 소비가치와 만족간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의 예술적 취향이나 기호를 충족하기 위해 관람하는 사람들은 혜택에 상관없이 반복관람에 만족하고 타인의 권유나 사회적 욕구를 위해 반복적인 관람을 한 사람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통해 반복적으로 관람하는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전략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irport Passenger's Perceived Innovativeness Explaining the Effect of Pursuit Benefits on Intention of Adoption-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Need for Structure -

  • Yin-Nan Li;Jong-Duk Jeon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7-11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항 내 혁신시설에 대한 공항이용객의 평가를 통해 혁신적 서비스 양상과 기틀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행동의 관점에서 공항이용객의 추구 혜택, 지각된 혁신성, 수용 의도, 구조화에 대한 욕구 등 4가지 개념의 이론에 근거하여 수행되었다. 공항의 혁신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99명 성인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5일부터 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항이용객의 추구혜택과 수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공항이용객의 지각된 혁신성의 매개효과 및 공항 이용객의 추구혜택과 지각된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구조화에 대한 욕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항이용객의 추구 혜택은 수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혁신성은 수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항 이용객의 욕구에 근거하여 혁신적인 기능을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소비가치와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을 매개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s' Need for Cognition on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Online Shopping Websites)

  • 이윤선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4호
    • /
    • pp.99-111
    • /
    • 2023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과거와는 다른 현상으로 변화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즉,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커머스(e-commerce)의 이용이 확대되고, 모바일커머스, 소셜커머스 등 다양한 형태의 커머스가 형성화되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과 의사결정과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소비가치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의해 소비자의 지각된 동기수준에 기반하여 변화된 행동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즉, 소비가치와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의 매개역할로 온라인 웹사이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의 감각적 가치뿐 아니라 실용적 가치는 웹사이트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특히 실용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감각적 가치보다 더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만, 소비자의 인지욕구와 만족도 간에는 부(-)의 관계를 단측검증 하에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설 2에서는 2-1인 소비가치 중 실용적 가치 만이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을 매개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웹사이트의 만족도에 소비가치 중 실용적 가치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소비가치가 감각, 감정에 기반하는 가치뿐 아니라 실용적 소비가치가 더 큰 영향력을 가졌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따라서 소비자가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신뢰성을 기반으로 매개역할을 한다면 실용적 가치와 인지욕구가 만족도에 더욱 강하게 영향력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으로 소비를 하게 된 현 시장의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행동 이해와 주요 요인들을 기반으로 온라인 웹사이트의 관리 및 운영 전략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 수준에 따른 쾌락재와 실용재의 선택: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pensit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ression management on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Focusing on Kakao Talk mobile gift-giving)

  • 김하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7-125
    • /
    • 202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 수준이 모바일 선물하기에서 쾌락재와 실용재 간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메신저 선물하기에서 제품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인상관리 수준에 관계없이 모바일 선물에서 실용재보다 쾌락재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한편 과시적 소비를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인상관리 수준이 낮을 때에는 모바일 선물에서 쾌락재보다 실용재를 더 선택한 반면 인상관리 수준이 높을 때에는 실용재와 쾌락재 간 선택에 차이가 없었다. 모바일 선물 제품, 특히 쾌락재 마케팅에서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를 고려한 전략을 이용하는 것은 도움이 될 것이다. 광고는 소비자의 인정 욕구나 과시 욕구를 이용하여 소구할 수 있다. 나아가, 연령대를 확장하고 선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