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변 처리기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다중센서를 적용한 자동배변처리기용 제어기 설계 (Controller Design for Automatic Evacuation Disposal System with Multi-sensors)

  • 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1-77
    • /
    • 2011
  • 이 논문은 장기요양환자의 배변 간병에 사용하는, 흡입, 수집, 세정 그리고 건조가 가능한 자동배변처리기용 제어기의 설계를 제안한다. 자동배변처리기는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고, 간병인의 최소 노력만으로도 배설물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센서를 채택하여 대변과 소변의 분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분리된 배설물은 각각 정해진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효율적 배변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인공 대변과 소변을 이용한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자동배변처리기와 제어기가 효율적인 배변 간병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인다.

스마트 자동 소변처리기의 기능적 융복합요소와 사용범위의 사용성평가 (Functional Convergence factor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Range of Use of The Smart Automatic Urine Disposer)

  • 김선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1-38
    • /
    • 2021
  • 최근 일반인의 배뇨활동에 도움을 주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배뇨 습관과 기능, 사용자의 접근성 등을 고려한 제품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배뇨활동에 도움을 주는 장치 중 자동 석션 기능 등 융, 복합 기능을 지니고 있는 스마트 자동 소변처리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만족도와 제품의 개선점을 찾고자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사용성평가 지표는 모두 21개이며, 안전성과 조작성, 만족도를 기준으로 개발하였다. 그 결과 기능적인 만족도는 높았으나, 디자인 측면에서는 손잡이 등의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자동 소변처리기의 성능측면의 만족도가 제품을 대표할 수 없으며, 제품의 문제점을 찾기 위한 사용성평가 지표 개발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자동배설처리기 기술 및 상품화 현황 (Technical and Commercialization Status of Urine and Feces Disposal Systems)

  • 고은주;박상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9-175
    • /
    • 2015
  • 자동배설처리기는 현재 배뇨 혹은 배변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게 사용되고 있는 기저귀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장치들은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하고, 본체에서 운반된 세정수로 배설기관들을 씻어주고, 이 배설물을 본체의 오물 저장용기에 흡입하여 보관하였다가 버릴 수 있도록 하며, 배설기관 주위를 본체에서 공급하는 온풍으로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들은 간병인의 수고를 경감시키고 환자의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변과 대변을 감지하는 장치와 자동배설처리기의 주요 구조를 살펴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배설처리 장치들을 기기별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자 하였다.

  • PDF

1.5T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수소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모델용액 내 포도당의 정량분석 및 임상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이경희;이정희;조순구;김용성;김형진;서창해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3-173
    • /
    • 2001
  • 목적: 1.5T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한 수소자기공명분광법으로 용액 내 물질의 정량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0.01%에서 50%까지의 여러 농도를 갖는 포도당+증류수 혼합액의 모델용액을 만들어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와 시험관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분광기에서 각각 수소 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 또한 12명의 당뇨환자에서 방광내의 소변에 대해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스펙트럼을 얻고 소변을 추출하여 시험관 NMR 분광기에서 수소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얻은 스펙트럼 상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포도당/물 피크의 면적 비의 변화를 구하였고,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회귀식을 산출하였다. 또한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가 객관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험관 NMR 분광기에서 얻은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고주파 유도경화처리한 중탄소강의 회전접촉 피로거동에 미치는 탄소함량의 영향 (Influence of Carbon Content on Rolling Contact Fatigue of High Frequency Induction-Hardened Medium Carbon Steels)

  • 최병영;이동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9호
    • /
    • pp.744-74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경화처리한 중탄소강의 회전접촉 피로거동을 0.44wt.%C강과 0.55wt.%C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회전접촉 피로시험은 Polymet RCF-1 시험기에서 탄성유체 윤활 조건으로 회전속도 8,000rpm, 최대 Hertz응력 492kg/m$m^2$을 가하면서 실시하였다. 미세한 lath마르텐사이트가 고주파 유도경화한 0.44wt.%C강과 0.55wt.%C강의 표면경화층에 형성되었고 소량의 페라이트가 일부 형성되었으며 0.44wt.%C강과 0.55wt.%C에 비해 비교적 큰 페라이트가 나타났다. 회전접촉 피로시험 후 표면경도가 거의 유지되는 표면경화층에서 회전접촉 피로시험전에 비해 경도가 상승하였다. 이 경도증가량의 최대치($\Delta$ Hv$_{max}$)와 피로수명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0.55wt.%C강이 0.44wt.%C강에 비해 회전접촉 피로중에 일어나는 소변형에 대한 높은 저항성에 주로 기인하여 $\Delta$ Hv$_{max}$값은 낮게 나타나고 피로수명은 높게 나타났다.

  • PDF

반려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캣타워 (Intelligent cat tower that provides cat care services)

  • 김성경;이효정;장윤희;김인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52-75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고양이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건강 질환을 예방하여, 반려묘를 기를 때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려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캣타워'를 제안한다. 지능형 캣타워는 첫째, 고양이 나이·품종·체중에 따라 발판 높이를 조절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관절염을 예방한다. 둘째, 캣타워에 설치된 로드셀·암모니아·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고양이의 체중, 소변, 식사량, 운동량을 측정한다. 셋째, 캣타워는 측정한 수치를 바탕으로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사료 종류와 급여량 등을 조절하여 비만, 신장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체중 변화 측정을 통한 남성 배뇨량 추정 방법 연구 (A Study on Urination Amount Estimation for the Male by the Measurement of Body Weight Difference)

  • 임용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7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무구속, 무간섭으로 장기간의 건강 모니터링의 기술 개발의 기초 연구로서 남성의 배뇨 중의 체중 변화를 측정하여 배뇨량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배뇨 중의 체중 변화 측정은 로드셀 (load cell)을 이용하여 넓은 체중 측정판을 만들고, 이 판을 소변기 또는 좌변기의 앞에 놓았다. 남성이 체중 측정판 위에 올라가 서서 배뇨를 하는 동안, 남성의 체중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배뇨 전과 배뇨 후의 체중의 변화를 계산하여 그 체중 변화 즉 감소량으로 배뇨한 소변량을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배뇨 중에 발을 옮기거나 급격히 몸의 자세를 바꾸지 않는다면 체중의 감소로 소변량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최대 약 40g 정도의 오차를 보였는데, 이 결과는 일상생활에서의 건강 모니터링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일반 가정에서의 실용적인 무구속 무간섭 건강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일본의 복지용구 품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Welfare Assistive Devices In Korea and Japan)

  • 정현우;염호준;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05-411
    • /
    • 2022
  • 2008년에 시작된 한국의 노인 장기요양보험은 그보다 8년 먼저 시작된 일본의 개호보험을 원용한 것이다. 양국은 노인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적 정신적으로 약화된 노인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용구 급여제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복지용품 품목과 일본의 복지용품 품목을 비교·검토하여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한국은 배회감지기, 자세변환용구, 요실금팬티 등이 일본보다 앞서서 복지용구로 등록되었으며 일본은 자동소변처리기, 휠체어 전동보조장치, 체위변환기, 이동용 리프트 등이 한국보다 먼저 복지용구로 지정되었다. 또한 일본 후생노동성은 배설예측지원기기의 복지용구 지정을 예고한 상태이다. 한국과 일본이 복지용구 품목들을 발전 시키기 위하여 협력한다면 초고령사회에 양국의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본태성 고혈압쥐와 정상쥐의 혈압과 미네랄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izikia Mineral Salts on Blood Pressure and Mineral Metabolism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and Normotensive Rats)

  • 김영명;변지영;한찬규;성기승;남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03-209
    • /
    • 2009
  • 본 연구는 톳유래의 무기성분강화염이 혈압과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처리는 고 저 염식군(Hizikia mineral salt)과 대조군(정제염)의 세가지 처리군으로 하였고, 실험동물인 본태성 고혈압쥐(SHR/NCrj)와 정상쥐(WKY/NCrj)에 음용수의 형태로 식염을 급여하였다. SHR에서는 시험 6주째 수축기혈압(SBP)이 C군보다 고 저염식군(A, B)이 각각 17,24 mmHg 낮았고, 기준혈압(RBP)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2, 4, 21%로 B군이 가장 낮았다. WKY의 경우 시험 6주째 SBP는 A군과 C군에서 각각 165, 164 mmHg인 반면, B군은 148 mmHg로 훨씬 낮았다. RBP 대비 시험 6주째 혈압의 상승율은 A, B, C군에서 각각 17, 7, 19%로 B군이 가장 낮았다. 소변과 분변 중의 미네랄은 SHR/WKY 종에서 무기 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Na^+$ 함량은 유의하게 낮았지만 $K^+$함량은 무기성분강화염군이 정제염군보다 유의하게 또는 대체로 높았다. 소변과 분변 중 미네랄함량은 다소간 차이가 있었지만 대변보다 소변으로 더 많이 배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경우 SHR은 $K^+$을 제외한 $Na^+$, $Ca^{++}$$Mg^{++}$ 함량은 무기성분강화 염군보다 대조군이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WKY에서 $Na^+$ 함량은 고염식군(A)이 가장 높았고, 신장에서 SHR의 $Na^+$ 함량은 정제염군이 무기성분강화염군보다 높았지만 WKY에서는 오히려 A군과 B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K^+$ 함량은 저염식군(B)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톳유래의 저염식은 $Na^+$ 함량은 낮추고 $K^+$ 함량은 높이는 등의 체내 미네랄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혈압상승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