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방시스템

Search Result 71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n Regard to Reforming of Fire-Fighting Equipment Verification System (동향소개 - 소방검정시스템 개편에 대하여)

  • Kim, Young-Geu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5
    • /
    • pp.52-62
    • /
    • 2013
  • 2012년 2월 5일을 기점으로 하여 소방검정 시스템에 대하여 전반적인 변화가 있었다.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시행과 동시에 행정안전부령인 "소방용 기계 기구의 형식승인 등에 관한 규칙"이 "소방용품의 품질관리에 관한 규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제품검사방법에 제조업체에서 유통 전에 생산시마다 검사하는 생산제품검사와 제조업체의 품질관리에 따라 검사하는 품질제품검사를 도입하는 등 소방검정시스템이 크게 바뀌었으며 이에 따른 주요 변경사항과 소방검정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테마파크의 소방.방재.안전.감시시스템

  • Takao, Shigeki;Nakano, Nobuhiko;Motomura, Masanori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2
    • /
    • pp.77-87
    • /
    • 2003
  • 본고에서는 테마파크내의 이용객의 안전 지원시스템인 소방·재해방지·안전·감시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한다. 소방·방재설비시스템에서는 소방용 설비 및 본격 소방활동 지원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소개한다. 그리고 각 시설의 방재정보를 집중 감시하는 종합 방재 정보시스템과 소방서에 의한 24시간 체제의 방화관리·운영체제 및 이용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테마파크 특유의 쇼·라이드설비와 방재설비 관련에 대해서 소개한다. 또한, 정보·감시시스템에서는 파크전체의 정보를 감시하는 BMS(빌딩 매니지먼트 시스템), 정보통신 시스템, 안전 시스템 등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U-지역소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 Yun, Hyeong-Uk;No, Sam-Gyu;Ham, E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93-94
    • /
    • 2013
  • 현재 국내에는 소방대상물들의 그 수가 많아, 제도적인 관리 감독하기에 어려워 이를 통합관리 하기 위한 U-지역 소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건물화재안전 상태지수, 즉 건물화재 대응능력지수와 소방대 화재대응능력지수의 곱으로 산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지역 내 소방대상물들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방대상물들의 관리와 대응이 보다 효율적인 통합관리 체계가 이룰 수 있다.

  • PDF

System Design for Ubiquitous Building Fire Safety Management Standard System (유비쿼터스 건물화재안전관리 표준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계)

  • Kim, Jong-Hoon;Roh, Sam-Kew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586-591
    • /
    • 2009
  • U-건물 화재안전관리 표준 시스템은 건물 내 화재의 예방, 시스템관리, 비상대응, 비상 상황 관리를 실시간으로 운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화재안전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즉, 건물 내의 화재 발생이전 예방, 소방시스템의 유지관리, 비상대응 계획의 수립, 교육훈련 수행과 화재발생시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개념의 Ubiquitous-Building Fire Safety System을 만드는 것이다. U-건물화재관리 표준시스템의 개발목표는 건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에서 나오는 실시간 상황정보를 소방관서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진행된 시스템의 설계는 화재이전과 화재이후로 나누어 4개의 단위시스템으로 구성하고, 각 건물별 정보를 취합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총 5개의 단위시스템으로 하나의 U-건물화재관리 표준시스템을 구성하는 설계를 진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ex for Ubiquitous Building Fire Safety System - Focused on Sprinkler System - (유비쿼터스 건물 화재안전시스템을 위한 성능지수 개발 -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중심으로 -)

  • Kim, Jong-Hoon;Roh, Sam-Kew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2-597
    • /
    • 2009
  • 실시간으로 건물의 소방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는 어느 부분에서 이상상태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그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되었기 때문에 부분적, 그리고 전체적으로 화재안 전성능수준이 얼마나 하락되었는지를 나타 낼 수 있는 성능지수의 계산 체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성능지수의 체계는 정보를 받아보는 사람들이 시스템에서 발생된 이상이 전체적인 안전수준 하락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건물의 화재안전수준을 나타내는 효율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대역규모의 소방 관리에서도 활용도 높은 지수로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본 지수 산정체계는 U-건물 소방방화시설관리 운용시스템의 성능 효율지수 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Fosterage Finance Cooperative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ire Protection Industry (소방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금융공제시스템 육성에 관한 연구)

  • Jung, Ju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97-108
    • /
    • 2010
  • Recent patterns of diversification of a disast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arger trend, quick and efficient response to disaster prevention, to increase the importance and role of advanced equipment and technology of fire protection industry is becoming more, over market size 11 trillion won and 10 million workers in industries of national importance, but to exceed, As most SME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re backwardness. Therefore, in this study clos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protection industry analysis, the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models of the finance cooperative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ire protection industry and provider the fosterage, they will contribute to independent economic activity and industrial development for operators to use the finance cooperative system of fire protection industry.

Development of U-Building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U-건물 화재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 Kim, Jong-H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1
    • /
    • pp.74-80
    • /
    • 2016
  • Ubiquitous computer technology (U technology) is continually, and the trend is moving towards the miniaturization of devices, cost reduction, performance enhancement, and intelligen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fire safety system by the application of advanced IT technologies. In this study, a vulnerable point in fire safety was selected for improvement by U technology. The structure of the whole system and a unit system was were designed. This system is divided into 5 parts: the U-fire protec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U-fire safety information system, the U-fire safety education system, the U-fire response system, and the U-wide area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prototype system was constructed in a real building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A Study on the Safety Security of Emergency Power for Fire Fighting (소방용 비상전원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 Lee, Won-Kang;Choi, Chung-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33-1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방용 비상전원 안전성 확보에 관한 것으로서, 과부하 조건 회피를 위한 인터록 시스템 및 기타 방법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최근 제도적으로 도입된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의 자가발전설비에서 어느 한쪽의 용량으로만 택일하여 설치할 경우 정전 및 화재 발생 시 발전기 용량 초과로 비상전원 공급 중단과 소화설비의 미작동의 위험이 초래된다. 소방시설에 비상전원의 안전한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는 과부하에 도달되면 소방전원보존용 컨트롤러에서 신호를 발신하여 소방부하는 남겨두고 비상부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고, 소방부하에 비상전원이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그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특징을 가진 시스템이다. 소방 안전을 확보하는 제도는 안전을 위한 행정적인 절차와 기준을 지킴으로써 기술적인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에는 확인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임의의 구두 진술로나 이와 다름없는 임의적인 서류로만 인정할 수는 없는 것이며, 그럴 경우 제도에 의한 소방 안전 확보의 보장성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 PDF

Design of Integrated Smart Fire Protection System for Rack Storage (랙크식 창고 통합 스마트 화재대응 시스템 설계)

  • Kim, Jong-Hoo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1
    • /
    • pp.26-36
    • /
    • 2020
  • It is very difficult to suppress fire by rapid flame spread through flue space between flammable commodities on the rack when a fire occurs in the rack storage. At present, the fire protection system for rack storage in Korea has many issues, and the new fire protection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it. A smart system using the sensor network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as designed to detect fire very rapidly and track the location of a fire. In the very early stages, the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vertical open sprinkler pipes, wet pipes, and solenoid valves to allow water to spray near fire locations. Based on the design results, the system was installed and tested, and the full-scale test was successfully completed.

A Study on the Seismic Design for Water Exthinguishing Piping Systems (수계 파이프 시스템의 내진설계에 관한 연구)

  • Lee, Dong-My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1
    • /
    • pp.10-15
    • /
    • 2008
  • In this study, seismic design in sprinkler head pipeline of water extinguishing system has been carried out. This study describes a generation of artificial earthquake wave compatible with seismic design spectrum, and also analyzed the dynamic response spectra by the simulated earthquake motion. This study constructed powerful engineering base for seismic design, and presented seismic design techniques of water and gas extinguishing piping system. Also, this study readied basis that can apply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estimation of fire fighting system and performance rating as well as pipeline of water extinguishing system from result of this research. Hereafter, if additional research by earthquake magnitude and ground kind is approached, reliance elevation, safety raising and performance based design of fire fighting system see to achi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