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문(素門)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소문대요(素問大要)" 연구(硏究)

  • 전초진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3
    • /
    • pp.432-438
    • /
    • 2006
  • ${\ulcorner}$소문대요(素門大要)${\lrcorner}$는 한국의 이규준(李圭晙)이 편저한 중의문헌과 임상이론이 결합된 중요한 저작물이다. 이 책은 광무갑진팔년(光武甲辰八年)(1904년) 음력 3월 16일에 완성되었고, 광무병오(光武丙午)(1906년) 초여름 밀양(密陽) 금천(琴川)에서 조판간행(雕版刊行)되었다. 이 책의 저자인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1855-1923)은 경상북도 영일군 사람으로 ${\ulcorner}$소문(素問)${\lrcorner}$ 뿐만 아니라 ${\ulcorner}$영추(靈樞)${\lrcorner}$ ${\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 ${\ulcorner}$금궤요략${\lrcorner}$ ${\ulcorner}$잡경(難經)${\lrcorner}$ ${\ulcorner}$맥경(服經)${\lrcorner}$ 및 김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저작 등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연구를 하였다. ${\ulcorner}$소문대요(素門大要)${\lrcorner}$의 중요 공헌은 ${\ulcorner}$소문(素問)${\lrcorner}$의 중요 문장을 회집(匯集)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규준(李圭晙) 자신의 의학이론과 임상사상이 표현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규준(李圭晙)은 ${\ulcorner}$소문(素問)${\lrcorner}$의 여러 편(篇) 가운데 특히 ${\ulcorner}$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lrcorner}$의 문장을 통해 '양비급고(陽秘乃固)'의 사상을 중요시 하여, 양기(陽氣)의 작용을 강조하면서 '양상유여음상부족(陽常有餘陰常不足)'의 편면성(片面性)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가 제시한 이론은 바로 '부양론(扶陽論)'으로, 그는 ${\ulcorner}$내경(內經)${\lrcorner}$ 십팔권(十八卷)의 내용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양밀급고(陽密乃固)'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그가 ${\ulcorner}$소문대요(素門大要)${\lrcorner}$를 저술하면서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것은 명대(明代)에 간행(刊行)된 고종덕목(顧從德本)이라고 할 수 있다. 이규준(李圭晙)은 고종덕목(顧從德本)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ulcorner}$소문(素問)${\lrcorner}$의 문장을 해석하였고, 아울러 교감(校勘)을 병행하였는데 그의 교감법(校勘法)은 일정한 판본(版本)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ulcorner}$소문(素問)${\lrcorner}$ 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교감(校勘)을 하였다. 또한 그는 훈고학 방면에서도 일정한 식견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ulcorner}$소문대요(素門大要)${\lrcorner}$ 는 간행본(刊行本)과 수초본(手抄本)이 유행되고 있는데, 수초본(手抄本)의 경우 와전(訛傳)된 글자가 많으니 간행본(刊行本) 및 ${\ulcorner}$소문(素問)${\lrcorner}$의 원문과 대조하여 잘못된 글자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 PDF

金刻本 "素問" 楬秘 (금각본(金刻本) "소문(素問)"에 대하여)

  • 전초진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7 no.4
    • /
    • pp.81-88
    • /
    • 2004
  •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 24권에서 1권이 망실(亡失)되었다. 금각본(金刻本)은 지금 권3에서 권5, 권11에서 권20이 현존하고 있고 1권이 망실(亡失)되고 모두 13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의 권3앞 페이지의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 제목밑에 "국립북평도서관수장(國立北平圖書館收藏)"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는데, 이는 바로 1949년전에 원래 국립북평도서관(國立北平圖書館)(지금은 북경도서관(北京圖書館)으로 이름을 바꾸었음)에 수장(收藏)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도서관(圖書館)에서는 이 책의 갈피에 다음과 같은 감정(勘定)문자를 적어 놓았다. "황제내경 소문(黃帝內經 素問)24권에서 l권이 망실(亡失)되고 13권이 보존되어 있는데 권3에서 권5까지, 권11에서 권18까지, 권20이다. 망실(亡失)된 편장(篇章)이 있다. 당대(唐代)의 왕빙(王冰)이 주석을 달았다. 금각본(金刻本) 5책(冊)이 있다." 왕빙(王冰)이 편차(編次)하고 주역(註譯)을 단 "소문(素問)"(즉 왕빙본(王冰本))은 모두 24권인데 그 당시에 이미 권7인 "자법론(刺法論)", "본병론(本病論)"이 망실(亡失)된 상태이다. 현존(現存)하고 있는 "소문(素問)" 금각본(金刻本)은 그 분량이 비록 왕빙본(王冰本)의 1/2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양(量)으로 판정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소문(素問)" 판본학(版本學), 교감학(校勘學) 및 "소문(素問)"석음(釋音)의 연구에 있어서 모두 엄청난 가치를 지닌다. 현존(現存)하고 있는 금각본(金刻本)13권은 "소문(素問)"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 된 각본(刻本)이다. 이 책은 비록 중국의서목록(中國醫書目錄)에 기재되어 있지만 중국에서 간행(刊行)된 적이 없고 의서문헌(醫書文獻)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이 책에 대하여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다. 금각본(金刻本)과 "중광보주황제내경소문(重廣補注黃帝內經素問)의 가장 다른 곳은 석음(釋音)부분이다. 금각본(金刻本)은 석음(釋音)이 비교적 많고 글자 밑에 훈고(訓詁) 또한 많다. "중광보주(重廣補註)"본(本)은 석음(釋音)이 비교적 적고 글자 밑에 훈고(訓詁)가 거의 없다.

  • PDF

유완소(劉完素)의 방제학설(方劑學說) 및 임상경험(臨床經驗)에 관한 연구(硏究) -"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을 중심(中心)으로- 관어류완소적방제학설급임상경험적연구(關於劉完素的方劑學說及臨床經驗的硏究) -"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위핵심(爲核心)-

  • Jeong, Seong-Chae;Jang, Hui-Uk;Park, Hyeon-Guk;Lee, Byeong-Uk;Kim, Gi-Uk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8 no.4 s.31
    • /
    • pp.101-119
    • /
    • 2005
  • 금원사대가적태두류완소(金元四大家的泰斗劉完素), 1110년생어하북성하간현(年生於河北省河間縣), 졸어(卒於)1200년(年), 향년(享年)90세(歲). 타통과연구(他通過硏究)${\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화(和)${\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 저술료(著述了)${\ulcorner}$소문현기원병식(素問玄機原病式)${\lrcorner}$,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 ${\ulcorner}$소문병기기의보명집(素問病機氣宜保命集)${\lrcorner}$, ${\ulcorner}$상한표본심법류췌(傷寒標本心法類萃)${\lrcorner}$, ${\ulcorner}$상한직격론(傷寒直格論)${\lrcorner}$등저작(等著作). 령외, 응용운기대이론진행연구(應用運氣對理論進行硏究), 주장(主張)‘화열론(火熱論)’, 제출이한량약물치료질병적방법, 사금원시대재의학상(使金元時代在醫學上), 형성료백가쟁명적국면(形成了百家爭鳴的局面). 필자통과대류완소적방제학설급임상경험적연구(筆者通過對劉完素的方劑學說及臨床經驗的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재방제학설상(在方劑學說上),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중(中), 기사용적(其使用的)${\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화각가급기제자문운용방제(和各家及其弟子們運用方劑), 공포괄(共包括)366개(個). 대부분주장료이용신고적한약(大部分主張了利用辛苦的寒藥), 래개통울결(來開通鬱結), 조습제열(操濕除熱). ‘상복보양(常服保養)’시인위여기소거주적중국북방(是因爲與其所居住的中國北方), 기후건조(氣候乾操), 인문다식습성강(人們多食濕性强), 차교표한적식물(且較標悍的食物), 소이유사인체장위비조적경향(所以有使人體腸胃秘操的傾向).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적(的)366개방중(個方中), 유산제(有散劑)126개(個), 탕제(湯劑)87개(個), 기중(其中), 지유(只有)18개방가칭지위진정적탕제, 기여도접근위자산(其餘都接近爲煮散). ${\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중소나열적주요방제유(中所羅列的主要方劑有)‘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삼화신우환(三花神佑丸)’, ‘쌍해산(雙解散)’,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 ‘대금화환(大金花丸)’, ‘익원산(益元散)’, ‘대건중탕(大建中湯)’, ‘당귀룡담환(當歸龍膽丸)’, ‘비방다주조산(秘方茶酒調散)’, ‘계령감로산(桂零甘露散)’, ‘천궁석고탕(川弓石膏湯)’, ‘전성산(全聖散)’, ‘지유탕(地楡湯)’, ‘인참산(人參散)’, ‘작약탕(芍藥湯)’, ‘내통황연탕(內統黃連湯)’, ‘신궁환(神芎丸)’, ‘도환산(倒換散)’등(等). 재임상경험상(在臨床經驗上), 류씨유풍부치료경험(劉氏有豊富治療經驗), 단시유감적시몰유전하일부관우의안방면적저작(但是遺憾的是沒有傳下一部關于醫案方面的著作). 재질병적치료상(在疾病的治療上), 가간출기유독창적견해(可看出其有獨創的見解), 저일점도견우(這一點都見于)${\ulcorner}$소문현기원병식(素問玄機原病式)${\lrcorner}$등이론저작(等理論著作), 우기산견어(尤其散見於)${\ulcorner}$황제소문선명론방(黃帝素問宣明論方)${\lrcorner}$중(中).

  • PDF

"소문령추류찬약주(素問靈樞類纂約註)"에 대한 연구(硏究)

  • Yu, Ho-Gyun;Kim, Yong-Ji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8 no.3 s.30
    • /
    • pp.55-69
    • /
    • 2005
  • 소문령추류찬약주시대청대왕묘소저내경적주석서(素問靈樞類纂約註是對淸代汪昴所著內經的注釋書), 경과대차서적연구득출이하결론(經過對此書的硏究得出以下結論): 소문령추류찬약주대과거착오적주석내용진행료수정(素問靈樞類纂約註對過去錯誤的注釋內容進行了修正), 노력사내경지원의적용어임상(努力使內經之原意適用於臨床), 차대기초이론급임상적발전대래료흔대영향. 소문영추류찬약주중(素問靈樞類纂約註中)‘목위심규(目爲心竅)’주장(主張), 시여이시진적(是與李時珍的)‘뇌위원신지부(腦爲元神之府)’화주앙적(和注昻的)‘인지기성재어뇌(人之記性在於腦)’적기술일양(的記述一樣), 도시대청대관어뇌적이론지발양중매출적제일보(都是對淸代關於腦的理論之發揚中邁出的第一步), 대한의학중완선뇌적이론작출료거대적공헌(對韓醫學中完善腦的理論作出了巨大的貢獻). 재설명운기학설적항해승제론적동시(在說明運氣學說的亢害承制論的同時), 환주장생극관계시운기학적근본내용(還主張生剋關係是運氣學的根本內容), 기제우화시차조오운지리조화인류여육기적련계(旣制又化是借助五運之理調和人類與六氣的聯係), 인차주장차위고성인재저작경전중연구화여육적동기(因此主張此爲古聖人在著作經典中硏究化與育的動機), 성료정개운기학설적요점혹중심내용(成了整個運氣學說的要點或中心內容). 대난해적자사혹경구적주해중적난점(對難解的字詞或經句的註解中的難點), 통과종합인용불가(通過綜合引用佛家), 유가(儒家), 도가등사상진행료설명(道家等思想進行了說明), 종이사지능유지료기객관성(從而使之能維持了其客觀性).

  • PDF

이사람-아버지,어머니,아들,며느리가 함께 빵만드는 안동 소문난제과점

  • Korean Bakers Association
    • 베이커리
    • /
    • no.2 s.319
    • /
    • pp.54-56
    • /
    • 1995
  • 안동에 있는 소문난 제과점은 상호만큼이나 친근한 것이 많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빵을 만들고 아들은 양과자를 만든다. 그리고 며느리는 케이크를 만들고, 함께 빵을 만든다는 일이 그들을 가족 이상으로 묶어준다는 느낌이다. 서로를 아껴주는 그들의 사랑이 녹아 빵맛이 더욱 좋은 그곳을 찾았다.

  • PDF

"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 나오는 오미상(五味傷)에 대한 태소본(太素本)과 왕빙본의 비교(比較) 연구(硏究) "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중관우오미상태소본화왕빙본적비교연구

  • Lee, Sang-Hyeop;Kim, Jung-Ha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8 no.4 s.31
    • /
    • pp.60-66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lrcorner}$중출현적오미상내용적연구(中出現的五味傷內容的硏究), 가지오미양오장(可知五味養五臟), 단태과역회상급오장(但太過亦會傷及五臟), 왕빙본원문적오개단락중, 담급오미화오장간적상생상극적규율성(談及五味和五臟間的相生相剋的規律性), 가병무일관성(可幷無一貫性), 여차상반(與此相反), 태소본적원문대체유기일관성(太素本的原文大體有其一貫性). 대어(對於)‘미과어산(味過於酸)’, 왕빙본적‘비기(脾氣)’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폐기(肺氣)’, 근이차문장관찰(僅以此文章觀察), 무론종왕빙본혹태소본해석, 도가해석위오행적상극화상모(都可解釋爲五行的相剋和相侮), 소이종이론상도설득통(所以從理論上都說得通). 대어(對於)‘미과어함(味過於鹹)’, 왕빙본인위‘단기(短肌), 심기억(心氣抑)’, 이수반모토화수극화론점진행료설명(以水反侮土和水剋火論點進行了說明), 이태소본파(而太素本把)‘단기기억(短肌氣抑)’간작위비기억(看作爲脾氣抑), 해석성수반모토(解釋成水反侮土). 왕빙본적‘미과어감(味過於甘)’ 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고(苦)’, 이왕빙본적‘미과어고(味過於苦)’, 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감(甘)', 오미각이(五味各異). 왕빙본적‘미과어고(味過於苦), 비기불유(脾氣不濡)’중적(中的)‘불(不)’자(字), 재태소본몰유(在太素本沒有). 왕빙본적‘정신내앙(精神乃央)’중적(中的)‘앙(央)’자(字), 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영(英)’자(字), 양자도해석위시정신공능상출현적이상(素兩者都解釋爲是精神功能上出現的異常).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uality, the Influence of rumors and types of public via social media: A network analysis of rumor diffusion on THAAD (루머의 사실성·파급력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공중의 관계: 사드배치 관련 루머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

  • Hong, Juhyu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6
    • /
    • pp.113-125
    • /
    • 2017
  •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of rumors and types of rumors via social media based on case studies and network analysis. Rumors are classified into core statement, peripheral statement, core gossip, and peripheral gossip based on their factuality and influence. The diffusion of opinions via social media is classified into dispersive mob, solid mob, dispersive minority, and solid minority based on the volume of node and its inter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re gossip is actively dispersed. Users are more interested in the influence of rumor than in rumors that appear the be factual. This study highlighted what the role of government when rumor is diffusing and in the aspect of message what the characteristic of rumor.

"소문.경맥별론(素問.經脈別論)"의 오장천(五藏喘)에 대한 고찰(考察) -대어(對於)"소문.경맥별론(素問.經脈別論)"지오장천적고찰(之五藏喘的考察)-

  • Bang, Jeong-Gyu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8 no.1 s.28
    • /
    • pp.73-80
    • /
    • 2005
  • 통과(通過)${\ulcorner}$소문.경맥별론(素問.經脈別論)${\lrcorner}$적오장천지고찰(的五藏喘之考察), 득도료여하적결론(得到了如下的結論). 기일시(其一是), 여과야행칙신불장정위음허적상태소이천출어신(如果夜行則腎不藏精爲陰虛的狀態所以喘出於腎), 저취시관어음허적천(這就是關於陰虛的喘). 신여폐위음화(腎與肺爲陰化) 과정적양개축여과일개축수병일개리축역수병소이진신병전어폐(科程的兩個軸如果一個軸受病一個異軸亦受病所以晋腎病傳於肺). 기이시(其二是), 타칙생어혈(墮則生瘀血), 간유장혈적기능소이간여혈유밀접적관계(肝有藏血的機能所以肝與血有密接的關係), 저취시관어유담적천(這就是關於有痰的喘). 간유소설기능저관어비적곡기전달(肝有疏泄機能這關於脾的穀氣傳達), 소이간유병칙비적곡기전달기능야수료장애(所以肝有病則脾的穀氣傳達機能也受了障碍). 기삼시(其三是), 경공칙기탕산우하함소이주기적폐유병저취시관어기허적천(驚恐則氣蕩散又下陷所以主氣的肺有病這就是關於氣虛的喘). 여과폐유병칙실수렴여숙강기능(如果肺有病則失收斂與肅降機能), 소이심적양기불전달어하칙심수손상(所以心的陽氣不傳達於下則心受損傷). 기사시(其四是), 유어도수질박칙수습지사침범인체(由於渡水跌朴則水濕之邪侵犯人體), 우유어과도적활동칙신정모손(又由於過度的活動則腎精耗損), 저취시관어음허여유담적천(這就是關於陰虛與有痰的喘). 습유류착적성소이병불전달어지장(濕有留着的性所以病不傳達於池藏).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