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리 분석

Search Result 59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angneung Haksan Odokttegi Heritage and Performance Contents (강릉학산오독떼기유산과 공연콘텐츠)

  • Lee, Chang-Sik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8
    • /
    • pp.249-275
    • /
    • 2019
  • Gangneung farm song is important for the ritualistic labortheatricals. Especially, in the theatrical process program, the songsof weeding, such as Haksan Odokkteggi and Ssadae, were alsoincluded to represent the agricultural ritualistic prayer for goodharvest. The use of Gangneung farm song is attractive in termsofthe circumstances. There is no chance of success as a plan simplyfor local events. As a comprehensive art, Gangneung farmsongshould simultaneously revitalize locality, representability andglobality. In this context, three directions are suggested dependingon the development progress. The second direction to the thirddirection are mainly oriented toward government-local authoritycentered support, but, in particular, the third direction should aimtobe an open archive in which the public and the contents prosumercan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content, OSMUmust be endlessly recreated and spread through 'diversity' and'interrelationships'. The contents utiliz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transmissiondetails and analysis evidence of Gangneung Haksan Odokttegi. Thediversification of the way of performing farm song and the folk songs that can induce interest were proposed. Furthermore, basedon the fact that 12 songs classified into 8 work types, there-creation of the contents that focus on the playful aspect of theperforming arts was also proposed. In addition to suggestingthedesirable discourse of the performance groups, the experienceprogram development, education, public relations andcommunication reinforcement based on the narrating principlesoffarm songs, and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farmsongprograms based on the tradition and the event demands wereproposed. While mentioning the necessity of value creation, thevitality of performing arts skills that put emotion, imagination, fun, sympathy, and etc. on the original form and the model of farmsongs should be supplemented to Gangneung Haksan Odokttegi. The independent transmission aspect of Gangneung Arirangisalso positive. There are difficulties of reduction of traditionalitydueto the designation, standardized transmission, lack of developmentof voluntary performances, and demonstration-centeredtransmission. Narrowly, we focused on the education andvitalization directions in terms of the capacity building of theconservation council itself. By embodying the essential value of theagricultural literature that farm songs possess, it can bringimpression of all worlds, all lives, communication and sharing, anddraw inspiration from the humanistic view of the world andemotion. The reconstitu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theconstruction of a storytelling linked with the concrete objects suchas Beomil National Preceptor, Gulsansa, FlagpoleSupport(Dangganjiju), Seokcheon, Hakbawi rock, and etc., andtheestablishment of fusion type farm song museum were proposed. In terms of culture industry, we requested active support fromtheinstitution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farmsongstorytelling creation projects.

대순진리회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普化天尊) 신앙 비교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57-195
    • /
    • 2013
  • 대순진리회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이하 '구천상제')'를 주신(主神)으로 신앙하는 종교단체이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하 '보화천존')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토대로 본 글에서는 이 신들의 기원과 칭호, 도세법문(度世法門 : 세상을 제도하고자 펼친 법도) 등의 관점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먼저 기원이라는 측면에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을 비교해보면, '구천상제'는 천지인 삼계의 최고신으로서 강씨 가문을 선택하여 인간의 육신으로 태어났다. 강씨 성은 상고 신농씨에서 시작되었는데, 고대 문헌에 근거하면 신농씨는 태양신, 남쪽, 불(火) 등으로 상징화된다. 이런 상징들은 '구천상제'가 인간으로 태어날 때 나타난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다", "큰 불덩이가 몸을 덮치다", "천지가 밝아지는도다" 등의 현상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은 뇌신의 특징을 가지면서 일신(日神), 월신(月神)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런 면들은 신농씨로부터 분석한 '구천상제'의 신적 기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교에서는 신농씨가 다스리던 세상을 중국 상고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사회형태로 보고 있는데, 이것을 '구천상제'가 건설하려는 후천선경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구천상제'가 신농씨의 후손인 강씨 종가에서 태어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고, 조화로운 인간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것은 대순진리회 '구천상제'가 행한 대순의 목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은 칭호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구천상제'에는 '보화천존'에 비해 '강성상제'라는 칭호가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교에서는 '보화천존'을 최고신으로 모시지 않으며, '구천상제' 신앙에서는 '보화천존' 신앙에서와 달리 뇌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의 도세법문을 비교해보면 첫째, 구천상제는 세상이 혼란, 불공평, 죄악에 빠졌기에 육신으로 인간 세상에 강림한 후 대순진리를 선포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보화천존도 천하와 인간세상을 순시하여 죄악과 겁액을 없앤다는 '순시천하(巡視天下)' 사상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보화천존'은 순시할 때 인간의 육신으로 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보화천존'이 인간 세상에 창교의 방법을 통하여 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를 전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화천존'은 교리를 가르치거나 신통을 발휘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구천상제'가 내린 가르침인 해원상생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수단과 과정이다. 도교의 '보화천존'도 인간이 지은 많은 죄악과 겁액은 세상 사람들이 맺은 원한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겁액과 죄를 해소하려면 해원부터 해야 한다는 것을 수차례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해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인간의 시비, 질병, 겁액에 관한 것이며, 그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마음속으로 『옥추보경』을 읽는 것이다. 이를 '구천상제'의 '해원상생' 가르침과 비교하면 그 사상의 폭이나 깊이, 중요성, 이론적 측면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서 체계적인 면모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셋째, '구천상제' 는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신명의 호칭을 부르면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달려와서 구원해준다는 '소리감응'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구천상제'는 과오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면, 그 다음에 상제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그 원한이 풀리게 된다는 참법(懺法 : 懺悔法)을 세인(世人) 교화에 자주 사용하였다. 물론 이것은 해원상생의 구체적인 적용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보면 이 방법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참(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懺)』의 참의(懺儀)와 공통되는 점이 있다. 참의는 수도자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수도에 정진하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 포덕에 힘쓰고, 악을 물리치고 선을 널리 펼친다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양자는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필자가 생각하건대,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사이에는 공통점이 아주 많지만 동시에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만약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더욱 깊고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대순진리회와 중국 도교, 특히 도교의 뇌법종파(雷法宗派)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Analysis of the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Bongsudang-jinchan Banquet in Joseon Dynasty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무대와 공연 요소 분석)

  • Song, Hye-ji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18
    • /
    • pp.413-444
    • /
    • 2009
  •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dance featured in bongsudang-jinchan, a feast celebrating the 60th birthday of Hyegyeong-gung Hongssi (Crown Princess Hong of Hyegyeonggung), the mother of King Jeongjo, which took place in Hwaseong haegung palace in 1795. The primary sources used are data on bongsudangjinchan recorded in Wonhaeng-eulmyojeongriuigwe, Jeongjo-sillok, Hongjae-jeonseo, pictorial sources such as Folding Screens of Hwaseong-neunghaeng and Hwaseong Ilgi, which is a journal in Korean by Yi Hui-pyeong. A court ceremony to offer music, dance, flowers, and food, as well as wine and poetry which express the sentiments of chung (fidelity) and hyo (filial piety) was considered a national ceremony and has constituted a unique musical culture during the 500 years of Joseon dynasty. However, after the fall of Joseon dynasty, ceremonial music and dance, which have been organically linked within the overall symbolic system of ye (courtesy), became scattered to become independent 'pieces.' As a result, all of their philosophy, principles, and the time-space interpretation of court music and dance became greatly reduced, leaving only the artistic expression and formal structure of the music and dance to become emphasized.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many research and events aiming to re-create the court ceremonial tradition,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he related performance activities. This is especially true with bongsudang-jinchan, which is now being performed on modern stage in various form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the issue of re-creating and restoring the original, and the question of artistic value found in the traditional pieces. Until now, much focus has been paid to the outer re-construction of uiju document as recorded in Wonhaeng-eulmyo-jeongriuigwe. On the other hand, there lacked an in-depth study which analyzes the stage situation and performance elements.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focusing on the stage structure and performance elements, it is concluded that bongsudang-jinchan, the only court feast to be held in Haeng gung, not only consists of the fundamental aspects of court performance principle as 'governing through ye and ak (music),' but also served as an important occasion to bring together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 Bongsudang-jinchan had features of both naeyeon (feast for ladies) and oeyeon (feast for gentlemen). It minimized the use of screens and allowed every guest to enjoy food, music, and dance together, but provided a separate tent for foreign guests, maintaining the ideal balance between equality and distinction among different gender and social status. A screen symbolizing the venue for the feast is placed for all of the government officials. The king then pronounces the beginning of the banquet in which the ideal of gunsin-dongyeon (king and officials dining together) is realized. This indicates that bongsudang-jinchan, compared to other court ceremonies that emphasize the principle of yeak (courtesy and music), focuses more on the spirit of harmony and rapprochement. The king played a more active role in bongsudang-jinchan than in any other royal feasts. Examples as recorded in uiju documents are; Jeongjo's conversation with his retainers after the 7th wine, king's bestowing of food and flowers to the officials, writing his own majesty's poems with regard to the festival, and asking the retainers to write replying poems. All thes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making the occasion more rich, extensive, and meaningful. Moreover, as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orchestral music and court dance featured in bongsudang-jinchan shows, it was like any other court banquet in that it employed minimal use of extravagance in movements and conversation. However, the colors and tonal texture used in the music and dance were more brilliant in this case. Compared to other banquets that took place before king Jeongjo, the dance style was more diverse, which included some of the latest additions. There were past performances arranged anew. Noteworthy are; the incorporation of "Seonyurak (Boat Dance)" and "Geommu (Sword Dance)," traditionally used for local officials and civilians feast, to suit the court taste; and the use of saenghwang (mouth organ), which was a rising instrument in pungnyubang (literati's private salon), for "Hakmu (Cranes Dance)." This especially indicates the nature of the 'open structure' pursued by the court banquets at the time, which strove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rules and customs and accept something new.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A Study of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for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 Focusing on Analysis of Terminology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 Song, Hye-ji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22
    • /
    • pp.287-325
    • /
    • 2011
  • This paper studies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which is considered to have formed a characteristic culture in late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4 gasa written in hangeul (Korean alphabet), as well as 4 yeonhaeng gasa, 108 articles of Gwanseoakbu were examined. Plus, among the 9 types of yeonhaengrok (Documents of Performance cul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ose parts which describe the performance traits have been analyzed. Then, 'main list of terminology' has been deduced based on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points : 1) subject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2) time and period of performance 3) space of performance 4) contents of performance 5) background and motive for performance and 6) method of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various 'nouns' and 'predicate verbs' in relation to performance culture emerged, which were systemized according to types of performance elements and categories. Major terminology includes predicate verbs and symbolic verbs such as nokuihongsang,' 'baekdaehongjang,' 'jeolsaekgeumga,' 'cheonga,' 'hwaryu,' 'gamuja,' and 'tongsoja,' as well as the terms already known such as gisaeng, iwon, yangbang, akgong, and jeonak, which refer to musicians and dancers. Subjects of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performers and listeners, categorized into concert, music, and dance, according to performance form. In the case for music, it was divided into instrumental or vocal, solo or accompanied (byeongju, self-accompaniment). In the case for vocal music, noteworthy was the inclusion of profesional artist's singing (called gwangdae or uchang). The record of 23 names of popular artists from Gwanseo region, with mention of special talents for each person, reflects the degree of activeness and artistic level of the province. Depending on the appreciating patrons, the audience were indicated as the terms including 'yugaek (party guest),' jwasang,' 'on jwaseok,' and 'sonnim (guests).' It seems that appraisal for a certain performance was very much affected by the tastes, views, and disposition of the appreciating patrons.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different comparative reviews of concerts of different regions given by literary figures, offering various criticism on identical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space, it has been divided into natural or architectural space, doing justice to special performance sites such as a famous pavilion or an on-the-boat performance. Specific terms related to the scale and brightness of stage, as well as stage props and cast, based on descriptions of performance space were found. The performance space, including famous pavilions; Yeongwangjeong, Bubyeokru, Baeksangru, Wolparu, and Uigeomjeong, which are all well-known tourist sites of Gwanseo province, have been often visited by viceroys. governors, and envoys during a tour or trip. This, and the fact that full-scale performances were regularly held here, and that more than 15 different kinds of boats which were used for boat concert are mentioned, all confirm the general popularity of boat concerts at the time. Performance time, categorized by season or time of day (am/pm/night) and analyzed in terms of time of occurrence and duration, there were no special limitation as to when to have a performance. Most morning concerts were held as part of official duties for the envoys, after their meeting session, whereas evening concerts were more lengthy in duration, with a greater number of people in the audience. In the case of boat concert, samples include day-time concert and performances that began during the day and which lasted till later in the evening. Major terminology related to performance time and season includes descriptions of time of day (morning, evening, night) and mention of sunset, twilight, moonlight, stars, candles, and lamps. Such terms which reflect the flow of time contributed in making a concert more lively. Terminology for the contents of performance was mostly words like 'instrumental,' 'pungak,' or 'pungnyu.' Besides, contextual expressions gave hints as to whether there were dance, singing, ensemble, solo, and duets. Words for dance and singing used in Gwanseo province were almost identical to those used for gasa and jeongjae in the capital, Hanyang. However, many sentences reveal that performances of 'hangjangmu' of hongmunyeon, sword dance, and baettaragi were on a top-quality level. Moreover, chants in hanmun Chinese character and folk songs, which are characteristic for this region, show unique features of local musical performance. It is judged that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a performance is important in grasping the foundation and continuity of local culture. Concerts were usually either related to official protocol for 'greeting,' 'sending-off,' 'reports,' and 'patrols' or for private enjoyment. The rituals for Gwanseo province characteristically features river crossing ceremony on the Daedong river, which has been closely documented by many. What is more, the Gwanseo region featured continued coming and goings of Pyeongan envoys and local officers, as well as ambassadors to and fro China, which required an organized and full-scale performance of music and dance. The method of performance varied from a large-scale, official ones, for which female entertainers and a great banquet in addition to musicians were required, to private gatherings that are more intimate. A performance may take the form of 'taking turns' or 'a competition,' reflect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musical culture at the time. This study, which is deduction of terminology in relation to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culture of musical performances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into research on 'the performance culture unique to Gwanseo region,' in relation to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the province, as well as everyday lifestyle. Furthermore, it could proceed to a more intensive research by a comparative study with related literary documents and pictorial data, which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use of space and stage, as well as the performance format characteristic 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