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for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 Focusing on Analysis of Terminology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 송혜진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 Received : 2010.12.28
  • Accept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which is considered to have formed a characteristic culture in late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4 gasa written in hangeul (Korean alphabet), as well as 4 yeonhaeng gasa, 108 articles of Gwanseoakbu were examined. Plus, among the 9 types of yeonhaengrok (Documents of Performance cul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ose parts which describe the performance traits have been analyzed. Then, 'main list of terminology' has been deduced based on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points : 1) subject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2) time and period of performance 3) space of performance 4) contents of performance 5) background and motive for performance and 6) method of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various 'nouns' and 'predicate verbs' in relation to performance culture emerged, which were systemized according to types of performance elements and categories. Major terminology includes predicate verbs and symbolic verbs such as nokuihongsang,' 'baekdaehongjang,' 'jeolsaekgeumga,' 'cheonga,' 'hwaryu,' 'gamuja,' and 'tongsoja,' as well as the terms already known such as gisaeng, iwon, yangbang, akgong, and jeonak, which refer to musicians and dancers. Subjects of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performers and listeners, categorized into concert, music, and dance, according to performance form. In the case for music, it was divided into instrumental or vocal, solo or accompanied (byeongju, self-accompaniment). In the case for vocal music, noteworthy was the inclusion of profesional artist's singing (called gwangdae or uchang). The record of 23 names of popular artists from Gwanseo region, with mention of special talents for each person, reflects the degree of activeness and artistic level of the province. Depending on the appreciating patrons, the audience were indicated as the terms including 'yugaek (party guest),' jwasang,' 'on jwaseok,' and 'sonnim (guests).' It seems that appraisal for a certain performance was very much affected by the tastes, views, and disposition of the appreciating patrons.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different comparative reviews of concerts of different regions given by literary figures, offering various criticism on identical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space, it has been divided into natural or architectural space, doing justice to special performance sites such as a famous pavilion or an on-the-boat performance. Specific terms related to the scale and brightness of stage, as well as stage props and cast, based on descriptions of performance space were found. The performance space, including famous pavilions; Yeongwangjeong, Bubyeokru, Baeksangru, Wolparu, and Uigeomjeong, which are all well-known tourist sites of Gwanseo province, have been often visited by viceroys. governors, and envoys during a tour or trip. This, and the fact that full-scale performances were regularly held here, and that more than 15 different kinds of boats which were used for boat concert are mentioned, all confirm the general popularity of boat concerts at the time. Performance time, categorized by season or time of day (am/pm/night) and analyzed in terms of time of occurrence and duration, there were no special limitation as to when to have a performance. Most morning concerts were held as part of official duties for the envoys, after their meeting session, whereas evening concerts were more lengthy in duration, with a greater number of people in the audience. In the case of boat concert, samples include day-time concert and performances that began during the day and which lasted till later in the evening. Major terminology related to performance time and season includes descriptions of time of day (morning, evening, night) and mention of sunset, twilight, moonlight, stars, candles, and lamps. Such terms which reflect the flow of time contributed in making a concert more lively. Terminology for the contents of performance was mostly words like 'instrumental,' 'pungak,' or 'pungnyu.' Besides, contextual expressions gave hints as to whether there were dance, singing, ensemble, solo, and duets. Words for dance and singing used in Gwanseo province were almost identical to those used for gasa and jeongjae in the capital, Hanyang. However, many sentences reveal that performances of 'hangjangmu' of hongmunyeon, sword dance, and baettaragi were on a top-quality level. Moreover, chants in hanmun Chinese character and folk songs, which are characteristic for this region, show unique features of local musical performance. It is judged that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a performance is important in grasping the foundation and continuity of local culture. Concerts were usually either related to official protocol for 'greeting,' 'sending-off,' 'reports,' and 'patrols' or for private enjoyment. The rituals for Gwanseo province characteristically features river crossing ceremony on the Daedong river, which has been closely documented by many. What is more, the Gwanseo region featured continued coming and goings of Pyeongan envoys and local officers, as well as ambassadors to and fro China, which required an organized and full-scale performance of music and dance. The method of performance varied from a large-scale, official ones, for which female entertainers and a great banquet in addition to musicians were required, to private gatherings that are more intimate. A performance may take the form of 'taking turns' or 'a competition,' reflect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musical culture at the time. This study, which is deduction of terminology in relation to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culture of musical performances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into research on 'the performance culture unique to Gwanseo region,' in relation to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the province, as well as everyday lifestyle. Furthermore, it could proceed to a more intensive research by a comparative study with related literary documents and pictorial data, which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use of space and stage, as well as the performance format characteristic 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본고는 조선후기 관서지방 공연문화의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이다. 관서(關西) 지방은 중국 대륙과 인접한 접경지대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대외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재화가 풍부한 문화의 중심지였다. 조선후기에는 중국과 조선을 오가던 수많은 사신과 역관, 상인들이 이 지역을 경유하였고, 1~2년 간격으로 관찰사가 교체되었으며, 지역 인재 선발을 위한 도과(道科)과 빈번하게 시행되면서 환영과 전송 의례, 위로, 향연에 따른 공연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양상은 여러 문헌자료와 읍지(邑誌), 그림 자료로 전하며, 문학, 음악, 무용, 민속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관서악부>를 비롯하여 평양, 성천의 자연과 풍류를 노래한 가사문학작품, 연행록 등을 문학작품을 세밀하게 읽다보면,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해 온 공연의 종목과 악기편성, 음악기구, 음악인 등 뿐 만 아니라 공연활동의 주체와 시공간, 향유방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이 매우 풍부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공연이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언제, 얼마나 긴 시간 동안 지속되었고, 공연의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 관객과 공연주체가 어떻게 소통하였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음악과 춤에 관한 단적인 정보 외에 '공연', '사람', '시간', '공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진했던 '전통공연예술 양식' 연구의 기반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서악부> 108편, 한글 가사 작품 8편, 한문연행록 9종에 표현된 공연관련 정보를 '주요어' 에 주목하여 분석한 결과 조선후기 공연문화의 시공간과 향유 양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공연의 시기와 시간, 전체 소요시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는 않았다. 사신연의 경우, 국가나 개인의 상례(喪禮), 기일(忌日) 등의 '금지사유'가 없는 한, 더위나 추위를 무릅쓰고라도 진행되었다. 그 외에 계절을 선택하여 '놀음'을 벌일 경우, 계절적으로는 '삼사월 좋은 때', '춘풍' 불고 '일기 화창'한 날과 '가을 물결' 아름다운 '추강(秋江)'의 계절이 선호되었다. 공연 시간 대는 '아침밥을 먹고 나서', '포시(오후 4시경)', '석반을 물리치고~', '야심(夜深)', 의 예에서 처럼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밤에 열리는 야연(夜宴)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공연의 지속시간은 '잠깐 보고'부터 '전날 오전부터 다음날 낮까지' 차이가 컸다. 공연시간대와 전체 소요시간은 사신일행의 일정에 영향을 받았다. 공연 공간은 자연, 누정이나 관아의 건축 공간, 선유놀음의 선상 공간, 영송(迎送)의 행차음악이 연주된 연도(沿道)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평양의 연광정, 부벽루, 성천의 백상루, 선천의 의검정, 천연정, 의주의 통군정 등의 건축공간과 강상에 배를 띄운 선유놀음의 크고 작은 선상공간은 관서지방 공연문화의 중심이었다. 공연 공간에는 공연주체와 좌상(座上)객의 필요에 따른 주물상, 다담상, 찬을 갖춘 상, 병풍, 의자, 향로 등이 구비되었으며, 야연에서는 청사초롱, 홍촉대, 횃불이 갖춰졌다. 약산동대 등, 자연 공간에서의 공연도 선호되었다. 공연 향유와 관련하여 공연주체와 관객, 공연내용, 향유자의 소감과 비평 등을 살폈다. 공연주체는 기생과 무동, 악공, 전악, 취타군, 무동, 가아(歌兒) 등 수많은 명칭이 사용되었다. 특히 공연에서 춤과 노래, 연주를 담당했던 기생에 대해서는 기생의 수, 연령, 역량, 이미지 등을 알 수 있는 아주 많은 이칭(異稱)이 조사되었다. 공연에서 향유자는 유객(遊客), 좌상(座上)으로 불렸고, 특정 작품에서는 '풍류 태수', '학탄 신선' 등의 표현도 사용되었다. 향유자들이 즐긴 공연은 정재류의 춤과 관서지방의 민속무, 이에 따른 삼현육각 편성의 음악, 12가사, 한문 낭송조, 잡가, 민요, 광대소리 등의 노래, 거문고, 가야금, 양금, 피리, 해금, 퉁소, 옥저 등의 기악 독주, 혹은 병주. 행차에 따른 연주 등이었다. 세부곡목에 주목해보면 조선후기 관서지방에서는 궁중 예술과의 교섭이 매우 활발하였고,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홍문연>, <항장무>, <선유락> 등의 레퍼토리를 탄생시켰는가 하면 고유의 민속가무도 함께 향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공연의 규모는 '대연', '크게 벌이다', '수삼 동기', '성천기 7명', '60기생', '기생 2~3명', '삼자비' 등으로 표현되거나 독주, 독창, 독무인 경우 이름으로 표기하였다. 역시 공연 계기와 장소에 따라 공연의 규모가 매우 유동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연자의 연령은 10대 초반부터 늙은 기생까지 다양하게 소개되었는데, 특히 어린 기생들의 가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공연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반대로 '잡악(雜樂)', '졸렬', '웃음거리'로 분류되어 외면당한 예도 있다. 그런가 하면 여러 지역에서 유사한 공연종목을 관람한 뒤, 이를 '비교(比較)' 평가한 예가 있는데, 이는 관서지방 공연문화 향유양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된다. 공연은 주로 사신맞이. 사신연, 순행에 따른 연회 등 공적인 성격을 띤 것이 많았고, 그밖에 사적인 향유 차원에서 이루어진 예도 적지 않게 조사되었다. 관서지역의 사신맞이는 대동강의 관선을 이용한 도강(渡江)의례가 특징적이다. 이는 관찰사, 부사, 감사 등의 관리의 이임과 부임뿐만 아니라 정례적으로 중국에 오가던 사신일행의 행차가 끊이지 않았으므로 이와 관련된 공연문화의 지속성이 탄탄하게 확보될 수 있었다. 이와같이 '주요어 추출'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양상에 관해 살핀 본 연구는 향후 관서지방의 재정과 경제, 생활문화의 측면과 관련지어 '관서지방 특유의 공연문화'를 밝히는 연구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연구가 미진한 전통공연예술의 시공간과 공연양식에 관한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데 풍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2009학년도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