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리의 방향성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utomatic control of experimental apparatus for sound's directivity measurement direction acoustic wave (소리의 방향성 측정을 위한 실험기기의 자동제어)

  • Jarang, Sun-Suck;Ko, Jae-Ha;Lee, Je-Hyeong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4.11a
    • /
    • pp.591-594
    • /
    • 2004
  • The directivity of the sound pressure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incoming sound from specific directions. The directivity measurement of the sound pressure is usually done in an anechoic room using a steping motor. In this paper a replaceable anechoic chamber was designed for the acoustic directivity pattern measurement. Electrical equipments were interfaced with a PC for experiment automatic control. Some comparative results are shown in the result.

  • PDF

A Historical Inquiry about Rayleigh's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Sound (Rayleigh의 소리의 방향 지각 연구에 대한 과학사적 고찰)

  • 구자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8
    • /
    • pp.695-702
    • /
    • 2002
  • The question how man can perceive the direction of a sound is one of the traditional psychoacoustical problems. Rayleigh already began to investigate this subject in 1870s and kept on interesting himself intermittently throughout his research career. Rayleigh was only concerned with this subject among those of perception of sound and focused more interest on it than any other acoustical problems. At first he insisted on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a sound by the difference of intensity of a sound in two ears. but was phased in accepting that by the difference of phase of a sound there. Thus he arrived at the modern view that the perception of the sound direction i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intensity in high frequencies and the difference of phase in low frequencies. Rayleigh presented his ability as an excellent experimenter by employing very cautious and ingenious experimental settings and acquired persuasive results by linking the consequences of his mathematical theorization with his experiments.

The Improvement of privately telephonic communication for cellular phone by acoustic approach (음향학적 접근에 의한 휴대 전화의 속삭임 통화 기능 향상)

  • Choi Sungjoon;Moon Wonkyu;Lee Jounghyu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17-322
    • /
    • 2001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이 인간 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지만 개인의 정보 유출이나 소음 공해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야기 시켰다. 특히 휴대 전화 통화시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들이 공공 장소에서 그대로 노출이 되고, 또 그러한 통화로 인해서 타인에게 소음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러한 병폐를 막기 위해서 휴대 전화 사용자는 최대한 작은 소리로 통화를 하되, 상대방에게 의도하고자 하는 바를 확실히 전달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휴대 전화에 근접 통화가 가능해야 하며, 일정한 방향의 방향성을 가져서 주위의 잡음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향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휴대전화에 사용되어지는 마이크로폰을 새로 설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시험하였다. 아주 작은 소리로 근접 통화를 할 때 발생하는 팝핑(popping) 현상이 최소한이 되도록 미세관 배열을 적용하였으며, 외부 소음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방향성을 증폭시키고자 음원의 위치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방향성 증폭은 4개의 마이크로폰 사용과 근거리 음원의 방향성 증가를 위한 신호 처리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기술의 적용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torytelling Strategy of Korean Documentary Film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

  • Kim, Hy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31-135
    • /
    • 2011
  • 본 논문은 한국 영화산업에서 스토리텔링이 더욱 중요해져감에 따라 한국 다큐멘터리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흥행에 성공한 다큐멘터리 영화<워낭소리>와 흥행에 실패한 <트루맛쇼>의 스토리텔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큐멘터리에서의 스토리텔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히였다.

  • PDF

Improvement of sound transfer effect of Parametric Array Speaker using HRTF preprocessing (HRTF를 이용한 파라메트릭 어레이 스피커 전달감 개선에 관한 연구)

  • Seo, Bo-Kug;Seo, Joung-Kook;Cha, Hyu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577-578
    • /
    • 2019
  • 지향성 스피커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리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특정 방향으로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지향성 스피커는 초음파의 직진성 때문에 소리를 청취함에 있어 일반 스피커와 달리 전달감이 풍부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청취자에게 음원이 전달되는 과정을 모델링한 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한다. 지향성 스피커를 통하여 방사되는 음원에 머리전달함수를 전처리하여 전달감을 개선한다.

Characteristics of Edgetones by Jet-Cylinder Interaction (분류와 원통에 의해 발생하는 쐐기소리의 특성)

  • 한희갑;김승덕;안진우;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235-239
    • /
    • 1996
  • 분류가 모서리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순음성 소리인 쐐기소리(edgetone)는 공력음향의 대표적인 현상으로서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며 그 대부분의 특성이 규명되었다고 할 수 있다. 쐐기소리의 발생기구인 되먹임(feedback)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한 이는 Powell로서 그는 되먹임사이클의 위상조건에 의하여 주파수특성에 관한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최근 그 모델의 위상인자에 관하여 Kwon은 새로운 값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쐐기소리의 이론은 주로 분류가 쐐기나 벽에 충돌할 경우에 집중되어 왔으며 분류가 원통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경우에 관한 연구는 Krothapalli의 초음속분류에 관한 연구와 Mochizuki등의 아음속분류에서 원통지름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들 수 있을 뿐이다. Mochizuki등은 원통의 지름이 노즐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 쐐기 소리의 주파수가 원통의 와류이탈(vortex shedding) 주파수와 같은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분류와 원통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쐐기소리의 주파수 특성에 관한 이론적 해석을 시도한 연구는 없으며 또한 방사음장의 특성에 관하여도 Han과 Kwon에 의한 모델이 발표된 바 있으나 실험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 fig.1과 같이 2차원 분류가 원통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쐐기소리의 주파수특성의 정량적인 모델을 세우고 방사음장의 지향특성의 이론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다. 먼저 주파수특성을 실험하고 되먹임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므로써 유효음원의 위치를 구하고 또한, 수직벽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충돌음(impinging tone)의 경우를 실험하여 주파수특성을 비교 고찰하므로써 유효음원의 위치에 관한 이론을 입증한다. 아울러 원통과 평면벽의 각 경우에 방사음장의 지향특성을 측정하고 고찰한다.2,5,6]을 단계별로 고찰하여, 점점 까다로워져 가는 선박 진동규제[3,4]에 대처하고 승무원의 안락성에 대한 욕구, 구조물의 안전성, 장비의 성능보존이 만족되는 저진동 선박의 건조를 위해 향후 해결해야할 과제들을 도출하여 선박진동분야이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는 것은 진단의 정밀도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언어적진리치가 도입되어 [상당히 확실], [확실], [약간 확실] 등의 언어적인 표현을 이용하여 애매성을 표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간이진단 결과로부터 추출된 애매한 진단결과중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이상원인을 복수로 선정하고, 여러 종류의 수치화할 수 없는 언어적(linguistic)인 정보ㄷㄹ을 if-then 형식의 퍼지추론으로 종합하는 회전기계의 이상진단을 위한 정밀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한다. 존재하여도 모우드 변수들을 항상 정확하게 구할 수 있으며, 또한 알고리즘의 안정성이 보장된 것이다.. 여기서는 실험실 수준의 평 판모델을 제작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제어 구조물에 대 한 동적실험 및 FRS를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따름으로써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error를 실험실내의 차원에서 파악하여 진동원을 있는 구조 물에 대한 진동제어기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 PDF

Development of a Wearable computer interface for aurally impaired persons (청각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단말 인터페이스 기술)

  • Park, Jin-Young;Ahn, Chong-Keun;Kim, Lae-Hyun;Ha, Sung-Do;Park, Se-Hy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57-62
    • /
    • 2006
  • 최근 들어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 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고, 현재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웨어러블 단말 인터페이스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웨어러블 단말장치는 소형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주변의 소리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요한 소리를 실시간 감지하여, 시각과 촉각 정보로 변환하여 소리의 종류 및 방향을 청각장애인에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시각정보는 안경식 소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황에 맞는 그래픽아이콘을 보여주고 동시에 소형 진동자들이 부착된 햅틱 슈트를 통해 촉각 정보가 전달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웨어러블 단말장치를 통해 청각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 또는 긴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한다.

  • PDF

Design of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Sound Data (소리 데이터를 활용한 블록 기반의 초등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 설계)

  • Ko, Seunghwan;Lee, Junho;Moon, Woojong;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8a
    • /
    • pp.7-11
    • /
    • 2021
  • This study designs block-based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 using sound data that can be easily applied in elementary schools. The education program designed its goals and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 demand analysis conducted on 7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Scratch in Machine Learning for Kids was used for block-based programming, and th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discover regularity of data values using sound data, learn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programming process. In a later study, the education program needs to verify what changes there are in attitude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 PDF

Development of the hybrid-type ultrasound speaker (하이브리드형 초음파 스피커 개발)

  • Lee, Hyoung-Sang;Kim, Bok-Kyu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3
    • /
    • pp.247-253
    • /
    • 2021
  • Directional ultrasonic speakers that are used to hear sound only in a specific area have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on various improvements in terms of sound quality and cost compared to general speak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SP based hybrid-type ultrasonic speaker that can be heard at the same time as a general speak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ound in the low-band range,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hear the low-band sound below 500 Hz due to the sensor characteristics of the ultrasonic speaker. In the case of the system that is implemented by simply connecting a general speaker and an ultrasonic speaker, there are issues of high cost and difficulties of control as two amplifiers are used to playback ultrasonic and general sound sources. In addition, sound quality deteriorates due to the difference in playback time between ultrasonic and general sound sources. In order to improve issues of cost, control and sound quality, we developed hybrid-type ultrasonic speaker with a DSP based amplifier that can simultaneously playback by synchronizing the general sound source with the regenerated ultrasonic sound source, in addition to implement the existing CODEC functions such as Dynamic Range Control (DRC) and Equalizer (EQ).

Trend analysis and shapes of the visual expressions of the sounds (음의 시각화와 그 표현의 경향)

  • 김민호;정성환;강민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3
    • /
    • pp.101-110
    • /
    • 2003
  • People are surrounded with numerous sounds. The sound is generated from nature and people. For example, the sound enables people or animal responsive to instinctive action. Music or fine arts are presented differently by its distinctive medium. On the other hand, those art forms are similar in a way that people uses right side of brain and intuitions for creative effects. Conjunctions between sounds and visual arts have been progressed to data. From art forms in subjective views to art forms using high technology such as the computer, experiments for sounds visualization are practiced constantly. For that reason, intrinsic attributes of sounds in design area and distinctive qualitie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With respect to existing category of studies and consideration of the tendency in recent researches, the object is to propose direction for the study in regards to methodology of design, which is reconstructing visualized ex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