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독처리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1초

마늘 추출물의 벼 키다리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The disinfective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Bakanae Disease)

  • 성창근;최지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1호
    • /
    • pp.45-52
    • /
    • 2004
  • 마늘의 주요 항균성분은 allicin이며, allicin을 유효물질로 한 마늘 종자소독제를 제조하였다. 마늘 종자소독제 중의 allicin 함량은 약 0.62%였으며 키다리병균 Gibberella fujikuroi에 대하여 1% 농도에서 가장 강한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마늘 종자소독제를 이용한 벼 키다리병의 방제가는 병원균을 접종한 처리구에서는 87.5%, 접종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81.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조약제인 prochloraz, fludioxonil 처리구 보다는 효과가 미흡하지만 친환경 종자처리제로서의 만족할 만한 방제효과라고 사료된다. 마늘 종자소독제의 수온에 따른 키다리병의 방제효과에 관한 실험에서는 수온 $30{\sim}35^{\circ}C$에서 91~95%의 방제효과를 보인 반면 온도가 낮아질수록 방제가가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마늘 종자소독제를 이용하여 처리할 때에는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마늘 종자소독제의 처리시 수온과 약량에 따른 키다리병 방제효과에 관한 실험에서는 종자소독제의 처리농도가 높고 종자소독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병이 적어졌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아 어느 방법도 실용적인 방제법이 될 수 없었다. 마늘을 이용한 종자소독제는 다른 소독제와 같이 소량으로 대량의 볍씨를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용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자소독제 Benoram 처리가 하대두의 발아, 후기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gicide Benoram Seed Treatment on Germination, Growth, and Yield in Summer-Type Soybean)

  • 정길웅;주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6-173
    • /
    • 1993
  • 하대두는 추대두에 비하여 생육특성상 고온다습의 조건에서 성숙하는 관계로 미이라병의 종자감염이 높아 적정입모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종자소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입중을 달리한 하대두 계통에서 종자소독에 의한 입모율 향상이 후기생육 및 수양에 미치는 영향과 미이라병의 감염정도에 따른 종자소독제의 처리효과를 구명코자 하였다. 1. 입중을 달리한 하대두 계통에 종자소독제를 분의 처리하여 파종하면 무처리에 비하여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배축장이 길었으며 약제처리의 약효는 대립종에서 높고 소립종에에서 낮은 경향이였다. 2. 종자소독제를 처리했을때 후기생육, 주당엽수, 백립중 및 수양은 무처리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3. 동일품종내에서 미이라병의 가시적 감염증세가 경미하면 종자소독제의 처리효과는 적었고 심할수록 약제처리에 의하여 발아율과 발아세가 현저히 향상되었는데 그 정도는 대립종에서 높았다.

  • PDF

소독제의 침지시간 및 희석농도가 수수 발아 및 오염율에 미치는 영향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Effect of Disinfectant Treatment on Sorghum Seeds)

  • 김경민;최세현;김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24-129
    • /
    • 2020
  • 본 연구는 수수 종자에 소독제를 이용하여 알맞은 종자 소독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종자소독 실험에 있어 희석액 200배 기준으로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SAP317과 BTx623 두 품종 모두 베노밀·티람수화제를 처리하지 않는 무처리와 소독제에 24시간 침지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오염률은 무처리를 제외하고 약제소독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 또한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베노밀·티람수화제를 24시간 침종 처리한 후 SAP317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200배, 400배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BTx623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200배와 400배액에서 높았다.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를 24시간 침종 처리한 후 SAP317과 BTx623 두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200배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오염률은 SAP317 품종에서는 두 소독제 모두 무처리를 제외하고 모든 농도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Tx623 품종에서는 두 소독제 모두 100배와 200배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 종자소독 시 활용가능한 기초자료를 정립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수종자의 발아율 향상 및 오염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베노밀·티람수화제와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 소독제를 200배 희석하여 24시간 침지 하는 것이 수수 종자소독에 가장 효율적이었다.

벼 종자소독 전 침종에 따른 소독효과 및 효율성 향상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by Soaking Seeds before Rice Seed Disinfection)

  • 윤여태;정종태;김규철;김병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3호
    • /
    • pp.137-146
    • /
    • 2022
  • 벼 종자소독은 키다리병 경감을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소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30℃의 고온에서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벼 종자소독(30℃에서 48시간)을 마친 종자는 유아의 길이가 파종하기에 짧아 적당한 유아의 길이가 될 때까지 추가적인 침종작업이 필요한데, 품종별로 유아의 생장속도가 달라 농민들은 수온을 조절하고 유아의 길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농작업으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키다리병 방제효과를 높이면서 종자소독 후 즉시 파종이 가능한 소독방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벼 종자소독 전 찬물에 2일간 종자를 침종하고 고온으로 종자소독(30℃ 48시간) 하면 파종하기 적당한 유아의 길이(1 mm 내외)가 되었고, 관행 대비 성묘율은 차이가 없으면서 키다리병은 64%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종자를 찬물에 침종 후에 소독하는 새로운 소독 방법이 키다리병 방제효과가 높은 이유를 구명하기 위해, 메틸렌블루 염색약을 이용하여 침종처리한 종자와 침종처리 하지 않은 종자를 염색한 결과 침종처리한 종자는 내부 및 외부 배유의 약 50%가 염색되었다. 따라서 종자소독 전 침종처리를 하면 소독약이 종자 내부의 배유까지 흡수되므로 내부에 있는 키다리병 포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개발된 소독방법은 종자소독 전 2일간 찬물로 침종처리 하면, 관행 방법 대비 침종작업시 수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벼 품종과 소독약 종류에 상관없이 유아의 길이는 1 mm 내외가 되어 농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키다리병 발생을 관행대비 감소시킬 수 있어 농업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의 저해 및 화학적 손상세포 생성에 있어서의 화학적 살균소독제의 효과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s in Reducing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and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Cabbage)

  • 최미란;오세욱;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37-1342
    • /
    • 2008
  • 이산화염소는 식품과 식품가공을 위한 시설 및 설비 등을 살균소독 하는데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효과적이므로 새로운 살균소독처리 방법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을 감소시키기 위해 액체형태의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이산화염소를 농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살균소독을 실시했을 때 형성될 수 있는 화학적 손상세포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이산화염소에서 세 가지의 병원성미생물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200 ppm 이산화염소로 10분 동안 처리했을 때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에 대해 각각 1.98, 1.91, 1.92 log 감소수준을 나타내 모든 처리 구간 중에서 가장 높은 살균소독력을 나타냈다. 또한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 모두 처리시간보다 처리농도의 차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이산화염소는 화학적 손상세포를 형성하지 않았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업적 염소계소독제 처리방법에 비하여 이산화염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이산화염소 응용 시에 처리시간보다 처리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병원성 미생물을 저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산화염소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는 미생물 및 오염된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odium Hypochlorite 처리가 몇가지 작물의 종자소독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on Incidence of Seed-borne Fungi in Several Crop Seeds)

  • 구자형;유승헌;이향범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8-24
    • /
    • 1993
  • 일반소독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NaOCl을 종자소독제로써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확립하고자 종자전염에 의한 병해 발생이 많은 볍씨와 채소종자를 대상으로 소독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aOCl의 참깨 종자 소독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NaOCl의 농도가 높을 수록 그리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종자 소독 효과가 뚜렷 하였으나 종자 발아 장해를 일으켰다. 종자발아율을 높이며 소독효과가 우수한 종자 처리 방법은 NaOCl 1-2%에서 10분간 침지하는 것이었고, 벼 종자소독 효과는 NaOCl 농도 1-2%에서 침지시간을 30분 이내로 하는 것이 좋았다. 2. 무, 배추 종자 소독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NaOCl 농도 1%에서 10분간 침지할 경우 각종 Alternaria균의 검출율을 현저히 저하시켰고, 고추종자에서는 NaOCl 농도 1%에서 10분간 침지할 경우 각종 탄저병균의 검출율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3. 종자전염성 진균에 대한 NaOCl의 소독 효과는 종자소독제인 Benlate T에 비하여 참깨종자에서는 우수하게 나타났고, 볍씨에서는 비슷하였다. 그러나 NaOCl은 처리농도가 높고 시간이 긴 경우에는 발아장해를 초래하였다.

  • PDF

나라별 수출입 화물 목재포장재 소독처리 기준 (Standard of Imports and Exports in Wood Packing Material)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150호
    • /
    • pp.129-139
    • /
    • 2005
  •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재철)가 주최하고 국립식물검역소, 한국수출입식물방제협회, 한국중량물포장협회, 한국파렛트협회가 주관하는 수출입 화물 목재포장재 검역 설명회가지난 달 6일 트레이드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설명에서는 $\Delta$ 우리나라 수입목재포장재의 검역요건 $\Delta$ 목재포장재 수출입절차 및 주의사항 $\Delta$ 목재포장재 대체용기를 소개했다. 본 고에서는 나라별 수출∙입 화물 목재 포장재 소독처리 기준을 살펴본다.

  • PDF

누에고름병 바이러스와 흔굳음병균에 대한 포르말린 훈연소독 (Disinfection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 and Yellow Muscardine pathogen (Beauveria bassiani) of Silkworm, Bombyx mori L., by Formalin Fumigation)

  • 이영근;이재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5-109
    • /
    • 1990
  • 포르말린에 과망간산카리(KMnO4)를 넣어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 가스로 누에고름병 바이러스의 불활화와 흰굳음병균에 대한 소독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누에고름병 바이러스(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불활화는 잠실면적 3.3$m^2$당 포르말린 25$m\ell$에 과망간산카리 10g을 혼합하여 하룻방 동안 훈연소독을 실시하였을 때 상당한 수준의 소독효과가 있었고 같은 잠실단위 면적에 포르말린 75$m\ell$와 과망간산카리 30g을 혼합하여 하룻밤 동안 훈연상태를 유지하였을 때는 거의 완전한 불활화가 이루어졌다. 2. 노란굳음병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잠실면적 3.3$m^2$당 포르말린 50$m\ell$에 과망간산카리 20g을 반응시켜 훈연소독을 실시하였을 때는 처리받은 균의 자람이 상당한 수준 억제되었고 같은 단위면적에 포르말린 75$m\ell$와 과망간산카리 30g을 혼합시켰을 때는 완전한 살균이 이루어졌다. 3. 포르말린 훈연소독에 의한 누에에 미치는 영향은 4령 1일째와 5령 1일째 2회와 4령 1일째, 5령 1,3일째 각 1회씩 3회를 처리하였을 때(훈연소독은 저녁급상후에 실시하고 다음날 아침 급상때까지 유지시킴) 전견종, 견층중, 견층비율, 유충기간(4-5령) 등에서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3회 처리시에는 실품림새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약간 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