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규모 공사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2초

울릉도에서의 화산과정과 발생 가능한 분출유형의 평가 (Evaluation of Volcanic Processes and Possible Eruption Types in Ulleung Island)

  • 황상구;정성욱;류한영;손영우;권태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715-727
    • /
    • 2020
  • 울릉도에서 화산층서는 도동현무암질암류, 울릉층군, 성인봉층군과 나리층군 등의 4개 층군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 화성쇄설암층은 도동현무암질암류에 협재하는 라필리응회암, 사동각력암 상부의 라필리응회암, 사태감응회암, 곰바위 용결응회암, 봉래분석층, 말잔등응회암, 나리분석층과 죽암분석층 등이 있다. 분출유형을 살펴보면 도동현무암질암류 내의 라필리응회암은 써쩨이언 분출에 의한 것이고 봉래분석층, 나리분석층과 죽암분석층은 소규모 스트롬볼리언 분출 혹은/및 저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것이지만, 사태감응회암과 말잔등응회암은 대규모 플리니언 분출과 수증기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것이다. 특히 말잔등응회암의 분출은 칼데라를 형성할 만큼 규모가 컸었으며, 한반도 동해안과 일본 열도까지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아직도 살아있을 잠재성 높은 마그마는 조면안산암질과 포놀라이트질로 판단된다. 조면안산암질 마그마가 폭발한다면 아마도 스트롬볼리언 분출로 발생하여 폭발강도가 상당히 낮겠지만, 포놀라이트질 마그마가 터진다면 플리니언 분출로 폭발강도는 훨씬 더 커질 것이다. 그 분출이 높은 폭발강도를 가진다면, 단열의 발생빈도도 커질 것이고 그에 따라서 지하수의 유입으로 인해 수증기플리니언 분출로 쉽게 전환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대규모 분출은 한반도 동해안과 일본열도까지도 테프라를 확산시킬 수 있다.

소규모 해수담수화 시설의 생산비용 절감 방안 (Cost Reduction for Small-Scale Desalination Plants)

  • 박남식;박준영;문유리;김자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0호
    • /
    • pp.809-817
    • /
    • 2011
  •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위탁 관리하고 있는 서남해안 도서지역 역삼투 해수담수화 시설 40여곳에 대한 비용 분석을 통하여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찾아내고 담수화 비용 절감방안을 제시하였다. 시설에 공급되는 원수의 염도(TDS)는 담수로 취급될 수 있는 1,000mg/L 이하에서부터 해수수준인 3,000mg/L 이상까지 다양한 범위를 보이고 있다. 2005년부터 5년 동안의 비용분석 결과 유지보수비가 50.6%, 인건비가 36.9%, 그리고 에너지비가 7.8%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에너지 비용은 물론 담수화 비용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지보수 비용도 원수의 TDS 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원수의 TDS 농도가 담수화 비용의 60%에 달하는 부분에 영향을 끼치므로 담수화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저염도 원수 확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구조와 지하 투과 레이더를 이용한 지하공동구 위치 해석 (The Analysis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 Positions using Lineament and GPR)

  • 장호식;서동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2-150
    • /
    • 2006
  • 최근 토목시공 현장에서는 사면안정 및 보강공사를 하기 위한 앵커 및 굴착작업 도중에 일부 구간에서 지하 공동구가 발견되어 현장애로 사항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문제점을 사전에 미리 파악하고자 비파괴 물리검사인 지하 투과 레이다 탐사방법을 적용하여 지하공동구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또한 입지적인 환경인 지질상태를 이해하기 위해 선구조 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입지분석에 의하여 연구 대상 지역의 지질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기초로 하여 지하 투과 레이다 탐사 결과, 소규모 및 대규모의 지하 공동구 및 이상대의 위치와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시공현장에서 조사 및 설계에 대한 효율적인 시공방법과 유지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접근 가능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 PDF

Kinematic GPS에 의한 3차원 위치결정의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the Accuracy of Kinematic GPS Positioning)

  • 강준묵;김홍진;이형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9-87
    • /
    • 1993
  • 각종 건설공사와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위한 3차원 지형정보의 효율적인 획득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GPS를 이용한 3차원 위치결정의 정확도 분석 및 응용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inematic GPS에 의한 지형정보구축의 효용성 및 응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삼각, 삼변측량 및 static GPS 측량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kinematic GPS 측랑성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선길이 1.5km 정도의 소규모 지역에서 kinematic GPS 측량으로도 static에 대해 기선의 경우 6mm 이하, 위도, 경도의 경우 2/10,000-4/10,000초, 고도의 경우 20cm 미만의 차로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측량방법과 비교해 볼 때 수평위치에서 l/l,000-3/l,000초 정도의 접근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지형도 작성 및 G1S와 연계한 데이타베이스 구축의 효용성 및 실용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럽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dular System to the Superstructure of Floating Architecture in Europe)

  • 송석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873-881
    • /
    • 2012
  • 현장 공사의 제약이 많은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방안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모듈러 시스템이 적용된 유럽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형은 단위 건축물 모듈러 유형, 단위 공간 모듈러 유형, 계획 개념으로서 모듈러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유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유형은 소규모 풀로팅 주거 건축에서 적용된 단위 건축물 모듈러 유형이었고, 단위 공간 모듈러 유형은 중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유형이었다. 계획 개념으로서의 모듈러 유형은 실현된 사례는 많지 않았으나, 건축물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유형이며, 플로팅 건축의 영역을 확장하여 플로팅 도시와 같이 보다 큰 규모의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농촌지역 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재해조사를 통한 저감방안 고찰 (Measur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by Investigating them a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in Rural Area)

  • 김병윤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5-102
    • /
    • 2014
  •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 victi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s for 1/3 of those in the entire industries and about 30% of the total compensation costs are sp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such,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typical industry causing numerous safety acci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to build maximum five-story buildings by examining statistical data for the past five years, investigating those construction site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workers. This study also seeks the causes of and measures f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comparison with relevant syste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o reduce hazard rate, shap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fety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physically weak classes of the middle aged and the aging are urgently required, because 62.9% of the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red to those who are 50 years of age or older. (2) The hazard rate a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10 construction workers accounts for 55% of that of the entire industries. The government, in this context, needs to support finance or technology and improve system by selecting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industrial accidents occur frequently. (3) Because the hazard rate of unskilled workers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 accounts for 90.95% of the total,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concentrated on those unskilled workers. (4) The relevant standards need to be segmented and revised and bolstered, given that 64.79% of death disast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s in the temporary structures including scaffolds and ladders.

유사동적실험에 의한 RCSF 외부접합공법으로 내진보강 된 중·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edium-and Low-rise R/C Buildings Strengthened with RCSF External Connection Method by Pseudo Dynamic Test)

  • 이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3-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강도증진형 내진보강법의 단점을 보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내진보강법인 RCSF (Reinforced Concrete Steel Frame) 외부접합형 내진보강공법을 제안하였다. RCSF 보강법은 거주자가 거주가 가능하면서 내진보강 공사를 실시할 수가 있으며, 접합부 시공성이 탁월하며, 특히 필요 내진보강량 산정이 간편한 전형적인 강도증진형으로 전단파괴가 지배적인 비내진상세를 가지는 국내 중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에는 내력확보가 용이한 내진보강공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RCSF 외부접합형 공법의 유용성을 검증 할 목적으로 기존 중 저층 철근콘크리트 학교건물의 골조를 대상으로 유사동적실험을 실시하여 검증함과 동시에 내진보강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규모 (300gal)에서 비보강 골조는 붕괴를 하였지만, RCSF 외부접합형 내진보강법으로 보강한 골조는 경미한 지진피해가 예상되었으며, 대규모 지진 (400, 500gal)을 상정한 경우에도 소규모 이하의 지진피해가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 개발한 RCSF 내진보강법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고 사료된다.

PC용 CAD를 이용한 단지기반시설 정보화 (Establishing Automated Mapping/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PC-CAD)

  • 이규석;안승만;탁형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1-148
    • /
    • 1997
  • 지속적인 PC의 발전 및 이에 반비례한 가격의 하락, Windows 95. Windows N/T로 이어지는 PC운영체제의 확장은 소규모 단지의 경우 PC에서도 도시기반시설관리정보체계의 운영가능성을 신중히 모색케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AutoCAD를 이용하여 한국토지공사의 단지기반시설 업무인 pipe-based도시기반시설-상수, 우수, 오수-및 도로의 도면정보와 속성정보를 PC상에서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자료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향후 구축 방향 및 문제점을 논하였다.

  • PDF

전국 도시재정비사업 추진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고찰: 주택재개발사업 및 주택재건축사업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Urban Renewal Projects in Korea: Focused o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 임정민;이영환;김재승;김성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33-348
    • /
    • 2013
  • 최근 정비사업은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사업성 악화, 정비구역의 과다 지정, 사업추진 과정상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및 비리 발생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수도권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업 추진이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국의 각 지역별 정비사업 추진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과 함께 사업추진 단계별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비사업 정상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개별 정비구역에 대한 구체적 현황자료 및 언론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전국적 정비사업 추진실태에 대해서 지역별 사업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정비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정비기본계획의 수립 및 정비예정구역의 지정이 필요하다. 둘째, 대규모 정비사업보다는 지역의 다양한 여건에 부합할 수 있는 소규모 단위의 점진적 정비사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방의 여건을 고려한 중앙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민간 중심의 사업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 공공의 파트너십 형성과 통하여 정비사업의 투명성 제고, 사업여건 개선, 공공의 역할 확대를 통한 새로운 방향의 협력적 정비사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사업의 추진현황 검토 및 한국의 추진방향 제안 (Review of CO2 Storage Projects and Driving Strategy of CO2 Storage Program in Korea)

  • 권이균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2호
    • /
    • pp.167-185
    • /
    • 2016
  • $CO_2$ 지중저장 기술은 가장 유력한 대용량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여 국제적으로 노르웨이, 알제리, 캐나다, 미국 등에서 이미 대규모 실증 및 상용화 사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호주, 일본, 네덜란드, 독일 등 그 밖의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내용과 규모를 갖는 중소규모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도 소규모 육상 파일럿 저장 프로젝트와 중규모 해상 저장실증 프로젝트가 추진되어 착실하게 기술개발과 경험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CO_2$ 지중저장 사업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온실가스 감축시장의 불안전성, 사업의 수익구조와 관련된 경제성, 누출에 대한 안전성 등의 위협요소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과 안전한 지중저장 기술의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 저장소가 주요 포집원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갖고 있는 해저에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지중저장 사업의 경제성 확보가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따라서 정부나 기업이 CCS 기술을 주요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채택하여 대규모 지중저장 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한국과 같은 불리한 조건을 갖는 국가의 경우에 특히 대규모 저장소의 확보를 포함한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의 실용화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CO_2$ 지중저장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소의 확보,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의 개발과 실증을 통한 실용화, 중소규모 지중저장 실증사업으로 축적한 기술과 경험으로 대규모 지중저장 사업의 효율화 달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실천적인 로드맵과 프로그램의 작성과 착실한 이행 역시 중요하다. 이러한 기반이 착실하게 다져질 경우에 한국에서 대규모 CCS 통합실증과 $CO_2$ 지중저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