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괴경 수량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배양액의 pH저하 처리에 의한 감자소괴경 형성 촉진 (Effects of Temporary pH Reductions of Solution on Tuberization of Potato(Solanum tuberosum L.) in Hydroponics)

  • 박용봉;금기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0-35
    • /
    • 1999
  • 감자 양액재배시 소괴경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감자 유식물체를 정식후 35일에 10시간 동안 배양액 pH를 3.0, 4.0, 5.0과 6.5로 각각 조절하였을 때 생육상황과 소괴경 수량을 조사한 결과, 소괴경 형성은 pH 3.0 처리구에서 빨랐으며 처리후 20일까지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배양액 pH가 낮을수록 복지수가 증가되어 괴경수가 많았으며 괴경 건물율도 높았고 정식후 90일째 소괴경 수량은 pH 3.0처리에서 72.1개, pH 4.0에서 69.8개, pH 5.0에서 65.2개, pH 6.5에서 60.3개였다. 3g이상크기의 소괴경의 분포비율은 pH 3.0에서57.9%로 가장 높았으며 pH 5.0과 6.5에서 50.8%로서 가장 낮았다.

  • PDF

莖揷, 器內小塊莖形成, 養液裁培에 의한 감자 無病株 생산 方法 (Production Method of Basic Se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by Stem Cuttings, Microtuberization and Hydroponic Culture)

  • 김현준;김숭열;신관용;김학기;김화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3-86
    • /
    • 1997
  • 조직배양묘를 이용한 감자 무병주 생산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경삽, 기내소괴경 양액재배 및 이들 생산괴경에 대한 후대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조직배양묘를 이용한 씨감자 생산방법별 $\textrm{m}^2$당 수량성을 비교해보면 괴경수에 있어 온실내 경삽증식은 75개, 기내소괴경형성시 플라스크는 700개, 페트리디쉬의 경우 1,080개 그리고 양액재배에서는 1,152개가 생산되어 페트리디쉬와 양액재배산 생산방법이 경삽증식이나 삼각 플라스크방법보다 괴경수가 많았으며 괴경중의 경우에선 양액재배방법이 4,492 g로 경삽(4,136 g), 페트리디쉬를 이용한 기내소괴경(1,080 g)의 경우보다 많았다. 그리고 생산방법별로 후대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103 당 총수량은 경삽재배산 종서 > 기내소괴경 1차증식산 > 양액재배산 > 기내소괴경 순으로 높았으며 10 a당 괴경수는 양액재배산이 33,064개로 가장 많이 생산되어 상위단계(기본종, 기본식물) 종자생산에 있어 양액재배산 씨감자 이용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자의 생육 및 괴경수량에 미치는 소괴경 크기의 영향 (Effect of Microtuber Size on Growth and Yield in Potatoes)

  • 남상용;소창호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07-115
    • /
    • 1998
  • 감자는 서늘한 기후에 알맞고 생육적온은 15-2$0^{\circ}C$로 뿌리형성의 적온은 낮 2$0^{\circ}C$, 밤14$^{\circ}C$로 고온에서는 뿌리의 수가 불어나지만 종량은 감소한다. 단위면적당 수확양을 선진국수준의 300평당(10a) 3,000kg이상으로 올리기 위해서 각종병이나 virus에 감염되지 않은 무병종서의 보급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중략)

  • PDF

양액재배방식이 '대지'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생육 형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ution Culture System on Growth and Mini-tuber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Potato(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 김기택;박용봉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8-204
    • /
    • 1997
  • 감자 소괴동 산을 위해 적합한 양담재배방식을 구명코자 분무경, NFT, perlite 및 scoria 배지비을 이용하여 '대지' 품종을 공시하고 생육과 소엽도의 연성 및 준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무병 방식이 NFT 방식이나 Perlite 및 scoria 배지경에 비해 정식 후 40일과 60일의 지상부 생조이 좋았고, 정식후 90일에는 동윤이 65.4cm, 주당자육가 7.3개로서 가장 많았으며, scoria 배지경은 기윤이 49.5cm, 도상기육 3.2개로서 가장 적었다. 2. 포지장은 분무비에서 30.4cm로 가장 길었고, 주당각지육는 NFT 방식에서 10.5개로 많았다. 3. 정식 후 90일에 주당 괴경수는 분무경에서 67.1개, NFT 62.5개, Perlite 배지경 20.1개, scoria 배지경 18.0개였다. 4. 3g 이상의 괴대 크기 분포는 분무경 72.7%, NFT 62.6%, perlite 배지비 84.1%, scoria 배지경 83.3%로 고협배지경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주당 괴동수가 적기 때문에 총수양 은 적었다. 5. Perlite 배지경에서 황산된 소괴경은 피일발이이 적고 표피가 매끄러워서 보질의 괴대이 생산되었다.

  • PDF

배지 및 재식밀도가 심지양액재배 씨감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Seed Potatoes Grown in a Wick Hydroponic System)

  • 김찬우;송창길;박정식;문현기;강영길;강봉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1-255
    • /
    • 2008
  • 상위 씨감자 순환식 심지양액재배에 있어서 송이의 배지 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과 알맞은 재식밀도를 구명하고자 송이 + 피트모스(1:2, v/v)와 펄라이트 + 피트모스(1:2, v/v) 배지에 대지 소괴경($7.0{\pm}0.2\;g$)을 상자($0.16\;m^2$)당 각각 3, 6, 9, 12, 15주(19, 38, 56, 76, $95/m^2$)를 심어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모든 형질에 있어서 배지종류와 재식밀도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다. 생육불량주가 상자당 3주$\sim$12주재식구에서 $8.3{\sim}14$이었으나 15주재식구에서는 25.8%이었다. 2. 줄기 및 잎의 길이, 주당 경수 등은 배지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m^2$${\geq}5\;g$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송이혼용배지에 비해 펄라이트혼용배지에서는 각각 21% 및 32% 증가되었다. 3. 재식밀도가 상자당 3주에서 9주로 증가됨에 따라 줄기 및 잎의 길이가 작아졌으나 더 밀식될 때에도 이상 감소되지 않았으나 주당 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밀식할수록 감소되었다. 4. 재식밀도가 상자당 3주에서 15주로 증가됨에 따라 $m^2$${\geq}5\;g$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각각 101개와 6.3 kg에서 269개와 11.6 kg으로 증가되었다. 5. 소괴경 심지양액재배 시 펄라이트 + 피트모스 배지가 보다 적합하며, 생육불량개체비율, $m^2$${\geq}5\;g$괴경수과 괴경수량 등을 고려한 알맞은 재식밀도는 소괴경이 충분할 경우 $m^2$당 76주 정도, 부족할 경우 56주 정도로 판단된다.

감자 眞正種子의 器內小塊莖 形成에 의한 耐暑性 系統 選拔 (Selection of Heat-tolerant Potato Clones by In Vitro Tuberization from True Potato Seeds)

  • 김현준;김영화;유승렬;김병현;김정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1
    • /
    • 1997
  • 감자 실생개체들의 내서성계통을 조기 선발하기 위해 CIP575015 $\times$Katahdin CIP 575015 x B6603-6, 84 I 35-4 $\times$Katahdin, CIP 575015 $\times$Nooksack 그리고 CIP575015 $\times$Superior 등 5조합을 교배하여 획득된 총 750립의 진정종자를 기내에서 각각의 조합을 온도별로 처리하여 괴경 형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온도가 2$0^{\circ}C$에서 3$0^{\circ}C$로 증가할 경우 평균 괴경형성율이 2$0^{\circ}C$에 비해 평균 43%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CIP575015 $\times$Katahdin조합은 21%로 가장 낮았다. 반면에 CIP575015 $\times$B6603-6 조합은 3$0^{\circ}C$에서도 58%의 괴경형성율을 보여 고온에서도 괴경형성이 잘되는 내서성 조합으로 생각되었다. 기내 고온조건하에 선발된 계통을 고온기 포장에서 내서성을 검정하기 위해 기내소괴경에서 생산된 괴경을 저지대 난지인 강릉 포장에 재배하였다. 조합별 괴경특성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 2$0^{\circ}C$에서 선발된 계통 중 1계통, 3$0^{\circ}C$에서 선발된 계통중 3계통의 내서성계통을 선발하였다. 수량성에서는 89ML75-8 계통이 수미품종 대비 88%의 증가로 다수성이었으며, 89ML64-11 계통은 건물율이 18.8%로 수미 품종보다 11%가 증가되어 전분용으로 유망시 되었다.

  • PDF

기내(器內) 대량(大量) 생산(生産) 반하(半夏) 종구(種球)의 포장(圃場) 재배기술(栽培技術) 연구(硏究) II.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생육특성(生育特性), 괴경(塊莖)크기 및 수량(收量) (Cultural practices of in vitro Tuber of Pinellia ternata(Thunb.) Breit II.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Growth, Tuber Size and Yield)

  • 박문수;박호기;김태수;장영선;박근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5-119
    • /
    • 1993
  • 조직배양기법(組織培量技法)을 이용(利用)하여 대량증식(大量增殖)된 반하(半夏) 종구(種球)를 포장재배(圃場栽培)할 때 알맞은 수확시기(收穫時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12개월(個月), 18개월(個月) 및 24개월(個月) 수확시(收穫時) 생육특성(生育特性),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 및 수량(收量)등에 관련(關聯)된 몇가지 형질(形質)에 대(對)하여 3년간(年間)('90${\sim}$'92년(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초장(草長) 및 엽장(葉長)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부터 24개월(個月) 수확(收穫)까지 늦게 수확(收穫)할 수록 초장(草長)은 $0.7{\sim}6.5cm$엽장(葉長)은 $0.6{\sim}2.6cm$ 각각(各各) 길었으며, 특히 파종후(播種後) 18개월(個月) 이후(以後)는 신장정도(伸長程度)가 둔화(鈍化)되었다. 2.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입묘주수(立苗株數)는 파종당시(播種當時) $m^2$당(當) 주수(株數)가 78개(個)이었으나 6개월(個月) 후(後)에는 2.3배(倍), 12개월(個月) 후(後)에는 5.6배(倍), 18개월(個月) 후(後)에는 13.3배(倍), 24개월(個月) 후(後)에는 20.0배(倍)로 수확(收穫)을 늦게할 수록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3.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괴경장(塊莖長), 괴경폭(塊莖幅) 및 괴경량(塊莖量)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sim}$12개월(個月) 수확(收穫) 까지는 증가폭(增加幅)이 미미(微微) 하다가 18개월(個月) 수확(收穫) 때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이후(以後)는 완만(緩慢)하게 증가(增加)하였다. 4.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는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12개월(個月) 수확(收穫)은 중(中), 소괴경(小塊莖)이 많은 반면 18개월(個月) 이후(以後) 수확(收穫)은 상품성(商品性) 있는(직경(直徑) 7.1mm이상(以上)) 중(中), 대괴경분포(大塊莖分布)가 많았다. 5.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10a당(當) 생체수량(生體收量)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은 172kg, 12개월(個月) 수확(收穫)은 231kg, 18개월(個月) 수확(收穫)은 345kg, 18개월(個月) 이후(以後) 수확(收穫)은 392kg으로 증수(增收)하였으나 24개월(個月) 증가폭(增加幅)은 미미(微微)하였다. 6. 지상부(地上部) 엽형(葉型)의 전개정도(展開程度)를 보고 지상부(地上部)의 괴경폭(塊莖幅)과 괴경량(塊莖重) 등(等)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