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각재 혼합 콘크리트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Quality of Concrete with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Ash (쓰레기 소각재 사용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Jae-Woo;Choi, Jae-Jin;Moon, Dae-Joong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2 no.4
    • /
    • pp.335-344
    • /
    • 2014
  • The Quality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ash (incineration ash) was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e reusing for concrete material. The folw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mixed with incinerator ash were investigated. CaO component was included more than 50% in chemical component of incinerator ash, mean size of 50% accumulated particle distribution of incinerator ash was about $25{\mu}m$. Particle shape of incinerator ash ($IA_1$) was massed the round shape with fine particle, particle shape of incinerator ash ($IA_2$) was piled up the sheet shape according to manufacture procedure. The Quality of concrete was effected by use of incinerator ash. When the incinerator Ash ($IA_2$) was used, slum of concrete was increased and dosage of high range water reducing agent was reduced. However,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was decreased. Dosage of high range water reducing agent was increased by combined use of incinerator ash ($IA_2$) and diatomite powder, but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was improved. Ratio of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was in the range 85%~105% of CEB-FIP model code.

Recycling of the Bottom Ash, Sourced from the Local MSW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as a Fine Sand for Concrete (소각장(燒却場)에서 발생되는 바닥재의 콘크리트용 잔골재(骨材)로서의 재활용(再活用))

  • Lim, Nam-Woong
    • Resources Recycling
    • /
    • v.16 no.2 s.76
    • /
    • pp.40-47
    • /
    • 2007
  • This paper described recycling of the bottom ash, sourced from the local incinerators as a fine sand for concrete. 10% bottom ash was substituted for the ordinary beach sand in the mortar(on a weigh basis), in conjunction with the pozzolznic diatomite. The specimens were tested according to KS L 5105 and analysed by TCLP(Toxic Chemical Leaching Proced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azardous heavy metals in the bottom ash are within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 of TCLP.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ortar with 10% bottom ash was high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mortar when the pozzolanic diatomite was used. It revealed that the hazardous heavy metals of the mortar with 10% bottom ash were leached within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 of TCLP. It was concluded that the bottom ash can be reused as a fine sand for concrete when the pozzolanic diatomite was used as a stabilizer.

The Solidification Characteristics of Recycled Aggregate Mixed with Incineration Ash and Waste Concrete (소각재와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고형화 특성)

  • Yeon, Ikjun;Ju, Soyoung;Lee, Sangwoo;Shin, Taeksoo;Kim, Kw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5
    • /
    • pp.5-13
    • /
    • 2008
  •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recycled crushed concrete as aggregate used cement mortar replace sand and to investigate engineering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for hazardous waste solidifica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replaced 5-15% (wt.) recycled aggregate was over $163kgf/cm^2$ which is the standard of first grade concrete block class C. And cement mortar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stability by leaching test. Cu, Cd, Pb, Cr, and As as the heavy metals were proved very stable but mercury (Hg) was leached high concentration because it was simply tied to the cement surface. We investigated the crystal structures of cement mortar and they had shown the peaks of $Ca(OH)_2$, ettringite, and CSH (calcium silicate hydrate). As the result, the longer curing time, the higher CSH peak that means to increas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ement mortar was more stabl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it may be possible to apply hazardous waste solidification using recycled aggregate, fly ash and sewage sludge ash.

  • PDF

A Study on Isolation of Mixed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and the Waste in Railroad Workshop (철도 정비창의 폐기물과 혼합된 중금속 오염토 분리에 관한 연구)

  • Son, Woohwa;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12
    • /
    • pp.59-66
    • /
    • 2012
  • In this study, it was sampling from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with the waste in railroad workshop. And, the pollution concentration and analysis of particle-size distribution were conducted to design efficient purification process that it was aimed at high contaminated area, low contaminated area and samples containing waste foundry sand. But, it was the other signs of general soil contamination, as construction waste of waste concrete and waste wood, waste foundry sand, incinerator ash, etc is overall buried on the grounds. Thus, the common heavy metal purification technology has not decreased the pollution. However, heavy-metal contamination was reduced by magnetic separation utilizing the magnetic component of the mixed waste.

건설산업경쟁력 강화와 부실방지대책(안)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54 s.71
    • /
    • pp.185-206
    • /
    • 1996
  • 1.건설제도의 국제화와 경쟁기반 구축 $\bullet$건설산업을 기획$\cdot$설계$\cdot$시공$\cdot$감리$\cdot$사후관리 등 전 분야에 걸쳐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기획$\cdot$설계$\cdot$시공$\cdot$감리$\cdot$유지관리 등 건설산업 전반에 관한 기본사항을 법제화-대규모 공사의 경우 발주자를 대신하여 건설공사의 기획$\cdot$설계$\cdot$발주$\cdot$감리$\cdot$시공관리 등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종합적으로 조정$\cdot$관리하는 $\lceil$건설사업관리$\rfloor$제도를 도입 $bullet$건설공사 $\lceil$현장실명제$\rfloor$도입을 통한 하도급제도의 정비-전문건설업자로부터 하도급, 위탁, 고용 등의 형태로 공사에 참여하는 현장근로자를 신고 받아 권익을 보호하고 시공책임도 부과하는 $\lceil$현장실명제$\rfloor$도입 $\bullet$공사완성보증제, 손해배상보증제도를 도입하고, 신용상태 $\cdot$시공능력에 따라 보증 요율 등을 차등화 하여 부실업체를 배제 $\bullet$건설공사관련 각종 계약서와 시방서 등 제기준을 정비하여 발주자$\cdot$시공자 등 건설주체간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화$\bullet$건설분쟁을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조정$\cdot$중재하기 위하여 $\lceil$건설분쟁중재원$\rfloor$으로 확대 개편 2. 건설인력의 육성과 고용안정$\bullet$경쟁력 제고의 관건인 우수인력 확보를 위하여 대학교육 제도의 개선을 포함한 건설 인력 수급대책을 추진 - 대학의 건설관련 학과 정원을 2000년까지 매년 일정규모로 증원하여 고급기술 인력을 배출 현재 50$\%$에 불과한 건설관련 국가기술자격자를 2000년에 70$\%$까지 제고 - 감리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선진외국 감리 회사를 활용하여 국내 업계와의 경쟁을 유도 $\bullet$건설현장의 최일선에서 품질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기능공의 고용안정과 복지향상을 위한 획기적인 대책을 마련 - 건설기능공의 자긍심과 사회적 책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기능공이 여러 현장을 전전하여 근무하더라도 경력관리, 공제금 등의 합산 관리가 가능하도록 $\lceil$건설 근로자 복지카드$\rfloor$제도를 도입 *$\lceil$건실시연구단$\rfloor$을 구성$\cdot$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수립 - 건설 업체 실정에 맞는 현장위주의 기능검정제도 도입 $\cdot$자격증이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능수준과 숙련도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검정방법을 현장 실기위주로 개선하고 자격검정업무도 건설협회 등의 자격 검정능력을 향상시켜 위탁$\cdot$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3. 공사시행기관의 전문성과 책임성 제고 $\bullet$시장이 개방되어 건설공사가 국제적인 관행에 따라 이루어질 것에 대비하여 시행기관에 계약$\cdot$공사관리 등 전문직공무원을 집중 교육하여 양성 $\bullet$ 조달청이 대행하여 공사계약을 하는 경우라도 설계변경은 발주기관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 $\bullet$ 기술직 공무원의 기술향상을 위하여 관련 공무원의 확충, 해외연수, 현장교육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 $\bullet$ 충분한 사전조사를 거쳐 사업계획을 수립하도록 $\lceil$건설공사 시행절차$\rfloor$를 규정 $\bullet$ 공사기간 3년 이상의 공사에 대하여는 최대한 계속비사업으로 편성토록 계속비제도의 운영을 활성화 4. 건설현장의 품질관리체제 구축 $\bullet$ 현장배쳐플랜트 설치를 확대하여 레미콘의 품질관리를 일원화하고 현장에서 레이콘을 배합하는 건식공법을 채택 - 현장레미콘생산시설(B/P)설치 확대로 콘크리트 하자에 대한 책임한계 일원화 유도 - 레미콘 재료인 골재$\cdot$시멘트$\cdot$물을 공장에서 혼합하여 공급하는 현행 습식배합 대신에 물만을 현장에서 혼합하는 건식 배합방식을 도입 $\bullet$철강재$\cdot$철구조물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일정기술을 갖춘 공장에서만 제작토록 하는$\lceil$공장인증제$\rfloor$를 도입 - 제작시설과 품질관리 등을 심사하여 제작공장을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철강재 등의 제작업무 범위를 차등화 $\bullet$시설물에 대하여도 시공업체가 제작공장을 등급화하고 등급에 따라 철강재 등의 제작업무 범위를 차등화 $\bullet$시설물에 대하여도 시공업체가 사후관리를 일괄 책임질 수 있도록 $\lceil$시공 및 유지관리 일괄계약제도$\rfloor$를 도입 - 대형교량$\cdot$소각로$\cdot$하수처리장 등 유지관리에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부터 시범적으로 도입 $\bullet$건설자재의 표준화$\cdot$정보화사업을 조속히 추진 5. 건설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 $\bullet$일부 공공사업자의 경우 관행화되어 있는 대금일부의 어음 또는 채권지급방법을 단계적으로 축소 $\bullet$매월 감독이나 감리원의 기성확인에 의하여 시공자에게 공사대금을 직접 지급토록 하는 등 대금 지급절차를 간소화 6. 민간 건축물에 대한 안전확보 $\bullet$충실한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제도를 개선 -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제정하고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는 건축심의단계에서 구조검토 등 설계심의를 의무화 $\bullet$대형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감리 강화 - 감리전문회사 수준의 감리체제로 전환하고 감리대가도 공공수준으로 인상하고 적용요율대로 지도$\cdot$감독 강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