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각로

Search Result 1,14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bout Fluidized Bed Incinerators (유동층 소각로에 대하여)

  • 박승호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7
    • /
    • pp.620-637
    • /
    • 1995
  • 이 글에서는 유동층소각로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을 정리하고자 한다. 일부 교과서적인 내용이 서술되어 있으나, 자세한 이론적 고찰보다는 현상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고, 실제 유동층 소각로와 관련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과의 토론 및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을 간략히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유동층은 효울적인 화학반응로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 글에서는 환경 및 에너지분야와 일정한 관계가 있는 폐기물 소각로 및 석탄연소로로서의 유동층의 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환경 및 에너지산업의 현황을 이해함으로써 유동층의 핵심적 역할 담당 가능성을 밝힌다. 그리고 소각로의 종류 및 유동층의 역사와 응용에 대하여 각략히 설명 한다. 여타의 소각로와는 다른 특성인 기포유동특성 및 유동화에 대하여 논함으로써 유동층에 대한 기본현상을 파악한다. 유동층 소각로의 중요한 기능인 공해물질의 노내처리에 대하여 논 의하고, 기포유동층보다 효율적인 순환유동층 및 가압유동층의 특성과 역할을 소개한다. 그리고 유동층 소각로의 예로 일본의 폐기물소각로 및 하수슬러지 소각로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최종 적으로는 유동장 소각로의 실제 설계과장에 대하여 간략히 해설한다.

  • PDF

Analysis of Waste Incinerator and Its Selection (폐기물 소각시설분석과 소각로 선정)

  • 임계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2
    • /
    • pp.107-117
    • /
    • 1995
  • 최근 몇년전 부터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소각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전, 경제활동의 팽창 및 다양화 등에 의하여 폐기물의 질적 변화가 적정처리에도 영향을 미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또한 폐기물의 단순 매립처리가 사후 관리에 여러가지의 어려움과 매립지 선정 자체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각기술이 아직도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현재 가동중인 소각시설에도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들의 문제해결이 시급한 것이 현재의 현실이다. 심한 경우에는 폐기물 처리목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여도 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적정 처리시설을 선정하지 않아 소각로 가동 시운전 단계에서도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반면 적은 투자로도 만족할 만한 처리효과를 내며 가동하는 경우도 있어 당초 계획단계 부터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소각로는 외부로 보기에는 거의 비슷하나 상세히 검토하면 소각로에 대한 선택적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소각로를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소각로의 선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초점을 두어 현재의 소각기술을 분석하고 선정과정을 검토해 나가기로 한다.

  • PDF

Municipal Waste Incinerator (도시 쓰레기 소각로)

  • 김영도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8
    • /
    • pp.617-625
    • /
    • 1994
  • 최근에 매립에 의한 도시 쓰레기 처리방법이 한계에 도달해감에 따라 이를 좀더 감량화하고 안 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각처리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2001년까지 국내 생활쓰레기의 25%를 소각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투자 계획을 세워놓고 있으며 이를 달 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소각기술 및 소각 플랜트 기술의 자립이 급선무이다. 현재 우리나 라의 소각로 기술은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그 동안 대부분의 소각로를 외국 기업으 로부터의 기술 도입을 통하여 건설하여 왔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불이익이 있으며 특히 소각로 설계 기술의 자립과 국산화라는 근본적인 목표 달성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술상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었보다도 선진 원본기술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 연구와 정부 및 산.학.연간의 협조에 의한 연구 개발노력과 투자가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소각로의 안전성과 신뢰성향상을 위한 꾸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 주 민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소각로 기피현상을 조속히 타개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cinerator for Medical Wastes (감염성 폐기물 처리용 소각로 특성에 대한 연구)

  • 채호준;조석연;박용한;장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71-472
    • /
    • 2003
  • 국민의 보건의식이 높아짐에 따라서, 병원에서 배출되는 감염성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감염성 폐기물 처리방법으로는 가압멸균과 산화소각 및 건류소각이 있는데, 본 연구 목적은 100%멸균이 보장되는 중형 산화소각을 설계하고 이의 운영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감염성 폐기물은 일정규격의 상자에 담아서 배출되며, 저온에서 이송과 저장이 이루어지며, 소각로 투입시에도 상자를 파손하지 않고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엄격한 규정에 따라서 소각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염성 폐기물처리 법규 및 감염성 폐기물의 연소 특성을 파악하여 소각로 설계의 기본자료로 활용하였다. (중략)

  • PDF

반건류식 공기제어 소각로의 특성과 운전경험

  • 김준형;신재인;서용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2.11a
    • /
    • pp.95-97
    • /
    • 1992
  • 폐기물에서 가용자원인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소각로로서 반건류식 공기제어 소각로의 특성을 설명하고 50 kg/hr, 100 kg/hr, 400kg/hr 및 3 ton/hr 급의 규모로 확대해 가면서 제기된 문제점과 해결된 방안을 중심으로 본 소각로의 운전특성과 환경기준치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Combustion Control of Refuse Incineration Plant using Fuzzy Model and Genetic Algorithms (퍼지 모델과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쓰레기 소각로의 연소 제어)

  • Park, Jong-Jin;Choi, Kyu-Seo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7
    • /
    • pp.2116-2124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combustion control of refuse incineration plant using fuzzy model and genetic algorithm. At first fuzzy modelling is performed to obtain fuzzy model of the refuse incineration plant and obtained fuzzy model predicts outputs of the plant when inputs are given. Fuzzy model ca be used to obtain control strategy, and train and enhance operators' skill by simulating the plant. Then genetic algorithms search and find out optimal control inputs over all possible solutions in respect to desired outputs and these are inserted to plant. In order to testify proposed control method, computer simulation was carried out. As a result, ISE of fuzzy model of refuse incineration plant is 0.015 and ITAE of control by proposed method, 352 which is better than that by manual operation.

  • PDF

Present conditions of air pollution emissions from incinerations (중ㆍ소형 소각시설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 김창환;황의현;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31-332
    • /
    • 2003
  •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증가하는 폐기물 양을 처리하기 위하여 매립에서 소각으로 정책이 바뀌어 가면서 전국적으로 중ㆍ소형 폐기물 소각시설의 설치를 장려하여 그 결과 2001년 6월말에는 전국에서 운영중인 소각시설 8,173개 시설 중에서 중ㆍ소형 소각시설이 전체 소각시설의 98.6%를 차지하는 8,059개 시설로 증가하였다. 이 중 소형(0.2ton/hr 미만) 소각시설이 7,697개 시설로 94.2%, 중형(0.2ton/ hr∼2ton/hr) 소각시설은 362개 시설로 4.4%를 차지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소형 소각시설이 산재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략)

  • PDF

Review of treatment methads for gaseous air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incineration process of solid wastes (폐기물 소각시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처리방법)

  • 이우근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2
    • /
    • pp.118-129
    • /
    • 1995
  • 일반폐기물의 효과적인 처리방법으로 소각처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나 폐기물의 소각과정에서 대기오염물질이 발생, 배출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및 양은 소각하는 폐기물의 성상이나 폐기물 소각로의 형태, 소각로의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주요 오염물질로는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Dioxin이나 광화학스모그를 유발시키는 질소산화물(이하 NOx), 염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오여물질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출억제대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폐기물의 소각시 배출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의 특성과 그 배출억제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Waste Incinerator Plant Engineering (소각 플랜트 엔지니어링)

  • 손진영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8
    • /
    • pp.626-631
    • /
    • 1994
  • 최근 인구의 도시집중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도시쓰레기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재 래방식인 매립에 의한 처리는, 시민들의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요구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위생 매립장 확보가 어렵게 되고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시쓰레기 발 생량의 대부분을 소각처리하는 선진국의 방식은 소각잔재만을 매립 처분하므로 쓰레기량을 획 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소각과정중 발생하는 2차 공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해 방지시설의 개발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러 자치단체별로 소각로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거나 계 획중에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국내에서도 소각로 설계제작 \ulcorner 플랜트 엔지니어링(plant engi-neering) 기술의 도입 및 성숙의 단계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소각로 플랜트가 건 설되거나 계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해외 기술도입에 과당경쟁의 양상을 띠고 있어 더욱 국산 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에 초점을 맞춰 그 기능 및 단계별 고려사항과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국내 소각로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발전 방향을 생각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griculturist Opinion Analysis of Forest Fire by Farming Activities (영농 소각 활동에 대한 영농인의 의식 분석)

  • Park, Houng-Sek;Lee, Byung-Doo;Lee, Si-Young;Lee, Myung-B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72-72
    • /
    • 2010
  • 영농소각은 한국에서 산불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농소각행위에 대한 당사자들의 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영농소각의 시기, 소각장소, 소각물질 등에 대한 의식을 구명하였다. 조사결과, 전국적으로 종사자들은 영농활동이 시작되는 3월과 4월 흐린 날 오후 산림연접 100m 이상의 지역의 논, 밭두렁에서 잡초제거를 위해 영농소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러한 영농소각의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해 관리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을 통해, 소각허가제, 마을 별 공동소각과 같은 정책을 통해 현재의 영농인 요구에 부응하면서, 정책의 홍보와 신기술의 교육 강화, 친환경적인 쓰레기 처리 방법의 보급을 통해 장기적으로 영농소각을 대치시키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