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셀간 간섭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나노 와이어의 직경 변화가 나노 와이어 전계효과 트렌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 Jeong, Hyeon-Su;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213.2-213.2
    • /
    • 2015
  • 모바일 기기의 성장세로 인해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높은 집적도의 소자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MOSFET 구조의 소자는 비례 축소에 의한 게이트 누설 전류, 셀간 간섭, 단 채널 효과 같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특히 트윈 실리콘 나노 와이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TSNWFETs)는 소자의 크기를 줄이기 쉬우며 게이트 비례 축소가 용이하여 차세대 메모리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TSNWFETs의 공정 방법과 실험적인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지만, TSNWFETs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직경의 크기가 다른 나노 와이어를 사용한 TSNWFETs의 전기적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TSNWFETs과 실리콘 나노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3차원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TSNWFETs와 FETs의 드레인 전류와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 드레인에 유기된 장벽의 감소 값, 게이트에 유기된 드레인 누설 전류 값을 이용하여 전류-전압 특성을 계산하였다. 이론적인 결과를 분석하여 TSNWFETs의 스위칭 특성과 단 채널 효과를 최소화하는 특성 및 전류 밀도를 볼 수 있었으며, 나노 와이어의 직경이 감소하면 증가하는 드레인에 유기된 장벽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for inter-cell interference reduction techniques in portable internet networks. (휴대인터넷의 셀간 간섭 제거에 관한 연구)

  • Park, Chi-Ho;Hwan, Oh-You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9-230
    • /
    • 2006
  • In this thesis, we analyze performance related to reduction scheme of inter-cell interference causing serious problems in portable internet system. Frequency reusing factor(FUF) is 1 in portable internet system, and it means that a adjacent cell uses same frequency band. This channel environment raises inter-cell interference problem, which provokes serious problems related to system performance and channel capacity. Consequently, it affects deterioration in system performance as a whole. We analyze inter-cell interference when appling a various schemes such as (DCA)Dynamic Channel Allocation, CS(Channel Segregation), IDMA(Interleave Division Multiple Access), FH-OFDM, CRSA(Conceptual Random Subcarrier Allocation), and HDD

  • PDF

가상화를 이용한 통신망의 진화

  • Lee, Seong-Uk;Lee, Gi-H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3
    • /
    • pp.96-102
    • /
    • 2014
  • 지난 반세기 동안 전세계 통신 기술은 기지국-셀간 1:1 대응을 기반으로 설계 되고 만들어 졌다. 이에 따라 셀 간 경계에서의 통신 품질 저하는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 들여졌다. 이와 같은 전제 하에 무선 경계에서 통신 품질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스케줄링 기법, ICIC, eICIC[1] 등의 간섭 회피 기법등이 연구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기지국간 정보 공유의 제한과 delay에 의해서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가상화(cloud) 기술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국내 통신 사업자인 KT는 LTE통신망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세계 최초로 가상화 기반 LTE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구현되어 있는 가상화 기술과 현황, 앞으로 구현될 기술에 대해서 알아본다.

A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Joint Processing based on CoMP (CoMP 기반의 Joint Processing 을 위한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식)

  • Jang, Seok-Min;Joe, In-W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138-141
    • /
    • 2014
  • 무선 사용자들의 증가로 인해 대용량 서비스가 요구 됨에 따라 셀 영역내의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식이 요구된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Cell-Edge 영역에 데이터 전송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기술 중에 하나인 Joint Processing 기술을 사용하여 셀간 간섭 완화의 이점을 갖는다. 이 기술의 사용을 위해 FFR(Fractional Frequency Reuse) 기반의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각 셀은 3-sector reuse 방식을 사용하며, Joint Processing 에 최적화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SINR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인다.

A New Test Algorithm for Bit-Line Sensitive Faults in High-Density Memories (고집적 메모리에서 BLSFs(Bit-Line Sensitive Faults)를 위한 새로운 테스트 알고리즘)

  • Kang, Dong-Chual;Cho, Sang-Bock
    • Journal of IKEEE
    • /
    • v.5 no.1 s.8
    • /
    • pp.43-51
    • /
    • 2001
  • As the density of memories increases, unwanted interference between cells and coupling noise between bit-lines are increased. And testing high-density memories for a high degree of fault coverage can require either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est vectors or a significant amount of additional test circuitry. So far, conventional test algorithms have focused on faults between neighborhood cells, not neighborhood bit-lines. In this paper, a new test algorithm for neighborhood bit-line sensitive faults (NBLSFs) based on the NPSFs(Neighborhood Pattern Sensitive Faults) is proposed. And the proposed algorithm does not require any additional circuit. Instead of the conventional five-cell or nine-cell physical neighborhood layouts to test memory cells, a three-cell layout which is minimum size for NBLSFs detection is used. Furthermore, to consider faults by maximum coupling noise by neighborhood bit-lines, we added refresh operation after write operation in the test procedure(i.e.,$write{\rightarrow}\;refresh{\rightarrow}\;read$). Also, we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detect stuck-at faults, transition faults, coupling faults, conventional pattern sensitive faults, and neighborhood bit-line sensitive faults.

  • PDF

Block Diagonal Decomposition Using Uniform Channel Decomposition for Multicell MIMO Broadcast Channels (다중 셀 MIMO 하향채널에서의 UCD를 이용한 블록 대각 분해)

  • Park, Yu-han;Park, Daeyo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12
    • /
    • pp.2331-2342
    • /
    • 2015
  • In this paper, we design non-linear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a uniform channel decomposition (UCD) to take account of inter-cell interference in multi-cell downlink systems. The designed UCD scheme brings forth the same SINR for all sub-channels in each cell. It provides great convenience to modulation/coding process and achieves the maximum diversity gain.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at it exhibits a lower B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ransmit Power Allocation for Soft Frequency Reuse in Coordinated Cellular Systems (인접셀간 협력하는 셀룰라 시스템에서 소프트 주차수 재사용을 위한 송신전력할당 기법)

  • Kim, Dong-He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4A
    • /
    • pp.316-323
    • /
    • 2009
  • Power allocation of soft frequency reuse(SFR) to increase cell edge user throughput by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s proposed for coordinated cellular systems. SFR is the effective technique to increase cell edge user throughput, however, it costs the degradation of total system throughput. The cost increases when SFR operated in distributed resource controlled systems fails to be fast adaptive in the change of user distribution. The proposed scheme enables coordinated cells to control transmit power adaptively depending on user distribution so that it minimizes the loss of system throughput introduced from SFR while it guarantees enhancement of cell edge user throughput. Through system level simulation considering neighboring two cells, evaluation result for adaptive power allocation is shown compared with static power allocation.

SIR based Beam Switching in Distributed Controlled Cellular Systems (분산제어되는 셀룰라 시스템에서 SIR기반 빔 스위칭 기법)

  • Kim, Dong-He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5A
    • /
    • pp.452-456
    • /
    • 2010
  • SIR based beam switching in distributed controlled cellular systems is proposed to reduce intercell interference. Compared with Random beam switching that beam switching pattern is randomly selected and cannot avoid beam collision between neighboring cell, SIR based beam switching update its switching pattern based on SIR report from mobile. Neighboring cells independently update their switching patterns and the updated patterns converge to the patterns that minimize beam collision. We shows SIR base beam switching has 20% gain compared with random beam switching in two neighboring cell model.

Joint Subcarrier and Power Allocation for a Downlink OFDMA Relay Network in Multi-Cell Environments (다중 셀 환경에서 하향 링크 OFDMA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부반송파 및 전력 할당 기법)

  • Choi, Dong-Wook;Lee, Jae-Hon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2
    • /
    • pp.173-18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an OFDMA relay network with multicells. In the proposed scheme, by sharing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between base stations, resources are allocated to users and relays to maximize the overall sum of the achievable rate under fairness constraints.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 resource allocation scheme is proposed by separating subcarrier allocation and power allocation into two parts. First of all, by considering inter-cell interference (ICI), a subcarrier is allocated to a user-relay pair, and power is allocated relay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higher spectral efficiency per subcarrier than the static scheme and reduces the outage probability compared to the static and greedy schemes.

Effect of low temperature microwave irradiation on tunnel layer of charge trap flash memory cell

  • Hong, Eun-Gi;Kim, So-Yeon;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61-261
    • /
    • 2016
  •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는 DRAM(dynamic racdom access memory)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에 비해 소자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집적도가 높아서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점과 제조비용이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원을 차단하면 정보가 사라지는 DRAM이나 SRAM과 달리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ROM(read only memory)과 정보의 입출력이 자유로운 RAM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에 활용도가 크다. 또한, 속도가 빠르고 소비전력이 작아서 USB 드라이브, 디지털 TV,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개인용 휴대단말기, 게임기 및 MP3 플레이어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낸드(NAND)형의 플래시 메모리는 고집적이 가능하며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어 고집적 음성이나 화상 등의 저장용으로 많이 쓰이며 일정량의 정보를 저장해두고 작업해야 하는 휴대형 기기에도 적합하며 가격도 노어(NOR)형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최근에는 smart watch, 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투명하고 유연한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기판 위에서 투명한 플래시 메모리를 형성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하트랩형 (charge trap type) 플래시 메모리는 플로팅 게이트형 플래시 메모리와는 다르게 정보를 절연막 층에 저장하므로 인접 셀간의 간섭이나 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하고 유연한 메모리 소자에 적용이 가능한 차세대 플래시 메모리로 기대되고 있다. 전하트랩형 플래시메모리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tunneling layer, trap layer, blocking layer의 3층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을 가진다. 전하트랩 플래시 메모리는 게이트 전압에 따라서 채널의 전자가 tunnel layer를 통해 trap layer에 주입되어 정보를 기억하게 되는데, trap layer에 주입된 전자가 다시 채널로 빠져나가는 charge loss 현상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tunnel layer의 막질향상을 위한 다양한 열처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기존의 CTA (conventional thermal annealing) 방식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긴 열처리 시간을 가지고, RTA (rapid thermal annealing) 방식은 매우 높은 열처리 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유리와 같은 다양한 기판에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처리 방식보다 에너지 전달 효율이 높고, 저온공정 및 열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microwave irradiation, MWI)를 도입하였다. Tunneling layer, trap layer, blocking layer를 가지는 MOS capacitor 구조의 전하트랩형 플래시 메모리를 제작하여 CTA, RTA, MWI 처리를 실시한 다음,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를 실시한 메모리 소자는 CTA 처리한 소자와 거의 동등한 정도의 우수한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WI를 이용하면 tunnel layer의 막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thermal budget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차세대 투명하고 유연한 메모리 소자 제작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