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자료처리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Queuing Time Computation Algorithm for Sensor Data Processing in Real-time Ubiquitous Environment (실시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대기시간 산출 알고리즘)

  • Kang, Kyung-Woo;Kwon, Oh-Byu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1
    • /
    • pp.1-16
    • /
    • 2011
  • The real-time ubiquitous environment is required to be able to process a series of sensor data within limited time. The whole sensor data processing consists of several phases : getting data out of sensor, acquiring context and responding to users. The ubiquitous computing middleware is aware of the context using the input sensor data and a series of data from database or knowledge-base, makes a decision suitable for the context and shows a response according to the decision. When the real-time ubiquitous environment gets a set of sensor data as its input, it needs to be able to estimate the delay-time of the sensor data considering the available resource and the priority of it for scheduling a series of sensor data. Also the sensor data of higher priority can stop the processing of proceeding sensor data. The research field for such a decision making is not yet vibra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euing time computation algorithm for sensor data processing in real-time ubiquitous environment.

Design of the Architecture for Communication between Sensors and Middleware (센서와 미들웨간의 통신을 위한 아키텍쳐 설계)

  • Jeong, Jong-Tae;Jeong, Kug-Sang;Choi, Deok-Ja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71-1374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인프라는 센서, 미들웨어,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유비쿼스터 컴퓨팅 환경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이 세 요소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특히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은 이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센서와 미들웨어 사이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컴포넌트는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기능이 함께 존재했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처리 기능이 같을지라도 받아 들이는 데이터가 다르고 처리하는 정보가 다르다면 센서 수와 같은 컴포넌트가 존재해야 한다. 또한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컴포넌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미들웨어와 센서에서 제공하는 API 를 이용하여 개발자가 직접 코딩작업을 해야 한다. 이럴 경우 개발자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로 한다. 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SNMP 에서 도입하였다. SNMP 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자료를 처리하는 부분은 에이전트가 맡고, 자료를 저장하는 부분은 MIB 이 맡는다. 그 결과 해당 컴포넌트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MIB 과 에이전트의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SNMP 를 이용한 툴킷을 이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센서측과 미들웨어 사이에 통신하는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시간과 개발자의 노력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rchitecture for Communication between Sensors and Middlewar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을 위한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 Jeong, Jongt-Ae;Jeong, Kug-Sang;Choi, Deok-J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65-867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인프라는 센서, 미들웨어,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이 세 요소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메시지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은 이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기존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에서 센서와 미들웨어 사이의 통신 기능을 당당하는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내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더불어 이를 처리하는 기능도 함께 존재했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처리할 때 같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받아들이는 데이터가 다르다면 센서 수와 같은 컴포넌트가 존재해야 한다. 또한 센서와 미들웨어간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컴포넌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미들웨어와 센서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개발자가 직접 코딩을 해야 한다. 이럴 경우 개발자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로 한다. 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SNMP에서 도입하였다. SNMP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는 자료를 처리하는 부분은 에이전트가 담당하고, 자료를 저장하는 부분은 MIB이 담당한다. 결과적으로 해당 컴포넌트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MIB과 에이전트의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SNMP를 이용한 툴킷을 이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센서와 미들웨어 사이에 통신하는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시간이 절약되며 개발자의 수고가 덜게 된다.

  • PDF

Development of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SC);System Design on Recep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해양위성센터 구축;통신해양기상위성 해색센서 (GOCI) 자료의 수신,처리,배포 시스템 설계)

  • Yang, Chan-Su;Cho, Seong-ick;Han, Hee-Jeong;Moon, Jeong-Eon;Yoon, Suk;Han, Tai-Hyun;Lee, Nu-Ri;Kwak, Ki-Yong;Ahn, Yu-Hwa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92-197
    • /
    • 2007
  • 한국해양연구원에서는 2008년 으 로 예정된 통신해앙기상위성(통해기)의 발사에 맞춰 통해기에 탑재된 해색센서(GOCI)자료의 수신,처리,배포를 위한 해앙위성센터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전파수신환경,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해양위성센터 위치를 안산(한국해양연구원 본원)으로 정하였다. 이에 따라,지금까지 안테나를 포함한 수신시스템에 대한 상세설계,내부 구조 변경,H/W 및 N/W 설계,자료처리 시스템 일부의 도입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해양위성센터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해색센서(GOCI)자료의 수신,처리,배포 시스템 설계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 자료 배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으로 구성되며, 수신된 데이터를 1시간 내에 제공하기 위해 웹호스팅 등 외부데이터 제공 시스템도 구축하는 것을 구상 중에 있다.

  • PDF

Introduction to high resolution weather observation of SK Planet (SK플래닛 국지기상 관측 소개)

  • Myung, Kwang Min;Park, Wo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7-77
    • /
    • 2015
  • 기상이변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의 증가로 기상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해외에서는 민간 기업이 기상 관측망을 구축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미국의 Earth Network은 전 세계에 1만개의 기상 관측센서를 설치하였고, 일본의 통신회사인 NTT DoCoMo는 일본에 4000여 개의 기상 및 환경관측 센서를 구축하였다. 국내에서는 SK플래닛이 자사의 플랫폼 기술과 SK텔레콤의 기지국 인프라를 활용하여 수도권 지역에 국지기상 관측망을 구축하였다. SK플래닛은 2013년 서울지역에 1km 간격으로 264개의 기상센서를 설치하고, 2014년 인천 경기지역에 3km 간격으로 825개의 기상센서를 추가 설치하여, 현재 1089개의 국지기상 관측망을 운용하고 있다. 관측에 사용한 센서는 우량계와 복합 기상센서로 강수량, 기온, 습도, 바람, 기압을 측정한다. 관측된 자료는 데이터로거에서 기상청의 자료처리 표준규격에 따라 처리한 후 M2M 모뎀을 통해 1분마다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자료는 기상정보 플랫폼의 수집 서버에서 프로토콜 변환 후 원본자료 DB에 저장하고, 실시간 품질관리를 마친 후 품질관리 자료 DB에 저장한다. 관측 지점의 기본정보 및 작업이력은 메타데이터 DB에 저장되고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조회 및 수정 된다. 관측 자료의 품질 보증은 제조사의 센서 Calibration부터 서비스 모니터링 까지 각 단계별로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품질관리를 마친 국지기상 관측 데이터는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형태로 제공된다. 2013년 여름부터 수집된 1~3km 해상도의 SK플래닛 국지기상 관측 자료를 통해 그 동안 정량적으로 확인하지 못한 국지성 호우 시의 강수량 편차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014년 7월 31일 양평지역에 내린 국지성 호우는 시간당 최대 90mm 이상의 비가 내린 사례로, 귀여리 관측소(SK 플래닛)에 시간당 93.1mm가 내리는 동안 퇴촌 관측소(기상청)에는 17.5mm의 비가 내려, 두 관측지점 간 거리가 3.4km 임에도 불구하고 시간당 75mm 이상의 강수량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SK플래닛의 국지기상 관측 자료가 국지성 호우의 조기 경보 및 예측 정확도 향상에 활용되어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Handling Streaming Data by Using Open Source Framework Storm in IoT Environment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Storm을 활용한 IoT 환경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 Kang, Yunhe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7
    • /
    • pp.313-318
    • /
    • 2016
  • To utilize sensory data, it is necessary to design architecture for processing and handling data generated from sensors in an IoT environment. Especially in the IoT environment, a thing connects to the Internet and efficiently enables to communicate a device with diverse sensors. But Hadoop and Twister based on MapReduce are good at handling data in a batch processing. It has a limitation for processing stream data from a sensor in a motion. Traditional streaming data processing has been mainly applied a MoM based message queuing system. It has maintainability and scalability problems because a programmer should consider details related with complex messaging flow. In this paper architecture is designed to handle sensory data aggregated The designed software architecture is used to operate an application on the open source framework Storm. The application is conceptually used to transform streaming data which aggregated via sensor gateway by pipe-filter style.

Adaptive Sensing based on Fuzzy System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s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퍼지시스템 기반 적응형 센싱)

  • Mateo, Romeo Mark A.;Lee, Jae-W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3
    • /
    • pp.51-58
    • /
    • 2008
  •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used by various application areas to implement smart data processing and ubiquitous system. In the recent research of park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adaptive sensing and efficient data processing are not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these distributed computing devices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applications in parking management.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sensing using fuzzy wireless sensor for the ubiquitous networks of parking management system. The fuzzy inference system is encoded in the sensor for efficient car presence detection. Moreover, a rule base adaptive module is proposed which wirelessly transmit the new values to each sensor for adapting the environment of car park area. The result of experiments shows that the fuzzy wireless sensor provides more throughputs and less time delays compared to a normal method of data gathering by wireless sensors.

  • PDF

Flight trajectory generation through post-processing of launch vehicle tracking data (발사체 추적자료 후처리를 통한 비행궤적 생성)

  • Yun, Sek-Young;Lyou, Jo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6
    • /
    • pp.53-61
    • /
    • 2014
  • For monitoring the flight trajectory and the status of a launch vehicle, the mission control system in NARO space center process data acquired from the ground tracking system, which consists of two tracking radars, four telemetry stations, and one electro-optical tracking system. Each tracking unit exhibits its own tracking error mainly due to multi-path, clutter and radio refraction, and by utilizing only one among transmitted informations,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actual vehicle trajectory. This paper presents a way of generating flight trajectory via post-proces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ground tracking system. The post-processing algorithm is divided into two parts: compensation for atmosphere radio refraction and multi-sensor fusion, for which a decentralized Kalman filter was adopted and implemented based on constant acceleration model. Applications of the present scheme to real data resulted in the flight trajectory where the tracking errors were minimized than done by any one sensor.

Software Implementation of Welding Bead Defect Detection using Sensor and Image Data (센서 및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용접 비드 불량검사 소프트웨어 구현)

  • Lee, Jae Eun;Kim, Young-Bong;Kim, Jong-Na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22 no.4
    • /
    • pp.185-192
    • /
    • 2021
  •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determine the defect detection of welding bead, and recently sensor data and image data inspection have been steadily announced. There are advantages that sensor data inspection is highly accurate, and two-dimensional-based image data inspection is a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elding bead. However, when analyzing only with sensor data,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welding has been per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image data inspection does not have high accuracy due to noise and measurement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each inspection method and increase its advantages to improve accuracy and speed up inspection by fusing sensor data inspection which are average current, average volt, and mixed gas data, and image data inspection methods and is implemented as software.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allow users to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analyze and grasp the results by performing analysi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GUI) and checking the data and inspection results used for the inspection. Sensor insp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nsor data, and image data is inspected by applying a morphology geodesic active contour algorith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98% accuracy, and when performing the inspection on the four image data, and sensor data the inspection time was about 1.9 seconds, indicating the performance of software that can be used as a real-time inspector in the welding process.

Distributed Index Management Mechanism for Region Query in Sensor Network (센서네트워크 상에서 영역질의 처리를 위한 분산 색인 관리 메카니즘)

  • Kim, Kyu-Chul;Chang, Ki-Young;Jin, Bong;Kim, Chang-Wha;Park, Chan-Jung;Kim, Sang-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72-76
    • /
    • 2006
  •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싱크에서 센서로 자료요청을 위한 쿼리를 발송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싱크로 수집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쿼리 최적화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영역질의를 처리하는 분산 색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DIMTree(Distributed Index Management Tree)는 센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모든 영역에 쿼리를 배포할 필요가 없이 질의에 적합한 지역에서만 쿼리를 배포하여, 자료 전송 및 수집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량을 줄임으로써 통신으로 인한 노드의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