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시스템

Search Result 8,872, Processing Time 0.066 seconds

Wind/PV Hybrid system with Smart Display Device (스마트표시기능을 갖는 풍력/태양광 복합발전시스템)

  • Jeong, Byeong-Ho;Yeon, Sang-Jin;Jung, Byeong-Soo;Choi, 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54-1355
    • /
    • 2011
  • 화석에너지의 유한성과 공해문제로 인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이 그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실제 이용비율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는 외기 기후변화에 대한 상대적인 보완성을 가진 두 가지 형태의 에너지원으로부터의 에너지변환과정으로 인해 그 이용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풍력발전시스템, 태양광발전시스템 또는 풍력/태양광 복합발전시스템 중 대형발전시스템의 경우는 일사량센서나 풍속센서를 부착하여 최대 출력점 제어나 외기환경 인식을 위해서 일사량이나 풍속과 같은 외기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하며 이를 교육용 또는 외기환경정보를 분석하는데 이용하기도 하고, 다양한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사량센서나 풍속센서는 고가의 센서로 대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이나 풍력발전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소의 설치를 통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해야 하며, 이를 위해 많은 개수의 센서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여러 개의 센서는 고가의 설치 비용으로 인해 샘플링을 위해서만 설치될 뿐 발전시스템의 설치사이트의 다양한 분석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풍속센서나 일사량센서 없이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직접 일사량을 검출하는 방식의 일사량 정보획득과 풍력발전시스템에서의 풍속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Proxy System for Energy Effici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 Yun, Phil-Jung;Kim, Se-Ki;Kim, Chang-Hwa;Kim, Sang-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300-305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각 노드의 에너지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적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목적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질의처리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센서노드에서 센싱 데이터의 값이 변화가 없더라도 각 주기마다 전송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주기가 짧아질수록 더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낭비된다. 또한 모니터링 주기가 길어질수록 생성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질의처리 시스템의 경우 중복질의 처리를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낭비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개념을 기반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프록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모니터링과 질의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Subway Station based on USN (USN 기반의 지하역사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 Lee, Seok-Cheol;Jeong, Shin-Il;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11
    • /
    • pp.1629-1639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supporting comfortable subways based on USN. Our development system includes the sensor field based on integrated sensor, monitoring system for supporting the local and remote monitoring and middle-ware performs the collecting, analyzing, and storing the data. In this paper, we installed the temperature, humidity, micro-dust sensor and water-level sensor for supporting the rail-roads and make up the integrated sensor enables to reuse the analog device from 4~20mA output with connection of wireless sensor device. Middleware includes the modules of collecting, analysis, and storing the data and monitoring system supports the local for administrator and remote monitoring for citizen services based on web. The middleware and monitoring in this paper is comprised of some components can reuse and support the change of application and sensors. Our development system supports the mobility of sensor devices and distributes system.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function supported by middleware will use assessment.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for the USN Environment (USN 환경을 위한 공간 센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hin, In-Su;Liu, Lei;Kim, Joung-Joon;Chang, Tae-Soo;Han, Ki-Jo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1
    • /
    • pp.59-69
    • /
    • 2012
  • For th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 which generally uses spatial sensor data as well as aspatial sensor data, a sensor database system to manage these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reason, some sensor database systems such as TinyDB, Cougar are being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since most of them do not support spatial data types and spatial operators to manage spatial sensor data, they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spatial sensor data.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by extending TinyDB. Especially, the system supports spatial data types and spatial operators to TinyDB in order to manage spatial sensor data efficiently and provides the memory management function and the filtering function to reduce the system overload caused by sensor data streams. Lastly, we compared the processing time, accuracy, and memory usage of the spatial sensor database system with those of TinyDB and proved its superiority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A study on improve survivability of sensor node and design of protocol in RFID Middleware environment (RFID 미들웨어 환경에서 센서 노드의 생존성 향상과 효율적인 프로토콜 설계를 위한 연구)

  • Choi, Yong-Sik;John, Young-Jun;Park, Sang-Hyun;Han, Soo;Shin,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68-73
    • /
    • 2006
  • 센서 노드의 송수신 상태를 분석하여 노드의 생존성 향상과 효율적인 프로토콜 설계를 하려고 한다. 센서 노드의 분석을 위한 실험 환경은 다음과 같다. 센서 노드의 생존성-가용 배터리, 센서 노드의 출력-검색 가능 영역, 센서 노드의 통신 경로-라우팅 테이블 생성, 센서 노드의 대역폭-송신 데이터의 크기이다. RFID 태그와 리더를 통한 관리 시스템과 재해방지를 위한 다양한 센서를 통한 정보 수집 시스템과 의사결정 시스템에 적용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자료수집, 센서분류, 수신율 조절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 PDF

Design of High-speed Sensor Stream Data Processing System to use Cache Table base on Sensor Monitoring Environment (센서 모니터링 환경에서 캐쉬 테이블을 사용한 센서 스트림 데이터 고속 처리 시스템 설계)

  • Park, Jun-Yong;Lee, Kwang-Won;Hwang, Yun-Chul;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15-318
    • /
    • 2010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응용함으로서 센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스트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센서들에서 발생한 이기종 센서 스트림 데이터는 미들웨어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모니터링 환경의 상위 응용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센서 데이터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기존에 개발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노드나 지역에서 발생하는 센서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서도 미들웨어에서의 불필요한 검색과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캐쉬 테이블방식을 이용하여 중복적인 센서 스트림 데이터 처리의 수행을 줄일 수 있는 센서 스트림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 PDF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posite Sensor System of Automatic Guided Vehicle(AGV) Using RFID/IMU/Encoder/Proximity Sensor (RFID/IMU/Encoder/근접센서를 활용한 무인지게차의 복합센서 시스템 연구)

  • Shin, Hee-Young;Choi, Hyeung-Sik;Kim, Hwan-Seong;Jung, Sung-H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3
    • /
    • pp.309-313
    • /
    • 2013
  • This paper is about a complex sensor system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AGV) for loading and unloading payloads. For the AGV to approach to the target rack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payload, a way to identify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was studied. To identify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GV accurately, a complex sensor system composed of RFID, IMU, and limit sensors was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of each sensor was undertaken. A model AGV was constructed, and the goo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complex sensor system was verified through performance experiments.

Improvement Method for Human Body Sensing Module and Managing System (인체 감지 센서 모듈 및 관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

  • Ahn, Tae-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0
    • /
    • pp.223-22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ment method for human body sensing module and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focused on the human body detection module with ultrasonic sensors to detect the usage of toilets and the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the state of the toilets of the entire building. The proposed human body sensing module consists of the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human body and the contact sensor to detect the position in a certain distance. The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of the control unit to proces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sensors, opening and closing valves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ave the operational status data as well as transmit the data at regular intervals.

Development of Gas Sensor Modules and Sensor Calibration Systems (가스 센서모듈 및 센서보정시스템 개발)

  • Park, Cheol-Young;Lim, Byung-Hun;Ryu, Jeong-Ta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2
    • /
    • pp.83-90
    • /
    • 2010
  • Sensor is a key element in various fields of applications such as sensor networks. However, they could not be easily developed because of sever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dependence of output characteristics and/or nonlinearity. Calibration of sensor is also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Conventional calibration process required a lot of time and expen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sensor systems which can shorten development time and minimize expense. In this paper, we develop CO and $CO_2$ Sensor modules and propose a multiple sensor calibration system to resolve problems of conventional calibration process. A proposed system is composed of sensor module, system board and monitor program. Regress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least mean squares is used for calibration. We introduced the structure of calibration systems and experimental results. Calibration results can be us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Development of Navigation Data Storage System for Geometry Pigging System (가스 배관 진단 시스템을 위한 항법 데이터 저장 시스템 개발)

  • Jin, Yong;Park, Chan-Gook;Park, Tae-Woong;Rho, Y.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d
    • /
    • pp.2190-2192
    • /
    • 2001
  • 가스 배관 진단 시스템은 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 내에 주입된 가스에 의해 추진되는 시스템으로 배관의 건설, 유지, 보수, 해체 등의 작업을 위한 여러 정보를 수집한다. 배관 진단을 위한 대표적인 센서로는 배관 내부의 찌그러짐(dent)과 주름(wrinkle)의 형태 및 크기를 측정하는 캘리퍼(caliper) 센서와 배관 외부의 파손을 측정하는 MFL(Magnetic Flus Leakage) 센서 그리고 배관 내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압력 센서가 있다. 이러한 센서들로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 정보가 필요하므로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주행 거리계를 사용하는 결합 항법 시스템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스 배관 진단 시스템을 위한 항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개발한다. 배관 진단 시스템의 특성상 일반적인 측정 센서는 700Hz 이상의 주기로 측정되고 항법 정보는 100Hz 주기 이상으로 측정되며 배관 내 이동 시간은 2시간에서 24시간 이상으로 다양하므로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 장치로는 DAT를 사용하게 되며 많은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멀티 프로세서 구성을 이용한 항법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