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시스템

Search Result 8,872, Processing Time 0.079 seconds

The Study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of the Grand Olympic bridge for Utility Valid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효용성 검증을 위한 올림픽대교 USN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Chang, Jeong-Hee;An, Seung-Ju;Han, Sang-Ju;Jo, Yong-Ju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97-6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강 상 교량인 올림픽대교를 대상으로 첨단 무선센서를 구조물 주요 부재에 설치하고 본 센서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을 적용하여 림픽대교 주요 구조 부재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및 데이터 로깅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1축 가속도계, 3축가속도계, 온도계, 경사계, 풍향풍속계 5종의 무선 센서를 총 10개 설치하였으며, 센서의 전원은 태양광 자가 전원공급 시스템으로 하였다. 데이터는 시스템 구축완료 후 9월1일부터 9월 7일까지의 일주일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유선시스템으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행 USN 기반의 교량 계측시스템에 대한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용 모션센서의 최적기능 확보에 관한 연구

  • Jeong, Tae-Gwon;Bae, D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80-82
    • /
    • 2013
  • 해상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선박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 가고 있고 선박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곧 해양사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 중 인적과실에 의한 해양사고가 대부분의 원인으로 밝혀져 있다. 인적과실 중 항해나 당직근무 중 졸음에 의한 사고가 빈번한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해사기구)에서는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의 의무탑재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의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은 재설정 방식에 따른 불편함 때문에 항해사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소책으로 IMO에서는 모션센서를 선교 항해당직 경보시스템에 도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모션센서의 탐지기술이나 동작원리는 처음 육상용 화재경보시스템 혹은 보안시스템용으로 개발 및 제작되어진 것이므로 이를 특수한 조건인 선박의 항해당직에 적용할 때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나 고려사항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모션센서의 선교에서의 이상적인 구성, 필요한 기능, 적확한 작동여부, 모션센서와 압력센서나 음성인식센서와 같은 다른 수단과의 병용 등을 고려하여 모션센서의 최적기능 확보를 위한 성능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ault Detection Scheme in Acoustic Sensor Systems Using Multiple Acoustic Sensors (다중 센서를 이용한 음향 센서 시스템의 고장 진단)

  • Oh, Won-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2
    • /
    • pp.203-208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fault detection and data processing algorithm for acoustic sensor systems using the multiple sensor algorithm that has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wireless sensor nodes. The multiple sensor algorithm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ensor systems by utilizing and comparing the measurements of the multiple sensors. In the acoustic sensor system, the equivalent sound level($L_{eq}$) is used to detect the faulty senso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multiple acoustic sensor algorithm,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can detect the faulty sensor and validate the data.

An Effective Method of Testing Application Software of Smart Sensors (스마트 센서 응용 소프트웨어를 테스팅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 Jo, Jang-Wu;Joeng, Hwan-Ch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8
    • /
    • pp.105-11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virtual sensor system that is an effective method to test application software of smart sensors. The common way of testing sensor application is to build a test board, connect sensors to the board, and test sensor applications on the board with sensor's measurements as inputs. The problem of testing sensor application software with sensor's measurements as inputs is the restriction of test data. In other words, software testers cannot manipulate test data, because test data is generated by sensors. To solve this problem a virtual sensor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virtual sensor system enables software testers to manipulate measurements of sensors. In the virtual sensor system, generation of virtual sensors comprises three stages - sensor selection, sensor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of output patterns. Sensor's measurements that can be manipulated through the virtual sensor system make the process of testing efficient. To show the usefulness of our virtual sensor system, it is applied to sensor applications in Android platform and the result of experiments is show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sor Cloud System for Security and Surveillance Service (보안 감시 서비스를 위한 센서 클라우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him, Jae-Seok;Choi, Yeong-Ho;Lim,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37-138
    • /
    • 2012
  • 최근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센서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확장성 대비 낮은 비용이 장점인 클라우드 환경을 적용한 센서 클라우드 시스템을 설계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옥내에 분산되어 있는 센서 네트워크가 침입자를 감지하여 클라우드 게이트웨이를 통해 센서 클라우드로 센서 데이터를 전달한다. 전달된 센서 데이터는 Apache Hadoop 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서버에 분산 저장된다. 또한 본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D-based Ultra Low Power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 Sensor Network (ID 기반 무선 센서네트워크용 저전력 통신 시스템 기술 연구)

  • Hwang, Ji-Hun;Kim, Jong-Hong;Roh, Hyoung-Hwan;Oh, Ha-Ryoung;Seong, Yeong-Rak;Park, Jun-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579_1580
    • /
    • 2009
  • 다양한 환경에서 WBAN/USN 시스템이 적용됨에 따라 해당 시스템의 효율적인 전력 운용 및 통신 방식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센서 간 효율적인 운용 방식으로 ID 기반의 통신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위해 센서 노드에 웨이크업 모듈과 자가 전원 차단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센서 노드의 보다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웨이크업 모듈 구현을 통해 싱크노드가 원하는 센서 노드만 동작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인 센서노드와는 달리 센서 데이터 전송 후 시스템 전력을 차단하는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시스템의 불용 전력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을 직접 제작하고 실제 ID 기반으로 통신이 가능한지 검증함으로써 다양한 WBAN/USN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 PDF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Pressure Sensors (압력센서의 원리 및 응용)

  • 전국진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6
    • /
    • pp.515-522
    • /
    • 1993
  • 센서는 자연현상을 감지하는 소자로 계측 및 제어시스템의 구성요소로 이용되며, 센서를 이용 하여 Closed-loop System의 구성을 가능케 하며, 지능화된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다. 센서는 압력, 유량, 온도, 자장, 광 등을 측정하는 물리적 센서, pH, 이온, 산소 등의 구성물을 감지하는 화학센서, 인체의 혈당량, 뇌의 상태, 냄새 등을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로 대별될 수 있다. 이중 물리적 센서는 기계적 시스템에 많이 이용되며, 특히 압력, 유량센서는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의 Manifold, 엔진오일, 브레이크 오일, 타이어, 연료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1980년대에는 미국 Ford와 Motorola사가 공동으로 반도체공정 기술을 이용한 용량 형(capacitive) 압력센서를 개발하여 엔진의 컨트롤시스템에 이용하였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1988년에 15억불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1955년에는 30억불로 늘어날 전망으로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센서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글에서 압력센서의 원리 및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고, 마 이크로머시닝 기술 등의 제작방법과 이의 응용에 대하여 논의하려 한다.

  • PDF

A Design of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Moving Targets with Ultra-Acoustic Sensor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표적 위치추적 시스템 설계)

  • Lim, Joong-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188-19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위치 추적 시스템은 4 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서 각 센서에서 탐지되는 표적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좌표(x,y)를 구하였다. 특히 초음파 센서가 가지고 있는 빔폭 특성을 고려하여 4 개 센서 중 2개 센서에만 표적이 탐지될 경우 표적의 위치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을 하드웨어에 장착하어 감시시스템이 실시간 양호하게 구동하는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Design of Embedded System for Heterogeneous Sensor Network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 Kim Do-Seong;Chung Yeong-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93-195
    • /
    • 2005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 기술인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센서 노드 기술이 개발되면서 각기 다른 종류의 센서 노드로 구성된 이기종의 센서 네트워크의 연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의 통합, 관리를 위한 기술은 구현이 복잡하고, 각각의 노드에 않은 연산 부하가 발생하여, 기존의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해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Base Station 역할로 동작하여 전체 센서 네트워크의 상위에 정의되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각기 다른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연동함으로서 노드의 연산부하를 줄이고, 기존에 구현된 센서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구현의 복잡성을 줄이며 효율성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의 통합과 관리를 위해 위와 같은 이점을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 PD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utomobile Sensor (실시간 자동차 센서 감시시스템)

  • 안진우;최낙권;이상훈;신위재;주창복;박남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473-47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센서들의 신호들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 자동차 센서 감시시스템은 센서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센서 입력블록, 변환된 센서 데이터를 계산하는 Main Control 블록, 그리고 계산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Display 블록으로 구성된다. 4개의 타이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압력 및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담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운전자에게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타이어의 압력상태를 점검하며 이와 함께 차내의 연료량 센서에서 입력된 연료잔량을 fl산하여 현재 주행가능거리를 표시하며 그 외에 냉각수 온도, 엔진오일레벨, 차내 온도센서를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받아들여 각 센서들의 상태를 Craphic LCD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