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네트워크

Search Result 4,59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The Simulator Module Design for Reduction rate Analysis of Sensing Coverage in Geography (지형에 따른 센서 탐지 영역 감소율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듈 설계)

  • Ryu, Min-Woo;Kim, Dae-Young;Cha, Si-Ho;Lee, Jong-Eon;Cho, Ku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383-386
    • /
    • 2008
  • 기존 개발되어 왔던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외부 환경적인 영향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네트워크 중심적으로 설계 및 구현되어 왔다. 하지만 센서 네트워크의 사용 목적이 다양해지면서 센서 네트워크를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환경에도 적용하려 하고 있다. 실내보다 실외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초소형, 저전력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센서들을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센서가 배치되는 지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지리적 요소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적용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차이점을 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 시 고려되는 핵심 영향요소 중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터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세분화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 구축 시 효율적으로 센서를 배치할 수 있도록 앞에서 분석한 지형 정보를 고려하여 센서 탐지 영역 감소율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듈을 설계한다.

  • PDF

Backward Migration of an Active Rule Mobile Agent on the Sensor Network (센서네트워크상에서 능동규칙 이동에이전트의 역 방향 이주)

  • Lee, Yon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2
    • /
    • pp.488-494
    • /
    • 2013
  • For the activeness and autonomy of a sensor network, the efficient migration method of a mobile agent and the consistent naming services are the required components of a sensor network.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ed the implementation of backward migration of an active rule mobile agent applying the naming method based on RMI that used the meta_table including the informations about the components of a sensor network. This study implemented based on the extension of the forward migration[12], and the results of the various experiments present the efficacy of mobile agent middleware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efficient sensor network application environmen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ble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n dynamic changes of environment in sensor network application development.

Design of Real-Time Operating System for Sensor Network based on $\mu$TMO Model ($\mu$TMO 모델 기반의 실시간 센서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설계)

  • Lee, Jae-An;Choi, B.K.;Heu,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67-171
    • /
    • 2006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생활 환경과 컴퓨터 사이의 중계자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매우 제약적인 자원 환경에서 동작하여야 하는 센서 노드의 동작 환경적 특성 때문에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센서 노드용 운영체제가 요구된다. 센서 노드는 제약적인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 수집, 데이터 프로세싱,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전달 등 여러 가지 작업들이 동시에 발생된다. 기존의 범용 센서네트워크 운영체제에서는 극도로 제한된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주로 연구해 왔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방사능 감지와 같이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응용분야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실시간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실시간 센서 네트워크 연구 분야에서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지만, 실시간 운영체제의 지원없이 완전한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힘들다. 하지만 센서 노드용 실시간 운영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시성을 보장하는 분산 객체 모델인 TMO를 센서네트워크의 제한된 자원 환경에 알맞도록 경량화 시킨 $\mu$TMO 모델을 제시하고, 센서 노드용 운영체제에 $\mu$TMO 모델 을 적용하여 실시간성 지원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소시킨 실시간 센서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구조를 제안한다.

  • PDF

A Key Management Schem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Self-Positioning with Deployment Knowledge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자가 위치 추정을 이용한 키 분배 메커니즘)

  • Kim, Eun-Ah;Doh, In-Shil;Chae, Ki-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205-207
    • /
    • 2005
  • 센서 네트워크는 않은 수의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센서를 통한 주변 정보 감지 및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도입과 함께 이를 실생활에 구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의 일상 생활 시스템에서의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이로 인한 위험성 또한 높아 질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키 관리 기술을 고찰하고 효율적인 키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 시 센서 노드들의 배치 특성을 고려하여 키 스트링 풀을 설정하고, 배치된 센서 노드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키를 집중적으로 분배하여 센서 네트워크 내의 공통 키 설정 확률을 높이고 센서 노드의 메모리 소모량을 줄이는 키 관리 방법을 고안하였다.

  • PDF

국방 센서네트워크의 핵심요소 기술

  • Park, Sang-Jun;Park, Hyeon;Ham, Yeong-H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0
    • /
    • pp.42-49
    • /
    • 2008
  • 본고에서는 센서네트워크 기술의 역사와 배경 그리고 국방분야에 적용 가능한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서 기술한다. 국방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센서네트워크 응용분야에 비해 유선 망 및 이동통신망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신뢰성 있는 정보전달, 실시간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다중센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적의 침입 또는 이벤트 발생을 100% 탐지하고 오보율 낮출 수 있는 기능을 요구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국방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들에서 수행해야 할 기술들, 센서 신호처리 및 식별 기술, 신뢰성 있는 패킷 전달을 위한 섹터안테나 및 섹터안테나 기반의 MAC 기술 그리고 실시간과 신뢰성 보장을 위한 라우팅 기술에 대해 논의한다.

A Protocol Interface for Energy-efficient Network Management in Ubiquitous Sensor Networks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망관리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 Kim, Byoung-Kug;Hur, Kyeong;Eom, Doo-Seop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8
    • /
    • pp.1221-1234
    • /
    • 2010
  • MANET(Mobile Ad-hoc Network)s have been researched primary at routing protocols and at the guarantees of QoS(Quality of Service) for mobile environments. Otherwise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s) have some limitations in power energies and in processing of sensing data, as well as their network topologies are frequently changed by fading off and node failures. Thus we should redesign network protocols with concerning to energy efficiency for the USNs above all.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protocol interface for managing for USNs based on the surveys. And then we figure the topology of USNs out and design the network protocol interface to make power saved, with data gathering and processing more efficient using our designed packet structures.

Design and Network Implementation of Sensor Nod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센서 노드 설계 및 네트워크 구현)

  • Min, Hyoung-Seok;Le, Sang-Bin;An, Sun-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195-198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관심 지역에 많은 에너지 자율적인 마이크로 센서들로 분포되어 구성된다. 각각의 노드들은 에너지 공급에 제한을 가지며 싱크 노드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발생 시킨다. 이러한 네트워크에서의 기본 동작은 기지국(base station)으로 데이터를 취합하고 전송하는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분야 중에서 환경 감시를 위한 센서 노드의 유선 설비는 기반 시설이 수반 되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번거로우며 많은 비용이 들기에 설치 측면과 비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도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해 보았으며, 네트워크 구성에 사용된 센서 노드는 저비용, 저전력에 근거해 자체 제작한 로온도, 습도, 조도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으며, 베이스 노드와 호스트간은 시리얼 통신 및 USB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Energy Management Method Depending on Diverse Channel Conditions In Wireless Body Sensor Networks (바디 센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양한 채널 상태에 따른 에너지 효율적인 디바이스 전력 관리 기법)

  • Hong, Jina;Lee, Woosik;kim, Nam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64-67
    • /
    • 2013
  • 바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는 매우 작은 배터리 기반으로 작동을 한다. 특히 기존에 존재하였던 센서 네트워크 환경보다 바디 센서 네트워크 환경이 자원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전력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바디 센서 네트워크는 사람의 움직임 또는 센서의 위치와 같은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디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고유의 특징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바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제약사항을 분석하며, 대표적인 전송 전력 관리 기법에 따른 에너지 효율적인 측면을 고려한 분석을 한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통해 바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search Trend for Sensor Network Security (센서 네트워크 보안 연구 동향)

  • Nah, J.H.;Chae, K.J.;Chung, K.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1 s.91
    • /
    • pp.112-122
    • /
    • 2005
  • 센서 네트워크는 많은 수의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센서를 통한 주변 정보 감지 및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도입과 함께 이를 실생활에 구현하기위한 기반 기술의 하나로 센서 네트워크가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통한삶의 편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네트워킹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개인의 프라이버시 또한 보장되어야 함은 기본적인 요구 사항이다.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의 네트워크와 여러 모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기존의 보안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보안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본 고에서는 최근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센서 네트워크 보안에 관련된 인증, 키관리, 네트워크 구조 등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A Study on the Technique of the Network Management for 6LoWPAN (6LoWPAN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기법 연구)

  • Han, Sun-Hee;Jung, Sung-Min;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744-747
    • /
    • 2011
  • 센서 네트워크는 다수의 센서노드를 통해 특정한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네트워크이다. 센서 네트워크에는 많은 수의 센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센서노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센서 네트워크에 IPv6를 적용한 기술로써 6LoWPAN이 있다. SNMP 사용 등 IP를 이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센서의 배터리 용량과 메시지 사이즈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메시지 사이즈가 큰 기존의 SNMP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센서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배터리 용량과 메시지 사이즈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인 SNMP를 경량화 하여 6LoWPAN 환경에서도 적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SNMP 버전 중 SNMPv1, v2보다 보안성이 강화된 SNMPv3을 경량화 하여 6LoWPAN에 적합하고 보안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