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염색

검색결과 1,376건 처리시간 0.035초

작은와포자충에서 면역황금염색법을 이용한 actin과 myosin의 위치 관찰 (Localization of actin and myosin in Cryptosporidium parvum using immunogold staining)

  • 유재란;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55-164
    • /
    • 1995
  • Cyptosporidium parvum의 발달 단계별 actin과 myosin의 분포 위치를 면역황금염색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Depomedrol^{\circledR}$을 ICR마우스에 피하주사하여 면역억제시킨 후 C. parvum이 발현된 마우스 회장을 잘라 LR gold로 포매하여 초박절편을 떴다. 일차항체로는 chickenbackmuscle actin과 bovine uterus myosin에 대한 rabbit polyclonal antibody를 사용하였고 이차항체로는 10 mm 크기의 황금입자가 결합된 goatanti-rabbit lgG를 반응시켰다 Uranylacetate와 leadcitrate로 염색한 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Trophozoite에서는 세포막에서 주로 actin과 myosin이 관찰되었고 feederorganelle 주위 세포질에는 actin이 분포하였다. Meront와 같이 활발히 분열하고 있는 단계에서는 세포막과 세포질 전체에 actin이 분포되어있었으며 myosin은 세포막에서만 소량 관찰되었다. 핵과 anlage of rhoptries 등은 두 단백질에 모두 염색되지 않았다. Macrogametocyte 에서는 amylopectin-lile bodies에서 actin과 myosin이 모두 관찰되었으나 wall forming bodies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feederorganelle 주위 세포질 부분에서는 actin이 관찰되었다. Sporozoite를 포함하는 oocyst와 merozoite를 포함하는 meront에서는 세포막과 세포막사이에서 actin이 다수 관찰 되었으며 myosin은 소량 관찰되었다. Merozoites가 빠져나가 속이 비어있는 parasitophorous vacuole중에는 microspike를 형성한 것들이 종종 관찰되었고 이것이 좀더 길어져 마치 microvilli와 같이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물에서도 actin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actin과 myosin은 세포막에 주로 분포하면서 C. parvum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또한 세포막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cytoskeletalproteiA으로서의 역할이 주된 작용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유방암 세포핵의 정량적 분석과 세포수에 의한 분석 (Quantitative and cell count analysis of Breat cancer cell nuclei by Immunohisto-chemical stained tissue section)

  • 허민권;최흥국;서정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43-247
    • /
    • 1998
  • 전자현미경 영상인 유방암 조직세포의 암 분포 정도를 알기 위해, 조직세포중 암이 퍼진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 정량적 분석과 세포수에 의한 분석을 비교하여 보았다. 유방암 조직세포의 면역조직화함염색에서 암이 있는 세포핵은 갈색으로 나타났고, 그렇지 않은 세포는 푸른색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환자를 진단하고 예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지금까지는 의사의 주관적인 생각이 다분히 포함된 판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의료영상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을 위해 RGB칼라를 HLS칼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이것은 시각적으로 좀 더 쉽게 갈색세포핵과 푸픈색 세포핵을 구분하게 해 주었다. 두 세포핵을 분리하기 위해 히스트그램의 임계치와 Box classification의 두 알고리즘의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세포핵들에 대해 각각 정량적인 분석과 세포수에 의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시각적 병리정밀검사에 좋은 보조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양상 (Turnover of biliaiy epithelial cells in Clonorchis sinensis infected rats)

  • 홍성태;고원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83-90
    • /
    • 1993
  •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확장되면서 상피세포의 수가 크게 증식하여 점막층이 두꺼워지고 과식증에 의해 점막의 단면이 유두상으로 관찰된다. Bromodeoxyuridine (BrdU)이 세포가 핵산을 복제할 때에 끼어 들어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담관 상피세포 중에서 합성기(Sphase)에 있는 세포의 분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흰쥐에 간흡충의 피낭유충을 100 개씩 경구 감염시키고, 15주까지 간의 각 엽에 있는 담관의 조직절편을 만들어서 다세포군항체와 ABC complex를 이용한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제가 들어 있는 담관에서는 감염 1주에 상피 세포의 2.9-10.2%가 염색에 양성이었고, 2주에 7.3-12.8%가, 5주에는 7.3-13.4%가, 15주에 8.4-14.8%가 BrdU를 함유하였다. 대조군 흰쥐나 실험군 동물의 감염되지 않은 담관의 경우에는 0-2.7%가 염색에 양성으로 나타났다. 염색된 상피세포는 주로 점막 상피세포층의 기저부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에 의하면 간흡충과 직접 접촉하는 담관의 상피세포가 뚜렷하게 증식하고 있어 충체의 어떠한 물리적인 또는 화학적인 자극이 있더라도 가까운 부위에서 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 PDF

배양대뇌신경세포 저산소증모델에서 유해산소생성억제 및 사립체막전위 소실방지에 의한 반하(半夏)의 신경세포사 억제 효능 (Neuroprotective Effects of Pinelliae Rhizoma Water-Extract by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Loss in a Hypoxic Model of Cultured Rat Cortical Cells.)

  • 권건록;문일수;이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8-606
    • /
    • 2009
  • 본 연구는 저산소증에서 반하가 대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E_18$의 배양 흰쥐 대뇌신경세포를 반하로 전처리한 후, LDH assay와 tryphan blue 염색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H_2DCF-DA$, JC-1 염색으로 MMP, ROS 및 RNS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에 반하는 저산소증으로 유발된 대뇌신경세포를 2.5 ${\mu}g/ml$까지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률을 증가시켰으며, 시간에 따른 생존율을 살펴보면 저산소증 유발 후 1 시간에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 일, 5 일 후에는 각각 10.2%, 17.8%로 매우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저산소증에서 반하가 MMP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저산소증 유발직전과 유발 후 1 일, 3 일, 5 일에 JC-1으로 염색하고 미토콘드리아의 염색강도를 측정한 결과 적색형광은 실험군에서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강하게 염색되는 미토콘드리아의 비율을 증가시킨 반면 녹색형광은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반하가 저산소증으로 유발된 MMP의 소실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반하는 전반적으로 $H_2DCF-DA$에 염색되는 세포 비율을 현저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저산소증으로 유발된 ROS 및 RNS의 생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반하는 저산소증에서 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MMP의 소실을 막아 세포의 에너지고갈을 방지함으로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생쥐 신생자 난소내 생식 세표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on Germ Cells in Neonatal Mouse Ovary)

  • 조동제;박철홍;양현원;박주현;윤정미;김세광;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27-33
    • /
    • 2004
  • 생쥐 신생자 시기에 생식 세포의 사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사멸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인 caspase-3, caspase-activated DNase(CAD), Bax 및 Fasnas ligand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D의 면역화학적 염색 결과 일차 및 이차 난포내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CA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염색되었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B에 양성을 보이는 대부분의 난자들은 폐쇄의 형태학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세포질 내 공포가 관찰되었다. Bax는 세포질 내 공포가 존재하는 세포 사멸된 난자에서 염색되었다. Fas ligan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난자에서 염색되었다. 이러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활성화된 caspase-3와 CAD가 염색된 결과는 생쥐 난포 발달 초기 단계에 caspase-3와 CAD가 생식 세포의 세포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난자에서 Bax와 Fas ligand가 발현된 결과는 이러한 단백질이 난자의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의 부착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니코틴에 의해 야기된 세포독성의 가역성에 대한 연구 (Effects of nicotine on the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reversibility of nicotine-induced cytotoxicity)

  • 김혜경;박진우;최병주;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475-490
    • /
    • 2005
  • 본 실험은 흡연이 치주인대세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배 부산물 중 하나인 니코틴이 지주인대세포의 부착과 성장 및 세포의 가역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치주인대세포에 니코틴을 투여한 후 1, 3, 6, 12, 24시간째 trypan blue 염색 후 부착된 세포수의 측정과 H&E stain후 형태학적 관찰을 하였고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치주인대세포에 니코틴을 투여한 후 1, 4, 7, 11, 14일째 trypan blue 염색 후 증식된 세포수의 측정과 H&E stain후 형태학적 관찰을 하였다. 또 니코틴의 세포독성효과의 가역성 평가를 위하여 니코틴을 투여하고 1, 4, 7, 11일째 니코틴이 없는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어 2일 더 배양한 후 trypan blue로 염색하여 세포수를 측정, 비교하였고 H&E 염색 후 형태학적 관찰을 하였다. 실험결과 니코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치주인대세포의 부착율은 감소되었고 24시간 배양 후 2mg/ml, 0.5mg/ml, 0.1mg/ml니코틴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부착억제가 관찰되었고(P<0.01) 형태학적 관찰결과 2mg/ml, 0.5mg/ml 니코틴 투여군에서는 대조해서 관찰되는 세포질의 확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니코틴이 치주인대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2mg/ml, 0.5mg/ml, 0.1mg/ml 니코틴 투여군에서 증식억제가 관찰되었고(P<0.01) 0.005mg/ml이하의 니코틴 투여군에서는 아무런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14일 배양 후 형태학적 관찰결과 0.1mg/ml 니코틴 투여군에서 세포질내 공포를 관찰할 수 있었고 2mg/ml, 0.5mg/ml 니코틴 투여군에서는 세포의 괴사가 나타났다. 니코틴의 세포독성효과의 가역성평가결과 2mg/ml이상의 니코틴은 세포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며 0.5mg/ml, 0.1mg/ml 니코틴에 의한 세포독성은 초기에는 가역적이나 장기간 세포에 노출시키면 비가역적인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실험결과 담배의 구성성분 중 니코틴은 농도 의존적으로 치주인대세포의 부착과 증식에 영향을 주었고 니코틴의 치주인대세포에 대한 독성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지닐수록 비가역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은 치주조직재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흡연의 기간과 정도가 치주질환의 심도 및 치주치료 후 불량한 치유반응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뇌 해마조직 절편 배양에서 산소와 당 박탈에 의한 뇌신경세포 손상 (Injury of Neurons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 정찬욱;홍경식;강지희;장영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112-1117
    • /
    • 2008
  • 목 적: 해마 절편 배양에서 산소-포도당 박탈(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한 세포 사망과 신경 세포 사멸을 propidium iodide(PI) 섭취, Fluoro-Jade(FJ) 염색, TUNEL 염색, caspase-3 면역형광염색 방법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생후 7일된 Sprague-Dawley 흰쥐의 해마를 MacIlwain chopper로 $350{\mu}m$ 두께의 절편으로 절단하였다. 해마 절편을 6-well plate의 insert 내의 반 유공(sem-porous) 막 위에서 membrane-interface technique으로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해마 절편에 산소-포도당 박탈을 60분 동안 가한 후 재산소-재관류하에 기초 배양액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재산소-재관류 동안 PI 섭취 형광 정도를 시간에 따라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세포사망 백분율(percent cell death)을 측정하였다. 산소-포도당 박탈 직전과 24 시간 후에 해마 절편을 $15{\mu}m$ 두께로 냉동 절단 후 FJ 염색, TUNEL 염색, caspase-3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여 세포 사망을 관찰하였다. 결과: OGD 후 PI 섭취 는 해마 절편의 CA1과 DG에 한정되어있었다. OGD 후 재산소-재관류 동안 6시간에서 48시간까지 PI 섭취 형광 강도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세포 사망 백분율은 CA1과 DG에서 모두 OGD 후 재산소-재관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OGD 후 24시간에 세포 변성을 의미하는 많은 FJ 염색 양성 신경 세포 들이 CA1과 DG에서 관찰되었다. 고배율 confocal laser 현미경으로 관찰한 CA1에서의 신경 세포들 중 일부는 명확한 핵과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다른 신경 세포들은 핵의 분절화, 돌기의 손실 등을 보여 주었다. TUNEL 염색과 caspase-3 염색은 OGD 후 24시간에 CA1과 DA에서 TUNEL 양성 발현을 증가시키고 caspase-3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 론: 해마 절편 배양에서 산소-포도당 박탈 에 의한 다수의 세포 사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망한 세포 들은 주로 신경 세포의 caspase-3 활성화에 의해 매개된 사멸을 보였다.

정자기장이 MC3T3-E1 세포의 골결절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tatic Magnetic Field on The Bone Nodule Formation of MC3T3-E1 Cells)

  • 김광덕;권오원;류현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5-163
    • /
    • 1998
  • 정자기장이 MC3T3-E1 세포의 골생성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MC3T3-E1 세포를 4well 세포배양접시에 $SmCo_5$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76.4mT의 정자기장을 가한 상태에서 5일, 7일, 11일, 15일 및 21일간 배양한 후 세포의 ALP 활성도를 측정하고 Alizarin red S 염색을 통하여 골결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정자기장을 가한 군중 7일군, 11일군 및 15일군에서 MC3T3-E1세포의 ALP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p<0.01) 그중 11일군에서 가장 억제효과가 많았다. $\cdot$Alizarin red S 염색을 통한 골결절 양상은 11일군까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염색양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5일군에서 대조군은 소량의 골결절이 염색되었으며 실험군은 골결절 염색이 되지 않았으며 21일군에서는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골결절이 염색되었으나 대조군에서 약간 더 염색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기생피자식물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의 흡기내 목부의 개체발생 (Ontogeny of Haustorial Xylem in Parasitic Angiosperm Cuscuta austrailis R. Brown)

  • 이규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37-144
    • /
    • 1991
  • 기주식물 (토끼풀, Trifolium repens L.)에 기생하는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의 흡기내 목부의 개체발생 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흡기의 목부 분화를 암시하는 최초의 해부학적 특징이, 흡기 자체내에서가 아니라, 그 흡기가 형성되어 있는 실새삼 줄기에서 나타났다. 즉 실새삼 줄기의 중심주의 유관속 내부 및 유관속 사이에서 세포분열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 분열로부터 유도된 세포들은 짙게 염색된 세포질과 뚜렷한 핵을 갖고 있었다. 흡기가 기주조직에 침입하여 생장함에 따라, 실새삼 줄기의 중심주에서 시작된 세포분열 활성은 유관속 사이를 거쳐서 흡기의 기부를 향하여 구정적으로 확장되었다. 이와 동시에, 실새삼 줄기의 목부에 인접해 있던, 짙은 세포질 밀도를 갖는 세포들이 목부요소로 분화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이미 형성되었던 짙게 염색된 세포들을 따라서 흡기의 목부는 구정적으로 분화하였다. 실새삼 줄기의 중심주에서 일어나는 유조직 세포들의 분열활성 및 이로부터 흡기의 목부 분화를 구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고전압 펄스 전기장에 의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세포내·외적 사멸 기작 연구 (Intra- and Extra-cellular Mechanism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activation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

  • 이상재;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7-94
    • /
    • 2015
  • 비가열 살균 기술 중 본격적인 상업적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 기작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포 현탁액을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하였을 경우 처리 시간이나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세포 외액으로 세포내 물질의 유출이 증가하였으며,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로 인하여 $K^+$, $Na^+$등이 이온 성분의 유출도 나타났다. 염색시약에 의한 세포의 염색에서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염색되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전자현미경에 의한 세포의 관찰 결과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받은 세포의 경우 처리 받지 않은 것에 비해 표면이 거칠고 굴곡이 있었으며, 세포막이 터져 세포내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고 형태가 일그러진 것이 관찰되었다. 항생물질 첨가에 따른 회복 실험에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해 세포의 단백질 합성 체계에 손상을 입었으며, chromosomal DNA의 분리를 통한 DNA의 손상여부 관찰 결과 약 27.3%의 DNA의 손상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가 세포벽이나 세포막의 손상뿐만 아니라 대사 체계와 DNA에도 손상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