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수

검색결과 10,353건 처리시간 0.037초

돼지 단위발생 배아의 발달과정에서 세포사멸에 관한 연구 (Effect of Apoptosis on Porcine Parthenotes Development in vitro)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43-3849
    • /
    • 2013
  • 이배체 단위발생 돼지 난자를 체외 배양시 배반포 형성 단계에서 FBS (우태아 혈청), BSA (우혈청 알부민), EGF(상피세포 성장인자)를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이배체 단위발생 에서 총세포수, 세포사멸 및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 효과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0.4% BSA를 배양액에 첨가 하였을 때 2 세포기 단계 단위발생의 발달은 배반포 까지는 강화 되었다 (p<0.01). FBS 처리 시는 배반포의 세포 수는 감소시켰으나 세포 사멸률은 증가하였다(p<0.01). 하지만 EGF가 존재할 때 BSA 처리는 총 세포수를 증가 시켰다. RT-PCR의 결과에 의하면 EGF는 0.4% BSA가 존재하는 배양액에서는 Bcl-xL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BSA와 EGF 가 단독으로 존재 할 때는 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FBS 처리시 Bcl-xL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고 Bak 유전자의 발현은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배양액의 첨가물에 따라 유의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돼지 배아의 체외 배양시 세포사멸과 초기발달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초점분절사구체경화증에서 발세포병증과 형태 변화 (Podocytopathy and Morphologic Changes in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13
  • 발세포병증은 발세포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사구체질환이다. 발세포의 손상은 여러 사구체질환에서 관찰될 수 있으나, 미소변화질환과 FSGS에서 주요 병인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FSGS에서 발세포 손상의 형태 변화와 분절경화의 유형을 설명하고자 한다. 발세포가 손상되면 형태 변화로 발돌기의 소실, 발세포 세포질 내 공포, 발세포하 낭 등이 관찰되며, 심하면 발세포의 탈락 및 자멸사가 관찰된다. 그러나 분절경화가 초래되기까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발세포의 소실이 있어야 하며, 손상된 발세포는 동일한 사구체 소엽 내 주변 발세포로 손상을 전파하여 병변이 커지게 된다. FSGS는 광학현미경 소견을 기초로 NOS형, perihilar형, cellular형, tip형, collapsing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아형에 따라 임상 경과나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이 다르고 흔히 동반되는 임상 조건들도 다르다고 보고되었으나 이에 대하여는 아직도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FSGS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 정보와 혈액 내 투과인자의 성분 등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 FSGS에서 관찰되는 조직 변화나 병태생리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대식세포에서 산더덕에 의한 NO 생성 및 싸이토카인 유도효과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Cytokines in Macrophages by Codonopsis lanceolata)

  • 소미선;이진실;이세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86-990
    • /
    • 2004
  • 대식세포는 IL-1, IL-6, $TNF-{\alpha},\;IFN-{\gamma}$의 중요한 근원이고, 전염성의 병원체와 종양 세포에 대해 저항하는 주요한 effector 세포이다. 이것은 cytokine signal에 의해 세포파괴가 되도록 활성화 된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산더덕의 물 추출물이 cytokine, nitric oxide와 같은 effector 분자를 유도하기 위해 대식세포를 활성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산더덕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은 농도 의존적이고, 시간 의존적이었다. iNOS는 시간이 지날수록 발현이 유도되었다. 산더덕 추출물에 의한 IL-1과 IL-6 mRNA 유도는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 되었고, 처리 후 24시간에 최고점에 도달하였다. 이것은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종양세포를 죽일 수 있음을 말한다. $TNF-{\alpha}\;mRNA$의 양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였고, $IFN-{\gamma}\;mRNA$의 양은 산더덕 추출물의 처리 1시간 후에 빠르게 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더덕은 효과적인 면역조절자이고 대식세포의 항종양활성을 강화함을 알 수 있다.

벼 배발생 세포의 특성과 배발생 관련 유전자의 분이 - 배발생 세포에 관련된 동이효소 특성 - (Characterization and Cloning of Genes Related to Embryogenic Cells in Rice - Characterization of Isozymes Related to Embryogenic Cells -)

  • 정병균;백윤웅;고경민;남백희;황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55-62
    • /
    • 1995
  • 벼(Oryza sativa L. cv. Kye Hwa) 성숙종자에서 유도한 배발생 세포(embryogenic cell, EC)의 동위효소 발현양상과 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확립된 EC 현탁배양은 세포가 둥글며 세포질이 충만한 세포들로 이루어졌으나 비배발생 세포(nonembryogenic cell, NEC)의 현탁배양은 크게 신장한 액포화된 세포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EC와 NEC의 peroxidase, esterase, acid phosphatase 그리고 malate dehydrogenase의 동위효소 양상과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밴드의 수와 특이성 그리고 밴드 활성 등에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또한 이들 동위효소의 효소 활성도 측정 결과 EC에서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NEC에는 나타나지 않은 EC의 특이 밴드와 강한 밴드 활성 그리고 높은 효소 활성 등은 EC의 형태적, 분화능과의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들 효소의 특이 밴드들이 벼에서 EC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 PDF

Herpes Simplex Virus Type-1 (HSV-1) 감염에 따른 세포내 유리 $Ca^{2+}$농도의 변화 (The Change of Cytosolic Free Calcium Concentration Following Herpes Simplex Virus Type-1 (HSV-1) Infection)

  • 남윤정;이규철;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6-311
    • /
    • 2000
  • Herpes simplex virus type-1 (HSV-1)의 감염에 따른 세포내 유리 칼슘농도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HSV-1이 Vero 세포에 감염한 후 4시간째에 세포내 칼슘농도가 최대로 감소한 것을 알았으며 이러한 세포내 유리 칼슘농도의 감소는 감염성 바이러스의 양에 따라 커지며, 유전자 발현 억제제의 처리나 바이러스의 불활성화에 의해 극복되었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유전자발현이 세포내 유리 칼슘농도의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Vero 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고 미세소관 안정제인 taxol을 처리하여 4 시간째의 세포내 유리 칼슘농도의 감소가 극복된다는 사실로부터 바이러스이 유전자 물질의 이동에는 미세소관이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Vero 세포에서 HSV-1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유리칼슘 농도의 감소는 HSV-1 증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 PDF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의 세포 면역학적 장어 기전 (Antibody-dependent rat macrophage-mediated damage Into the excysted metacercariae of Paragonimus westeymani in vitro)

  • 정평림;장재경;소진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43-54
    • /
    • 1991
  • 폐홉충(Paragonimus westermani) 초기 감염시의 숙주 면역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폐흡충 피낭유충을 백서에 감염시켜 주별(주별)로 항혈청을 분리하고 등일 백서에서 복강 대식세포(homologous rat peritoneal macrophage)를 얻은 다음, 이들과 폐흡충 탈낭유충 및 숙주 조직 이행중인 유약충으로 effector system을 조작하여 폐흡충 유충에 대한 항체 의존성 대식세포 공격기전을 관찰하였다. 백서 복강 대식세포는 항혈청 출현 시에만 폐흡충 탈낭유충에 대한 세포부착 반응(cell adherence reaction)을 보였고 이 반응에는 보체가 관여하지 않았다. 폐흡충 감염 1주에서 8주까지의 백서 항혈청 중 2주째에 분리한 항쳔청 실험군에서 100%의 세포부착 반응을 나타내었고 사멸된 충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세포부착 반응은 탈낭 유충기에서만 나타나는 반면 조직이행 유약충에서는 전혀 그 반응을 인정할 수 얼어 폐흡충 감염에 따른 항체의존성 숙주 세포 매개독성(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은 발육단계 별 특이성을 보였다. 한편, 대식세포의 공격에 의하여 사멸된 폐흡충 탈낭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은 대식세포와 유충 사이에 형성되는 fuzzy material, tegumental syncytium 내의 미세구조의 변성 및 syncytium과 근육층을 연결하는 tubular tunnel의 형성 등이었다.

  • PDF

유전자 발현 데이터 기반 구강암에서의 세포 조성 차이 분석 (Distinct cell subtype composition using gene expression data in oral cancer)

  • 이제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59-65
    • /
    • 2019
  • 암 조직에는 다양한 형태의 세포가 존재하지만, 이들의 조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 데이터에 통계적 기계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각 샘플의 세포 조성을 추론하고, 이러한 세포 조성이 암조직과 정상 조직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두 가지 서로 다른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세포 조성을 예측한 결과 CD8 T cell과 Neutrophil이 구강암 조직에서 정상 조직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지도학습 중 하나인 t-SNE를 적용하여, 유추된 세포 조성에 의해 정상 조직과 구강암 조직이 서로 군집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지도 학습 기반의 다양한 분류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세포 조성 정보를 이용하여 구강암과 정상 조직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이 연구는 구강암의 면역 세포 침투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GS 세포주에서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의 세포 사멸 유도 (trans-Cinnamaldehyde-Induced Apoptosis in AGS Cells)

  • 이선이;정주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0-104
    • /
    • 2021
  • 트랜스 신남알데하이드(TCA)는 계피의 활성성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항바이러스, 항균, 항진균 뿐 아니라 일부 암세포주에서 항암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위암세포주에서의 보고는 미비하며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AGS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작용 및 그 기전을 살펴보았다. TCA는 농도의존적으로 AGS 세포의 생존율을 억제하였다. AGS 세포 형태로 보아 TCA에 의한 세포사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양을 조사한 결과, TCA는 p53과 Bax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분절된 caspase 9 및 PARP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부터 TCA가 AGS 세포주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TCA가 위암에 대한 항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항암제 후보물질로 기대된다.

Mesna의 쥐 고환에 대한 방사선 보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Mesna on Mouse Testis)

  • 류삼열;김재철;김상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45-150
    • /
    • 1990
  • 고환암에서 mesna는 ifosfamide와 병용 투여하면 요관 계통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adriamycin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 항암제의 세포증식 억제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부작용을 경감 시킨다. 방사선 보호제의 sulfhydryl가 방사선에 의하여 발생하는 hydroxyl 유리기와 반응하여 조직을 보호할 수 있고, 역시 체내에서 유리기를 발생하는 adriamycin의 독작용을 musua가 감소시키는 사실에 근거하여, 쥐에 mesna와 방사선을 투여하여 mesna의 방사선보호 작용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단독 처치군과 mesna와 방사선 처치군에서 고환의 수정관 내의 배아세포의 수와 형태적 변화를 현미경 하에서 매주 비교하고 재생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양쪽 군에서 공히 초기에 세포 수가 감소하고 후기에 다시 세포가 증식 하였으며, 가장 세포 수가 적게 관찰된 시기는 방사선 조사 후 3주 째였다. 모든 관찰 기간에서 mesna 처치군의 평균 배아 세포수가 방사선 단독 처치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관찰되었고(p<0.05), 또한 mesna 처치군에서 더 유효한 세포 재생 능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mesna가 방사선 상해로부터 고환의 수정관 내 배아세포를 보호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Mesna가 고환 이외의 다른 조직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종양의 관해율을 저해하지 않을지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극복한다?

  • 유순집
    • 월간당뇨
    • /
    • 통권166호
    • /
    • pp.64-67
    • /
    • 2003
  • 인슐린 치료를 필요로 하는 당뇨병 환자에서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합병증이 진행된 경우에는 기존의 고식적인 치료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워 이상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기대가 높은 상태이다. 특히 췌도이식 대상자는 급증하고 있으나 공급 가능한 췌장은 한정되어 있어 이식에 필요한 췌도는 절대적인 부족 상태로 오직 일부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만 제한적으로 췌도이식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충분한 췌도 이식원을 확보할 수 있는 췌도 이식원의 개발은 췌도이식의 가장 큰 목표라 할 수 있다. 본 난에서는 당뇨병 치료에서 시험관내 및 생체실험에서 줄기세포의 현황과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의 성과와 이에 따른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최근 내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