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수

검색결과 10,330건 처리시간 0.033초

Cytotoxici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of New Resin-based Sealer (새로운 레진 계통의 근관봉함재의 독성과 항균 작용에 대한 연구)

  • Park, So-Young;Lee, Woo-Cheol;Lim, Sung-Sa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2호
    • /
    • pp.162-168
    • /
    • 2003
  • 이 연구는 기존의 레진 근관봉함재를 보완하여 개발한 근관봉함재(Adseal; 새로운 레진 계통의 근관봉함재)를 이미 상품화된 레진 계통의 근관봉함재(AH 26, AH Plus), 산화 아연 유지놀 계통의 근관봉함재(TubliSeal EWT, Pulpcanal sealer EWT), 수산화 칼슘 계통의 근관봉함재(Sealapex)와 비교하여 세포독성과 항균작용을 평가하고자 한다. 세포독성 실험은 L929 쥐의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세포의 viable ratio를 계산한 후, Giemsa stain으로 염색하여 세포의 양상을 관찰하였고, 항균작용 실험은 Enterococcus faecalis Porphyromonas endodontalis, Porphy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와 Fusobacterium necrophorum를 사용하여 agar diffusion test로 평가한다. Adseal은 다른 근관봉함재에 비해 훨씬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고, AH Plus, AH 26, TubliSeal EWT, Sealapex, Pulpcanal sealer EWT의 순으로 세포독성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seal은 Enterococcus faecalis 에서는 낮은 항균작용을 보이지만, Black-pigmented bacteria 에서는 높은 항균작용을 보이는데, 모든 근관봉함재는 서로 다른 종에 따라 어느 정도의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연물로부터의 항노화소재 개발: Triterpenoid계 식물성분인 Oleanolic acid의 항노화 효과

  • 남개원;이소희;김승훈;김수현;성대석;김수남;이병곤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제29권1호
    • /
    • pp.27-44
    • /
    • 2003
  • 전반적인 피부세포의 생리적 지능 자하로 인한 자연노화와 더불어, 여러 피부 스트레스 요인들이 다양하게 작용하여 발생하는 외인성노화를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항노화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예로부터 항염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oleanolic acid(OA)를 포함한 ursolic acid(UA), betulin, betulinic acid(BA) 등의 triterpenoids가 어떻게 피부에서의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았다. 시험 결과, OA는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에서의 PGE$_2$ 생성과 섬유아세포(NHF)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분비를 억제하였다. 그리고, NHF의 procollagen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런 procollagen 생성촉진활성이 in vivo에서도 발현되는 것을 무모생쥐의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OA는 각질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여 표피세포로 하여금 세라마이므와 필라그린 생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작용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실험한 UA, betulin, BA 들은 비록, betulin, BA의 경우 세포 독성이 다른 물질 들에 비해 높았고, UA가 각질세포의 분화를 오히려 억제하는 양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기능은 OA와 유사하였다. 피부세포보호작용과 진피 기질물질에 대한 작용, 그리고, 표피의 장벽기능과 보습기능에 대해 시험한 본 연구는, 식물성분인 triterpenoids가 피부를 위한 항노화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OA가 보다 우수한 항노화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Cell Structure of Tomato Fruits during Maturation (토마토 과실의 성숙중 세포벽 성분 및 조직의 변화)

  • 신승렬;문광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제25권2호
    • /
    • pp.274-278
    • /
    • 1996
  • 토마토 과실의 연화현상의 주 원인으로 판단되는 세포벽의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 단계별로 취하여 과실의 경도, 세포벽 구성 성분의 변화 및 세포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육의 경도는 적숙기 이후부터 급셕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세포벽 함량은 성숙 중에 감소하였고 가용성 펙틴의 증가와 불용성 펙틴의 감소는 적숙기와 식용 적기 사이에서 가장 현저했으며, 총 펙텐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숙에 따른 토마토 과육의 세포 및 세포벽의 형태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수확기까지의 토마토에서는 middle lamella와 세포내 기관들이 잘 관찰되었으나, 연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용 적기의 토마토에는 middle lamella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과숙기 에서는 middle lamella의 가용화와 함께 세포벽의 부분적인 분해와 세포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Fine structural Changes in the Ele Epidermis According to Sea Water Adaptation. I Epithelial Cell (염분적응에 따른 뱀장어 표피의 미세 구조적 변화 I . 상피세포)

  • 박인식;김진정조운복박상옥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제38권1호
    • /
    • pp.26-37
    • /
    • 1995
  • 뱀장어, Anguilla joponicu의 표피를 구성하는 주종 세포인 상피세포는 80남 정도의 많은 당김세사를 함유하고 있어서 표피의 골격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회유행동 특성에 의해. 성숙된 뱀장어는 바다로 나가게 되고 표피는 급격한 환경변화를 서게 되는데 그 현상들을 살펴보면 먼저 상해반응으로 세포 내의 파립 형질내세망의 내강이 확장되는 현상과 다양한 크기의 공포의 증가로 인해 상피세포들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며 일부 세포에서는 괴사 또는 변성되는 형태인 다층층판구조를 갖기도 한다. 이에 대한 능동적 대처로 부착반쪽으로 모이는 당김세사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되며, 상피세포 사이의 연접부위에 부착반의 수가 증가되며 미토콘드리아. 형질내세망 등 세포소기 관이 발달되고, 분비과립의 증가 등 분비양상이 증가되고, 능동적인 염배출과 연관된 핵상부의 중앙축을 따라 미토콘드리아 및 과립 형질내세망이 풍부한 세포도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화는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른 환경적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상피세포의 기능적 방어기작이라고 사료된다.

  • PDF

Deep Seawater Increases Dendritic Branches of Cultured Rat Hippocampal Neurons (해양심층수에 의한 해마신경세포 가지돌기 수의 증가)

  • Lee, Hyun-Sook;Nam, Kyung-Soo;Shon, Yun-Hee;Moon, Il-So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8권6호
    • /
    • pp.897-901
    • /
    • 2008
  • Deep seawater (DSW; deep ocean water) is pure, rich in inorganic materials which have attracted attention for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SW upwelled from the East Sea, offshore Yang Yang (Korea) on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cultured rat hippocampal neurons, which were grown in the minimal essential medium containing 10% (v/v) fetal bovine serum and 25% (v/v) DSW with various hardness. DSW had no effect on initial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17 hr post-plating). When observed on DIV3, 7, 14, and 17, low hardness (0 and 200) DSW reduced dendritic branching. However, dendritic branches within $80\;{\mu}m$ diameter from the center of soma nearly doubled in neurons grown in hardness 1,000 DSW-containing media. DSW with hardness 600 was more or less same as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SW with appropriate hardness ameliorates neuronal health.

Effect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Agonist on Apoptosis of Luteal Cells in Pregnant Rat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Agonist가 임신된 흰쥐 황체세포의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 양현원;김종석;박철홍;윤용달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제6권2호
    • /
    • pp.131-139
    • /
    • 2002
  • Since GnRH and its receptor genes are expressed in the ovary, it has been suggested that ovarian GnRH might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ovarian function and the apoptosis of ovarian cells. However, it was not known well on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GnRH and its receptor in the corpus luteum.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GnRH and its receptor are expressed in luteal cells and GnRH has any effect on the apoptosis of luteal cells. Luteal cells obtained from the pregnant rats were cultured and stained for GnRH and its receptor proteins. Cultured luteal cells showed distinct immunoreactivity against both anti-GnRH and anti-GnRH receptor antibodies. In addition, the presence of GnRH receptor protein in cultured cells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nRH on the apoptosis of luteal cells, luteal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10$^{-6}$ M GnRH-agonist(GnRH-Ag) for 3, 8, and 12h. TUNEL assay showed that the number of cells undergoing apoptosis increased 12h after culture(P<0.05). DNA fragmentation analysis confirmed the results such that the cells treated for 12h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of fragmentation(p<0.05). Further, Western blot analysis of cytochrome c in the mitochondrial and cytoplasmic fractions of the luteal cells showed that GnRH-Ag treatment increased the content of cytochrome c in cytoplasm.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luteal cells express GnRH and its receptor and GnRH-Ag treatment induces apoptosis of the luteal cells via mitochondrial release of cytochrome c.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releasing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might be involved in the luteal cell apoptosis induced by GnRH-Ag.

  • PDF

Recent Trends on Telomerase Activators, Sirtuin Activators, and Senolytics as a Potential Anti-aging Agent (잠재적인 항노화제로 텔로머레이즈 활성화제, 서르튜언 활성화제, 세노릭틱스에 대한 최신 동향)

  • Kim, Moon-Mo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30권9호
    • /
    • pp.819-825
    • /
    • 2020
  • All living organisms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such as skin wrinkle formation, muscle degeneration, cataracts, and hair graying as the number of aged cells increases over time. Senescence, which is known as a key cause of aging, is directly related to the aging of living organisms because cells are aged by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nd eventually cell proliferation is stopped. Senescence is caused by the gradual shortening of the telomere with cell division, and lifespan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telomere.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histone deacetylase, which can influence gene expression, is not only involved in yeast but also deeply involved in anti-aging mechanisms in both C. elegans and human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old cells play a decisive role in the aging phenomeno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young cells and delay aging by removing these senescent cells from the insid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potential anti-aging agents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gin with an in-depth study of telomerase activators, sirtuin activators, and senolytics.

Comparison of Some Tissues in Diploid and Triploid Hybrid betwee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Cyprinid Loach, M. anguillicaudatus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와 미꾸리, M. anguillicaudatus간 잡종 및 잡종 3배체 일부 조직에서의 세포 및 핵 크기)

  • 박인석;김동수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제4권1호
    • /
    • pp.19-28
    • /
    • 2000
  • Diploid and triploid hybrid between femal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male cyprinid loach, M. andguillicaudatus were produced, using artificial propagation. The influence of hybridization and triploidization on characteristics of the some tissues of retina optic tectum and trunk kidney in loach was determined histologically. Diploid hybrid have almost size similarities in nucleus and the cell size of some tissues to both parents. In the triploid hybrid the nucleus and/or the cell size in erythrocyte, horizontal cell in inner nuclear layer of retina ganglion cell in ganglion cell layer of retina, neuronal cell in granular layer of optic tectum, and secondary proximal tubule cell of trunk kidney,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the corresponding cells in the diploid hybrid individuals. However, triploid hybrid showed fewer number of cells in outer nuclear layer in retina and nuclei in secondary proximal tubule of trunk kidney than in diploid hybri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me characteristics in the triploid hybrid exhibiting larger cell and nucleus size with fewer number of cell than diploid hybrid can be useful criteria for the distinction between diploid hybrid and triploid hybrid, and the ploidy level in loach.

  • PDF

Histological Studies on the Gametogen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ard Clam , Meretrix Iusoria (백합, Meretrix I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 Ju-Ha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제13권2호
    • /
    • pp.131-141
    • /
    • 1997
  • 전북 김제시 심포에서 1994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합은 자웅이체이고 난생을 하며,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의 하부로부터 족부의 근육부근까지 분포하며, 성숙되면 팽대되지만 방란, 방정 후에는 위축된다. 생식소는 많은 난자형성여포들과 정자형셩여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에는 호산성 세포와 미분화간충직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영양물질로 제공되고 있으며, 생식소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소실된다. 초기활성기의 난원세포는 직경 10$\mu\textrm{m}$ 내외이며, 초기 난모세포는 난병을 여포벽에 부착한 채 성장을 하여 70$\mu\textrm{m}$ 내외의 완숙란으로 된다. 정원세포가 성장을 하여 정보세포, 정세포를 거쳐 변태를 마친 정자는, 정자형성소낭의 중앙 내강에 정자속을 형성한다. 방란,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일부 미방출된 생식세포가 퇴화 흡수되면서 비활성기를 지나 이듬해 수온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발달을 시작한다. 생식주기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초기 활성기(1-3월), 후기 활성디 (2-5월), 완숙기(4-8월), 부분 방출기(6-9월), 퇴화 및 비활성기(9-2월)로 구분할 수 있다. 산란은 6월 (22$^{\circ}C$)부터 9월 ($25^{\circ}C$)까지 지속되지만, 산란성기는 7월(27$^{\circ}C$)-8월(28$^{\circ}C$)이다. 생식소지수는 1월에 0.58을 나타내며 5월에 4.60으로 최대값을 나타낸 후, 6월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월과 1월에는 1.0미만에 머무른다.

  • PDF

Automatic Segmentation of Cellular Images for High-Throughput Genome-Wide RNA Interference Screening (고속 Genome-Wide RNA 간섭 스크리닝을 위한 세포영상의 자동 분할)

  • Han, Chan-Hee;Song, In-Hwan;Lee, Si-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제10권4호
    • /
    • pp.19-27
    • /
    • 2010
  • In recent years, high-throughput genome-wide RNA interference screening is emerging as an essential tool to biologists in understanding complex cellular processes. The manual analysis of the large number of images produced in each study spends much time and the labor. Hence, automatic cellular image analysis becomes an urgent need, where segmentation is the first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However, those factors such as the region overlapping, a variety of shapes, and non-uniform local characteristics of cellular images become obstacles to efficient cell segmentation. To avoid the problem, a new watershed-based cell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a localized segmentation method and a feature vector is proposed in this paper. Localized approach in segmentation resolves the problems caused by a variety of shapes and non-uniform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oor performance of segmentation in overlapped regions can be improved by taking advantage of a feature vector whose component features complement each oth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method in Cellprofi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