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

Search Result 26,64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전자파와 인체세포의 생리

  • 강위생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8 no.2
    • /
    • pp.22-28
    • /
    • 1997
  • 세포는 생명체의 가장 기본단위이다. 식물은 태양 에너지를 변환하여 화학에너지의 형태로 축적한다. 모든 생물은 이 화학에너지를 변환하여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인체 세포는 이 화학에너지 를 변환하여 세포 자체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체온을 유지하고, 근육수축과 같은 기계적인 일과 신경 전달과 같은 전기적인 일도 한다. 또 세포는 새로운 화학물질을 합성하기도 한다. 세포에 이상이 생기면 조직이나 기관의 이상이 따르게 되고 결국 병적인 상태에 이르게 된다.외 부 환경이 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의 중요한 요인이다. 세포에 대한 외부환경은 세포를 둘러 싸고 있는 세포외액과 몸밖에서 들어오는 방사선이나 열과 같은 물리적 에너지로 대별된다. 영양의 불균형이나 섭취한 물질은 세포외액의 항상성 유지를 방해한다. 방사선, 특히 이온화 방사선은 직접 세포속에서 중요한 분자를 분해시키기도 하고 새로운 분자를 합성하기도 하여 세포를 죽이기도 하고 세포의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바꾸기도 하고 드물게는 암세포로 바꾸기도 한다. 열은 단백질의 변성 을 촉진한다.

  • PDF

Bee Venom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Bee Venom이 세포자멸사를 통해 DU-145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Hur, Keun-Young;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8 no.3
    • /
    • pp.111-119
    • /
    • 2011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을 처리한 후 DU-145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기 위해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ro-apoptotic proteins인 PARP,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anti-apoptotic proteins인 Bcl-2, p-AKT, XIAP, cIAP2는 유의한 감소를, MMP2, MMP13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전립선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and cross-reactive B-cell epitope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human heat shock protein 60 in atherosclerosis (동맥경화증에 있어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인체 열충격단백의 T-세포 및 교차성 B-세포 epitope)

  • Choi, Jeom-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3
    • /
    • pp.331-34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동맥경화증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와 인체 열충격단백 60의 T-세포 및 교차성 B-세포 epitope를 규명하고 수립된 T-세포주의 T-세포 주요조직적합체 양상을 파악하려는 데 있다. P. gingivalis 열충격단백-반응성 T 세포주와 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 분자를 구성하는 104개의 중복성 합성 펩타이드의 T-세포 epitope과 B-세포 epitope을 규명하였다. 인체 열충격단백60에 대한 B-세포 epitope도 같은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P. gingivalis,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 또는 인체 열충격단백60에 대한 IgG 항체는 모든 동맥경화증 환자에서 상승하였다.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의 3, 15, 24, 33, 45, 53, 64, 84, 88, 99번 펩타이드가 주요한 T-세포 epitope였고 이것들은 T-세포 및 B-세포 공동 epitope이기도 했다. 또한 인체 열충격단백60 교차반응 B-세포 epitope은 15, 29, 53, 56, 69, 74번 펩타이드로 판명되었다. 대부분 환자의 주요조직적합체는 $HLA-DRB1^{\ast}1504$$HLA-DZB1^{\ast}0603$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 gingivalis 열충격단백60은 제 2급 주요조직적합제-제한적으로 분해되고 전달되었으며 이 단백질이 공통적인 T-세포 및 B-세포 epitope를 가지면서 동시에 인체 열충격단백60과 교차성 B-세포 epitope을 가지면서 동맥경화증의 면역조절기능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Bee Venom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COX-2 in human osteosarcoma cell line MG-63 (봉독이 골육종세포주에서 세포사멸 및 COX-2 억제에 미치는 영향)

  • Hwang, Dae-yeon;Kim, Ho-hyun;Kim, Chang-ju;Kim, Ee-hwa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0 no.3
    • /
    • pp.63-74
    • /
    • 2003
  • 목적 : 한의학에서 관절염이나 진통치료에 사용되어 왔던 봉독약침액이 인간 골육종 세포주인 MG-63 세포에서 항종양효과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봉독의 종양발생 억제작용이 세포사멸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효소인 cyclooxygenase(COX)-2의 억제와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인간 골육종 세포주에서 세포사멸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imide(MTT)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DNA fragmentation assay 및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독성 검사에서 봉독은 MG-63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봉독의 세포독성이 세포사멸로 인한 것인지를 여러 가지 형태로 검사한 결과 봉독에 의한 세포독성은 TUNEL 검사와 DAPI 염색시 세포사멸의 특징적인 소견들을 나타내었고, flow cytometric 분석에서도 세포사멸을 의미하는 세포주기의 변화들을 나타내었다. 봉독이 COX-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로 실험한 결과 봉독은 COX-2 mRNA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였다. 결론 : 본 실험의 결과 봉독은 COX-2 mRNA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골육종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발하고 그 결과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Mouse Uterine Wall using Monoclonal anti $\beta$-hCG (생쥐 자궁벽에 있어서 $\beta$-hCG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오선희;최임순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448-455
    • /
    • 1992
  • 생쥐에 hCG를 투여한 후 자궁벽에서 hCG와 결합하는 세포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세포가 hCG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of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수행하였다. p-hCG에 대한 단일크론항체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는 주로 자궁벽의 자궁근막 삼각과 자궁내막 기저층에 분포하였으며, 세포질에서 양성반응을 일으킨 것으미 관찰되었다. hOG를 투여하고 3, 6, 24시간 후에 각각 자궁벽라 자궁근막에서 양성반응세포를 관찰한 결과, 양성반응세포의 이동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자궁근막에서 보면, 3시간 후에는 자궁근막의 혈관내부와 주변에서 다수가 관찰되었으며, 6시간 후에는 소수가 관찰되었고, 24시간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동일 시간에 적출된 자궁벽에서는 6시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양성세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자궁벽과 자궁근막에서 관찰되는 양성반응세포의 수 사이에는 반비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난소를 적출한 생쥐의 자궁에서는 양성반응세포의 수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hematoxvlin-eosln 염색 결과 양성반응세포로 추정되는 세포의 세포질에서 호산성과림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양성세포는 GMG(granulated metrial gland) 세포로 판단되었으며, 이 세포의 이동은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n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ye of a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동양달팽이의 눈에 대한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 Jeong, Kye-Heon;Lee, Hyun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0 no.1
    • /
    • pp.1-8
    • /
    • 1994
  • 동양달팽이속(Nesiohelix)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알려진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성체의 눈에 대하여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관찰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동양달팽이의 눈은 각막, 무세포성의 수정체, 망막및 신경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가장 복잡한 구조를 보이는 부분은 망막으로서 이의상피는 2종의 원주세포로 구성되어있다. 그 하나는 광수용세포로서 세포의 상부세포질이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의 돌기를 이루었고 그 유리표면에는 긴 감간(microvilli)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돌기를 이룬 세포질 내에는 용해소체의 활성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광수용세포들의 상부세포질에는 이웃해 있는 색소세포들의 세포질 돌기들이 여러개 침입해 들어와 있다. 그리고 핵 주변의 세포질에는 수많은 photic vesicle들이 군집을 이루어 존재한다. 다른 한 종류의 세포는 색소세포들로서 광수용세포들과는 달리 세포의 상부에 원추형의 세포질 돌기가 없고 다만 그 유리표면을 따라 광수용세포의 것보다는 굵고 짧은 많은 감간이 존재하는데 두 종류의 세포들에서 뻗어나온 감간들은 서로 만나 때로 파상을 이루고 있다. 망막 상피세포층의 기저막 아래에는 신경망이 컵모양의 망막을 따라 존재한다.

  • PDF

Autocrine Growth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ed-Lymphoblastoid B-Cell Line, BL2M3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림프아구양 B 세포주(BL2M3)의 autocrine 증식)

  • Yang Mhan-py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2 no.1
    • /
    • pp.789-798
    • /
    • 1995
  •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 세포주(BL2M3 및 BL312)의 배양상층액에 대한 자기세포들의 증식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자기세포인 BL2M3세포에 첨가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것은 배양 4-5일차, 배양상층액의 첨가농도는 50-60%,세포수는 5x$10^4$-5x$10^{5}$ /ml에서 최적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우태아혈청(FBS) 무첨가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BL2M3세포는 동일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한편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BL312세포에 첨가했을 때는 BL2M3세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또한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은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해서도 pokeweed mitogen(PWM)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PWM자극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상층액은 BL2M3 및 BL312세포에 대해서 전혀 증식을 유도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세포주 특히 BL2M3세포는 세포자신이 증식인자를 분비하고 그것과 반응하여 증식하는 소위 autocrine growth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Comparison of Cellular Senescence Phenotype in Human Fibroblasts from New-born and Aged Donors. (신생아와 노인 유래 섬유아세포의 노화과정에서의 세포학적 성질의 비교)

  • Yi, Hye-Won;Hwang, Eun-Se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3
    • /
    • pp.344-349
    • /
    • 2008
  • Normal somatic cells proliferate for a limited number of doublings in culture and then enter an irreversible growth-arrest state called replicative senescence. Replicative senescence has been believed a reason for the limited cellular turnover and deterioration of tissue function in aged animals. However, there is no experimental evidence supporting this assumption. Furthermore, cells from aged person have been poorly characterized with an exception of the cases of T cells. In this study, we examined cell bi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replicative senescence of fibroblast strains originated from a new-born (NHF-NB) and a 87 year old man (NHF-87). NHF-87 (and the cells from a 75-year old) proliferated to smaller population doublings and with longer doubling times than NHF-NB did. At early passages, NHF-87 exhibited a low senescence-associated ${\beta}-Gal$ (SA ${\beta}-Gal$) activity and lipofuscin level, typical markers for cellular senescence. Furthermore, they maintained low levels of lysosome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ll of these level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late passage NHF-87 quite similarly as those in the late passaged NHF-NB di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st cells originated from the aged maintain a phenotype of the cells originated from new-born donors and undergo replicative senescence with the same kinetics as that of the cells from new-born. It is also indicated that not SA ${\beta}-gal$ activity but cell proliferation rate may be qualified as a biomarker for cells aged in vivo.

Autoradiographic Studies on the Protein Synthesis in the egg chamber during Oogenesis of Drosophila melanogaster (노랑초파리의 난자형성에 따른 난실 내의 단백질 합성에 대한 자기방사적 연구)

  • 박성순;이양림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145-152
    • /
    • 1995
  • 노랑초파리의 난실에서의 단백질 합성을 난자형성과정의 단계별로 자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단백질은 영양세포에서 난자형성 초기에 미약한 정도로 함성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활발하게 합성되는 세포는 여포세포이다. 난모세포와 영양세포에서는 단백질이 거의 합성되지 않고 있다. 여포세포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Stage 10 이후의 단계에서만 난모세포로 이동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난모세포에 괸만하게 분포된 은입자는 난자 형성을 위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포세포로 부터 이입된 단백질로 짐작된다. 특히 난황립의 형성에 여포세포의 단백질이 최소한도 부분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In Vitro Assessment on Vi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fter Storage in Chlorophyllin-added Medium (클로로필린이 첨가된 탈구치아 보존액에서의 치주인대 세포 생활력에 대한 연구)

  • Chung, Won-Gyun;Kim, Jin;Lee, Eun-Ju;Lee, Seung-Jo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6
    • /
    • pp.600-6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로로필린이 치주인대 세포 생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치주인대 세포는 건강한 사람에서 발치한 소구치의 치주인대 조직으로부터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비교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HBSS 내에서 $37^{\ circ}C$로 보관한 치주인대 세포수의 50%가 생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MTT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6시간이었다. HBSS에 클로로필린 10, 100, 500 nM이 각각 첨가된 3군의 실험 보존액과 F-medium, ViaSpan, Likorol 등 모두 6군의 실험 보존액을 96-well plate에 접종한 후, 치주인대 세포를 동일한 수로 분주하였다. 이를 6시간동안 보관한 후, 각 실험군 보존액에서의 세포 생활력을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HBSS와 F-medium 및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군의 세포들에 대해 유식세포 계측을 시행하여 각각의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에서 보관한 세포들이 가장 높은 생활력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린이 첨가되지 않은 HBSS에 비해서 유의하게 양호한 세포 생활력 유지 능력을 보였다. 클로로필린으로 처치한 세포들은 클로로필린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세포 생활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식세포 계측 결과, HBSS와 F-medium 및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에서 보관한 세포의 77~80%가 G0-G1 단계의 세포 주기로 측정되어, 대부분의 세포들이 안정된 세포 대사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클로로필린 처치는 치주인대 세포의 생활력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