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성장억제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24초

난소암에서 봉독이 세포자멸사와 JAK2/STAT3 Pathway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e Venom Death Receptor Dependent Apoptosis and JAK2/STAT3 Pathway in the Ovarian Cancer)

  • 안병준;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47-59
    • /
    • 2012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사람의 난소암 세포인 SKOV3와 PA-1에서 death receptor의 발현을 높여 세포자멸사를 촉진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난소암의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난소암 세포에서 death receptor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RT-PCR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API, TUNEL staining assay 결과, 봉독은 투여량에 따라 세포자멸사의 유도를 통해 SKOV3와 PA-1 난소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세포자멸사와 동반하여 DR4와 DR6의 발현이 두 암세포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DR3의 출현은 PA-1 세포에서 증가하였다. 2. Death Receptor의 발현 증가에 따라 caspase-3, 8, 9 and Bax를 포함하는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의 발현이 동반하여 상승하였고 JAK2, STAT3의 인산화와 Bcl-2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3. siRNA 처리 시 봉독에 의한 DR3, DR4, DR6 발현증가와 STAT3의 활성억제가 역전되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봉독이 난소암 세포에서 DR3, DR4, DR6의 증가와 JAK2/STAT3 pathway의 억제를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난소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os-2 골육종 세포에서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 induced apoptosis in Saos-2 osteosarcoma cancer cells)

  • 박은혜;이효정;이수연;김선영;이호근;이대열;황평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13-219
    • /
    • 2009
  • 목 적:철은 세포 성장과 분화, 전자 전달 반응, 산소 전달, 해독작용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생체 반응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서 종양세포의 성장과 증식에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최근에 철킬레이트제인 deferoxamine이 악성 구강 각질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며, 난소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난소암의 성장을 억제하였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수혈에 의하여 헤모시데린침착증이 발생한 소아 종양 환아에서 deferoxamine이 철을 제거 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면 그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골육종세포인 Saos-2에서 deferoxamine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트리판 블루 염색으로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측정하였고, DNA 분획, 핵 응축, 세포주기분석으로 세포자멸사를 분석하였고,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분자들의 발현을 Western hybridization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Deferoxamine은 Saos-2 세포에 대하여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DNA 단편화, 핵 응축, 세포주기 분석에서의 $A_{0}$ 기의 증가, PARP의 활성도의 증가 등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aos-2 세포에서 deferoxamine 처리 후 Akt/PKB의 활성화가 억제되어 caspase 9의 활성화, 그 하류의 caspase 3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미토콘드리아 매개되는 경로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었다. 결 론:결론적으로 철킬레이트제인 deferoxamine이 세포증식을 억제시키고 세포자멸사를 유도시킴으로써 골육종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반복적 대량 수혈에 의한 철 과부하에 따른 장기손상이 우려되는 각종 소아 종양환자들에서 deferoxamine은 체내 축적된 철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종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천연 민간 생약으로부터 항암물질의 분리동정 및 그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loation and action mechanism from natural folk herbs)

  • 정해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13-213
    • /
    • 1994
  • 배풍등, 등혹 및 ginsenoside Rh$_1$의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 인삼 Rh$_1$의 세포보호작용, 비파의 ursolic acid 생체방어기전 활성화 및 산화억제작용, ononin의 radical 제거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배풍등 CHCl$_3$분획 및 등혹 CHCl$_3$분획의 간암세포에 대한 강한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배풍등 CHCl$_3$은 sarcoma 180 이식 종양조직의 성장을 유의성있게 억제하였다. Ursolic acid는 지질과산화, 단백질 산화억제와 catalase, GSH S-transferase를 활성화시켰다. 인삼 saponin은 SOD 및 nonprotein-SH를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Ginsenoside Rh$_1$ 및 Rh$_2$는 각각 radical에 대한 세포보호작용과 간암세포 세포독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육계 에탄올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 및 COX-2 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Cinnamon on the Proliferation and COX-2 Pathway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 이승연;김희석;김정옥;황성완;황성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15-1120
    • /
    • 2006
  • 육계 추출물의 대장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HT-29 인체 결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대장 정상세포인 CCD-112CoN의 성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성장은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크게 억제하였고, 대장암의 진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COX-2 mRNA 발현량 및 $PGE_2$ 생성, cGMP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육계 추출물은 정상세포에는 독성 없이 대장암 세포의 COX-2 및 $PGE_2$, cGMP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육계는 부작용이 없는 대장암 예방 건강 보조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암세포 사멸에 대한 더욱 정확한 작용기전의 규명과 활성성분의 분리 및 정제, 응용법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혈관내피세포와 흰쥐 대동맥 미세혈관 발아 모델을 이용한 황금 열수추출물의 세포의 이동, 침투 및 관형성 억제 연구 (Hot Water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Inhibits Migration, Invasion and Tube Formation in a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Model and a Rat Aortic Ring Sprouting Model)

  • 김억천;배기호;김한성;유영민;겔린스키미첼;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100
    • /
    • 2016
  • 혈관신생의 억제는 암과 같은 신생혈관형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유용한 접근법이다. 신생혈관형성의 핵심인자인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는 신생혈관형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주요한 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분석과 ex vivo 동물 실험을 통해 황금 열수추출물의 신생혈관형성 억제효과를 연구했다. 본 연구결과에서 황금 열수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해 자극된 혈관내피세포에 있어 세포독성 없이 세포의 이동, 침투, 관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더 나아가 황금 열수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해 유도된 흰쥐 대동맥 주변 미세혈관 발아를 예방하였다. 본 연구결과들은 황금 열수추출물이 신생혈관형성 억제작용이 있고, 이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해 유도된 혈관신생을 억제 하는 잠재적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ir-growth Promotion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s (TMEs))

  • 백민희;서민철;김미애;윤은영;황재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69-1275
    • /
    • 2017
  • 최근 들어 곤충을 식품 및 바이오 소재로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곤충을 이용한 모발 성장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효과를 가진 새로운 천연물 소재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서 DPPH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모발 성장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와 섬유아세포(fibroblast, NIH3T3 cell)를 이용하였으며 MTS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 및 세포증식률을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에서 dihydrotesteone (DHT)에 의한 세포사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섬유아세포에서는 tolbutamide (TBM)의 potassium channel blocker 역할에 의한 세포사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및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은 항산화 역할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된 블루베리와 유사하거나 높은 정도의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tro 상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48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모유두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을 218% 및 116%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모유두세포에서 DHT 처리에 의한 세포사가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아세포에서는 potassium channel blocker인 TBM에 의해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 처리 시 세포생존율이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성장 및 탈모방지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ity Effects of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fruits)

  • 전윤영;최승필;이효진;문선영;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94-400
    • /
    • 2003
  •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을 규명하였다.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alpha$)p, Trp-P-1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인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MNNG (0.4 $\mu\textrm{g}$/plate)의 격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는 시료농도 200$\mu\textrm{g}$/plate에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들에서 90%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 (0.15 $\mu\textrm{g}$/plate)에 대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의 경우 물 분획물의 경우 83.3%, TA100 균주에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4.4%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간접변이원의 경우 B($\alpha$)P (10$\mu\textrm{g}$/plate)에서는 에탄을 추출물과 핵산 분획물은 시료농도 200$\mu\textrm{g}$/plate에 각각 96.1%와 97.5%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rp-P-1 (0.15 $\mu\textrm{g}$/plate)에서는 TA100 균주의 경우 200 $\mu\textrm{g}$/plate 농도에서 에탄을 추출물과 물 분획물이 각각 95.5%차 90%로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고, TA98 균주에 대해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8.3%로 비교적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간의 암세포인 폐암세포 (AS49), 위암세포 (AGS), 간암세포(Hep3B), 유방암세포(MCF-7)에 대한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암세포에서 각 분획물들은 1mg/mL 농도에서 6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암세포 성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CF-7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핵산 분획물 (1 mg/mL)에서 92.7%의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Hep3B에서는 부탄을 분획물 (1 mg/mL)에서 82%의 비교적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인체 유방암세포의 증식에 대한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 억제효과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Environmental Hormones)

  • 박경욱;최사라;양희선;조현욱;강갑석;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25-831
    • /
    • 2007
  •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을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을 유도한 인체 유방암세포(MCF-7)에 처리한 후 그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체 유방암세포주인 MCF-7은 20, 40, 60, 80 및 100 ${\mu}g/mL$ 농도로 decursin의 처리 시 20 ${\mu}g/mL$ 이상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증식이 억제되었다. 호르몬이 제거된 배지로 배양한 세포에 0, 0.01, 0.1 및 1 ${\mu}M$의 농도로 환경 호르몬 $17{\beta}$-estradiol과 bisphenol을 처리한 결과 호르몬이 제거된 배지로 배양한 세포에 비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Yamada(21)와 본 실험 결과가 유사한 세포성장을 보여 암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환경호르몬의 농도를 0.1 ${\mu}M$로 하였다.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이 유도된 MCF-7 세포에 당귀 메탄올추출물 및 decursin을 1, 3, 10 및 30 ${\m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10 ${\mu}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대조구의 증식보다도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hoechst 염색을 통하여 세포 핵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decursin 처리군에서 핵의 응축과 apoptic body가 관찰되어 decursin은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환경호르몬이 처리된 MCF-7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결과는 decursin이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이 유도되는 MCF-7 세포의 성장을 apoptosis에 의해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Bauhinia forficata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활성 (Antiproliferative Effect and Apoptotic Induction of Bauhinia forficata Extract in Human Cancer Cells.)

  • 임혜영;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1
    • /
    • 2004
  • 남미 아마존 유역의 열대 우림 자생식물인 Pata de Vaca(Bauhinia forficata)의 추출물로부터 활성분획을 분리하여, 세포성장 억제활성 및 세포사멸 유도에 관해 조사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그 저해 활성을 비교 분석해 가면서 Pata de Vaca의 70% ethanol 추출물을 HP-20 Diaion column chromatograph 및 C-18 column chromatography에 순차적으로 적용시켰다. 그 결과, 저해 활성이 가장 강하며 수율이 높은 Pata-50을 분리하여, 6종의 암세포주에 대한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Pata-50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는, MCF-7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주인 HepG2, HT-29, AGS, A549 및 HeLa세포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인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IC_{50}$ 는 40.4-77.5$\mu\textrm{g}$/$m\ell$의 농도 범위에서 나타났다. Pata-50의 세포성장 억제를 확인하였으므로, HepG2 세포에.If Pata-50에 의한 세포주기의 변화와 세포사별로 유도되는 세포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flow cytometry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Pata-50은 HepG2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지만, 세포주기 조절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많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Pata-50을 50$\mu\textrm{g}$/$m\ell$ 이하로 처리할 경우에는 apoptosis가 유도된 세포기 비율이 10%미만이지만, 80$\mu\textrm{g}$/$m\ell$ 및 110$\mu\textrm{g}$/$m\ell$을 처리하면 28.6%및 56.2%로_급격히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세사멸에 결정적인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HeLa세포주에 Pata-50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Fig.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HeLa 세포주에 Pata-50을 80$\mu\textrm{g}$/$m\el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caspase-3.가 활성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PARP가 116 kDa에서 85kDa로 cleavag되어, 불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V에 대한 Glycolic Acid의 피부세포증식 기전연구 및 억제효과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Glycolic Acid on the UV-induced Skin Cell Proliferation)

  • 홍진태;이화정;이충우;안광수;윤여표;표형배;조찬휘;홍기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9-236
    • /
    • 2005
  • Glycolic acid 는 과일과 우유 사탕수수에서 비롯되는 알파-hydroxy 산의 일종의 화장품 성분으로 UV-irradiate된 피부에서는 광보호와 항 염증효과 및 산화 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UV자극에 의한 피부세포증식에 관하여 glycolic acid의 기능은 거의 알려진바 없다. Glycolic acid는 UV에 의한 hairless mouse의 피부에서 종양 발전을 억제한다는 것을 본 연구자 등이 규명한바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UV에 의한 피부의 종양발생억제 효과가 glycolic acid가 UV에 의한 피부의 세포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인지를 연구하였다 Glycolic acid 를 처치한 피부에서 UV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증식과 apoptotic cell death을 감소시켰다. In vitro 연구에서도 glycolic acid 는 UVB 에 의하여 유도된 피부 유래세포인 keratinocyte의 세포성장억제와 apoptotic cell death 및 caspase-3 활동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들은 glycolic acid가 UV에 의하여 유도된 피부종양발생 억제가 UV에 의한 대한 피부세포성장과 apoptotic cell death를 억제하는 효과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