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성면역반응

Search Result 63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in the Ankle Joint of Complete Freund's Adjuvant-injected Rat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전침에 의한 Complete Freund's Adjuvant유발 관절염모델의 거퇴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Park, In-Bum;Choi, Byung-Tae;Ahn, Chang-Beohm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2 no.4
    • /
    • pp.55-63
    • /
    • 2005
  • 목적 :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전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omplete Freund's adjuvant (CA) 유발 관절염 모델에서 염증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의 족부에 CFA를 주사한 다음 3일 간격으로 2 Hz, 15 Hz 및 120 Hz 전침 자극을 주며 부종 형성여부를 plethysmometer로 측정하여 판정하였으며 30일 째 거퇴관절을 취하여 4% paraformaldehyde에 고정하고 EDTA용액에서 탈회시켜 파라핀연속 절편을 얻어 $NF-{\kappa}B$를 비롯한 5종의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관절연골내 면역반응 중 연골기질은 반응이 없거나 약하고 연골세포는 $NF-{\kappa}Bp65,\;I-{\kappa}B{\alpha},\;iNOS$반응이 강하며 특히 유리연골층에서 더 현저하였으나 염증 및 전침자극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관절낭에서 면역반응을 살펴보면 염증유발시 활액세포의 면역반응세포는 $I-{\kappa}B{\alpha}$가 감소한 반면 iNOS, $IL-1{\beta}$는 증가하며 특히 iNO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전침자극에 의해 iNOS가 감소하였다. 활액막조직에서 모든 면역반응이 증가하며 특히 $NF-{\kappa}Bp65,\;I-{\kappa}B{\alpha},\;iNOS$ 반응이 현저한데 전침자극에 의해 $IL-1{\beta}$를 제외한 모든 반응이 감소하였다. 결론 : 만성 염증성 동물모델의 거퇴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은 관절연골보다 관절낭에서 큰 변화를 보이며 전침처치에 의해 이들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전침이 만성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경구면역관용(經口免疫寬容)과 식이항원(食餌抗原)에 대한 면역의 조절

  • 김우호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2 no.1
    • /
    • pp.43-51
    • /
    • 1996
  •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T세포의 기능과 항체산생이 억제되는 현상이 경구면역관용(oral tolerance)인 것이다. 지금까지 해석이 곤란하였던 이 현상에 대해서 최근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이 적용되기 시작한 결과, 이 현상에 관여하는 세포가 주로 $CD8^+$ T세포에의한 억제 혹은 $CD4^+$T세포의 불응답(unresponsiveness)에 기인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각종 cytokine중 IFN$\gamma$, TGF$\beta$, IL-10 등이 이 현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사실 경구면역관용은 말초면역관용을 야기한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알려진 한 방도이다.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이 관용을 야기하는 일차적인 기전은 능동적인 억제의 발생 혹은 clone성 anergy(과민증에 대한 무감증)에 의거하는 것이다. 낮은 량의 경구투여항원은 능동적인 억제를 야기하기 쉬우나 반대로 높은 양의 경구투여항원은 clone성 anergy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능동적인 억제를 매개하는 조절세포는 경구면역관용에 의해서 격발된 후 TGF$\beta$및 IL-4와 같은 억제성 cytokine의 분비에 의해서 능동적 억제작용을 한다. 더구나 GALT(gut-associated lymphoid tissue)를 선별적으로 자극하는 항원은 Th2형 세포반응을 발생한다. 또한 이와같은 유도기구의 해석과 동시에 사람에서 면역반응의 이상으로 야기되는 관절 rheumatism이나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그리고 각종 allergy도 이 경구면역관용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Cordycepi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코디세핀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Seo, Min-Jeong;Kang, Byoung-Won;Kim, Min-Jeong;Lee, Hye-Hyeon;Seo, Kwon-Il;Kim, Kwang-Hyuk;Jeong, Yong-Ke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1
    • /
    • pp.68-72
    • /
    • 2014
  • The effect of cordycepin purified from Cordyceps militaris on macrophage activation was investigated in peritoneal macrophages isolated from C57BL6 mice. Lipopolysaccharide-induced mouse peritoneal cells showed that cordycepin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beta}$,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leading to early inflammation-mediated reactions, the activation of immunological responses, and T lymphocyte activation. T lymphocytes, activated by a greater production of IL-6, resulted in antibody-generating immune reactions, suggesting that cordycepin was effective at inducing immunological response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the inflammation-mediating factors including nitric oxide (NO) and hydrogen peroxide ($H_2O_2$), the toxic response of macrophages was activated and effectively induced inflammat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rdycepin is involved in reducing cell injury provoked by inflammatory reac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dycepin treatment of mouse peritoneal cells induces inflammation-mediated immunological responses and immunostimulation.

Studies on Bioresponses of Sophorae Radix (I) (고삼(苦蔘)(Sophorae Radix)의 생체 반응에 대한 연구(I))

  • KANG, TAK-LIM;HWANG, GWI-SEO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1 no.1
    • /
    • pp.47-55
    • /
    • 1992
  • 청열조습(淸熱燥濕), 거풍살충(祛風殺蟲)의 효능이 있는 고삼(苦蔘)의 체내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한 결과 아래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ICR 생쥐에 고삼(苦蔘) 수침액을 투여한 결과 백혈구수 및 면역장기 변화는 없었다. in vitro실험에서 IgM PFCs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고, BSA를 주사한 생쥐에서의 Arthus 반응에도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지연형 과민반응을 억제하였으며, 비특이적 면역에 관여하는 macrophage의 탐식능을 약간 저하시켰다. 이상의 결과 고삼(苦蔘) 수침액(水浸液)은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ECTIN BINDING PATTERNS IN LARYNGEAL KERATOSIS WITH ATYPIA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 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

  • 김광문;김기령;윤주헌;장미숙;조정일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6-16
    • /
    • 1991
  • 렉틴(Lectins)은 세포막의 당단백질의 과당류 말단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비면역성의 당단백질 혹은 단백질을 말하는데 정상세포와 변형된 세포에서 렉틴반응의 차이가 남으로써 요즘에는 렉틴을 병리학적 진단에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Loss of contact inhibition”은 세포 악성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세포의 악성화는 세포막의 구조의 변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1989년 후두암에서 PNA의 반응이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저자들은 7가지의 렉틴을 이용하여 후두암전구증의 하나인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Atypia)의 존재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형성이 없는 단순 후두각화증에서는 Con A와 WGA만이 기저세포에 반응이 있었으며, 후두각화증의 가장 중요한 부위인 극세포층에서는 WGA, RCA-I, PNA, SBA, UEA-I, DBA가 세포질에는 반응이 없이 세포간교에만 염색이 되는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Con A는 반대로 극세포층의 세포질에 반응을 하였으나 세포간교에는 반응이 없었다. 2. 이형성을 동반한 후두각화증에서, 기저세포에서는 반응의 차이가 없었고 극세포층에서는 UEA-I, RCA-I. WGA, PNA, SBA는 세포간교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질에서 양성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DBA, Con-A에서는 반응의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다. 따라서 후두각화증의 극세포층 세포막에서 UEA-I, RCA-I, WGA, PNA, SBA 반응의 소실은 후두암으로의 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형성의 존재를 암시한다하겠다.

  • PDF

Studies on Bioresponses of Galangae Rhizoma (I) (고량강(高良薑)(Galangae Rhizoma)의 생체 반응에 대한 연구 (I))

  • KANG, TAK-LIM;HWANG, GWI-SEO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1 no.1
    • /
    • pp.319-328
    • /
    • 1992
  • 산한지통(散寒止痛)의 효능(效能)이 있는 고량강(高良薑)이 체내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인삼과 함께 실험을 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량강(高良薑) 및 인삼 수침액을 Sarcoma-180 고형 종양 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투여하여 생존기간을 연장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면역에 대한 효과를 검토한 결과, 정상 ICR 생쥐에서 고량강(高良薑) 수침액은 백혈구수, 체중에 대한 상대적 비장의 무게를 약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었고, 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splenic IgM PFCs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으며, BSA를 주사한 생쥐에서의 Arthus반응도 증가시켰다. 그러나, 지연형 과민반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특이성 면역에 관여하는 Macrophage 등의 탐식 세포의 기능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고양강은 체액성 면역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mediated Immunity and Subtypes of Lymphocyte i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 환자의 말초 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 아형과 세포성 매개면역과의 관계)

  • Uh, Soo-Taek;Cha, Mi-Kyung;Lee, Sang-Moo;Kim, Hyun-Tae;Chung, Yeon-Tae;Woo, Jun-Hee;Kim, Yong-Hun;Park, Choon-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39 no.4
    • /
    • pp.334-342
    • /
    • 1992
  • Background: The activated T lymphocyte by inhalaed mycobacterial antigen may evoke cell-mediated immunity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These activated lymphocyte may influence the response of tuberculin-purified protein derivative (PPD) in skin test. But occasionally, anergy to PPD appear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in spite of active stage. Thus we evaluated the effect of change of subtypes of lymphocyt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 and peripheral blood on anergy to PP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Method: We performed tuberculin skin test and flow-cytometry analysis of lymphocytes obtained from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11 healthy normal volunteers and 20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Results: 1) The composition of lymphocy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when compared with that in healthy control ($25.2{\pm}4.8$ vs $6.5{\pm}1.3%$, p<0.01), but composition of monocyte significantly decreased ($69.6{\pm}5.7$ vs $89.2{\pm}1.4%$, p<0.05) in analysis of BAL fluid.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ositions of cells in BAL fluid between responders and no-responders to PPD. 3) The compositions of CD3 (+), CD4 (+), CD3 (+) IL-2R (+), CD3 (+) HLA-DR (+) significantly increased in BAL fluid when compared with those in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But the composition of CDS (+), CD4/CDS were not different betwee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4)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 to PPD and compositions of cells and lymphocyte subtypes i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all patients with tuberculosis, responders, and no-responders, respectively.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s of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we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compartmentalization of activated lymphocyte involving in anergy to PPD in skin test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 PDF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antigen in the lungs of naturally infected piglets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자연감염된 포유자돈의 폐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한 바이러스 항원의 확인)

  • Cheon, Doo-Sung;Min, Kyoungsub;Chae, Chanhee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7 no.2
    • /
    • pp.417-423
    • /
    • 1997
  •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nucleocapsid와 반응을 하는 SDOW17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여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킨 자연감염된 포유자돈의 폐장에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항원을 확인하였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된 포유자돈들 중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폐장에서 간질성 폐렴이 관찰된 포유자돈 7두를 임의로 선택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질성 폐렴의 병변으로 많은 수의 대식세포 침윤을 동반한 폐포벽 두께의 증가와 제II형 폐포세포의 비후가 관찰되었다. 검사한 7두 포유자돈중에서 6두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해 확인하였다. SDOW17 단크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간질성 폐렴의 대식세포에서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항원을 검출하였고, 항원은 (주로)대식세포의 세포질에서만 진한 갈색의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 검사결과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는 폐장의 간질과 폐포강에 분포되어 있는 대식세포에서 주로 증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바이러스 분리 또는 혈청검사 없이 진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방법으로 판명되었다.

  • PDF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y against Sulfamethazine and Development of ELISA

  • C.S. Chae;Lee, M.H.;Lee, H.;S.Y. Yoon;P.D. R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176-176
    • /
    • 1996
  • 축산식품중에 잔류하고 있는 sulfamethazine을 검출하기 위하여 sulfamethazine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소면역측정법을 개발하였다. 면역원은 sulfamethazine에 KLH를 그리고 흡착항원은 BSA를 glutaraldehyde법으로 결합시켰다. 면역원으로 Balb/c mouse를 면역시킨 다음 비장 형질세포률 얻어 myeloma cell과 융합하여 융합잡종세포를 만들었다. Sulfamethazine에 대한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잡종세포를 단계회석법과 ELISA를 이용하여 cloning하여 D2, A9, B8, Bl 클론을 얻었다. 이들 클론에서 얻어진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여 indirect competitive ELISA를 실시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본 결과 농도의존성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4클론중에서 A9 클론을 사용하여 다른 유사한 sulfonamide듣과 p-aminobenzoic acid와 교차반응을 조사한 결과 sulfamerazine에 12.5%의 교차반응을 보였으나 다른 설파제에 대해서는 교차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 PDF

Cellular Immune Response of the Grasshopper, 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 Following Injection of Bacillus subtilis (세균(Bacillus subtilis)에 대한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의 세포성 면역반응)

  • 장병수;문명진한성식여성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3
    • /
    • pp.383-394
    • /
    • 1992
  • 비병원성 세균인 고acirlus subtilis(ATCC6633)를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r'rakii Bolivar)의 성충 복강에 주입한 후, 혈구의 반응양상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균에 대한 혈구의 면역반응은 plasmatocyte와 granulocyte에 의한 식 세포작용(phagocytosis)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결절형꽁(nodule formation)은 일어나지 않았다. 식 세포작용의 초기 반응은 혈구의 세포질 돌기가 돌출되 면서 이물질을 둘러싼 후, 원형질막과의 융합에 의해 식포가 형성되었고, 식포의 주변부에서는 일차 리소조옴의 집적이 관찰되었으며, 이런 과정은 세균 주입후, 10분 이내에 완료되었다. 일차 리소조옴은 세균 주입 후 1시간 이내에 식포의 한계막과 융합하여 이차 리소조옴을 형성하였으며, 소화된 이물질은 9시간 이내에 exocytosis에 의해 배출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