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생존

검색결과 1,972건 처리시간 0.03초

Carbogen 흡입하에서 Fluosol-DA 20%의 투여가 이식동물 종양의 산소분압에 미치는 영향 (Improving Oxygenation in the Murine Tumors by a perfluorochemical Emulsion (Fluosl-DA $20\%$)

  • 이인태;김귀언;송창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1-6
    • /
    • 1990
  • SCK 종양세포를 이식받은 mice에 Fluosol-DA $20\%$를 정맥주사한 후 이 종양세포를 추출하여 in vitro 실험으로 측정해 본 방사선 체포생존곡선의 Do와 Dq의 값은 Fluosol-DA $20\%$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대동소이하여 Fluosol-DA $20\%$가 방사선 감수성 자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해석되었다. 또한 Fluosol-DA $20\%$만을 투여한 종양의 산소분압($PO_2$)에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Fluosol-DA $20\%$를 Carbogen 흡입하에 투여시킨 종양에선 대조군의 산소분압 중앙값 4 mmHg가 62mmHg로 10배이상 증가되어 reoxygenation effect를 직접 증명할 수 있었고 hypoxic cell fraction도 약 8배정도 감소됨을 규명하였다. 한편 Carbogen만을 단독으로 흡입시킨 종양의 경우에도 산소분압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Fluosol-DA $20\%$ 병용군보다는 산소분압상승 효과가 미약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Fluosol-DA $20\%$에 의한 방사선 반응의 향상은 방사선 감수성의 증가보다는 reoxygenation의 결과이며 reoxygenation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Fluosol-DA의 단독투여보다는 Car-bogen 흡입하에서 Fluosol-OA $20\%$의 투여가 이상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멜라토닌이 생쥐 소낭 세포 재생과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Melatonin on Mouse Jejunal Crypt Cell Survival and Apoptosis)

  • 강진오;하은영;백형환;조용호;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60-67
    • /
    • 2000
  • 목적 :멜라토닌의 방사선 증개 방어 효과와 기전을 밝혀 방사선 치료제로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168 마리의 생쥐를 방사선량과 멜라토닌 투약 여부에 따라 28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방사선량은 0.8, 10, 12, 14, 16, 18 Gy를 조사하고 소낭의 생존 곡선을 보기 위하여 Withers와 티kind의 방법을 이용한 microcoiony survival assay를 시행하였고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TUNEL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멜라토닌의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는 전 선량군에서 확인되었고 특히 고선량군에서 방어 효과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Apoptosis index는 8 Gy 방사선 조사 후 대조군에서 18.4$\%$, 멜라토닌 투여군에서 16.5$\%$이었고 18 Gy 방사선 조사 후 대조군에서 17.2$\%$, 멜라토닌 투여군에서 15.4$\%$로 나타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멜라토닌은 생쥐 소장의 소낭 세포에서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를 나타냈으나 이의 기전은 아포토시스 억제 효과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황기 추출물이 5-Fluorouracil을 투여한 생쥐의 골수억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against Improvement of Myelosup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5-Fluorouracil Treated Mice)

  • 권창현;유화승;방선휘;이영민;이연월;손창규;조종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4-320
    • /
    • 2007
  • 목적 : 황기추출물이 생쥐의 5-FU로 유발된 골수억제와 삶의 질 저하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골수억제에 미치는 영향이 평가를 위해 Complete Blood Count, Histological Analysis of BM, Cell Colony Forming Assay for Hematopoietic Progenitor를 시행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Swimming Test, Survival Rate, Nitric Oxide (NO) Assay, $^{51}Cr$ Release Assay in NK Cell, mRNA Expressions of $IL-1{\beta}$, IL-2, IL-4, IL-6, IL-10, $TNF-{\alpha}$, $IFN-{\gamma}$, $TGF-{\beta}$ and GM-CSF in Spleen Cells를 시행하였다. 결과 : 황기추출물을 골수억제를 호전시켜 말초혈액수치를 회복시키고, 골수파괴를 보호하는 효과를 보이며, 대조군에 비해 혈구생성을 촉진시키며, 대조군에 비해 생존율과 수영시간을 증가시키며, 대식세포와 자연살상세포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며, 종양면역과 관련된 싸이토카인(IL-2, IL-6, $IFN-{\gamm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 : 5-FU로 유발된 골수억제와 삶의 질 저하의 개선에 미치는 황기추출물의 유용성이 기대되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NA topoisomerase 억제제인 β-lapachone에 의한 인체 간암 및 방광암세포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Growth Inhibition of Human Hepatoma and Bladder Carcinoma Cells by DNA Topoisomerae Inhibitor β-lapachone)

  • 최다연;이재일;정협섭;서한결;우현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3-331
    • /
    • 2005
  • 남미지역에서 자생하는 Tabebuia avellanedae라는 나무의 수피에서 동정된 quinone계 물질이며, DNA topoisomeras억제제로 알려진 $\beta-lapachone$의 항암작용에 관한 부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인체 간암(HepG2) 및 방광암(T24)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MTT assay 및 flow cytometry 분석 등의 결과에서, $\beta-lapachone$의 처리에 따라 조사된 두 가지 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심한 형태적 변형이 동반되면서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생존율이 저하되었고 이는 apoptosis유발과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eta-lapachone$처리에 의한 두 암세포의 증식억제는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과는 큰 연관성이 없음을 RT-PCR 및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러나 전사조절인자 Sp-1 및 세포증식 주요조절인자인 PCNA의 단백질 발현은 $\beta-lapachone$처리에 따라 매우 감소되었으며, telomere조절에 중요한 인자들의 선택적 발현 저하 현상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beta-lapachone$과 유사한 화학적 구조 및 성질을 가지는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항암기전 비교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응용될 것이다.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Angelica keiskei Juice and Oenanthe javanica DC Juice on Oxidative Stress)

  • 이두진;이진하;이옥환;김보경;박건영;김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7-5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을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NO, $O_2{^-}$, ${\cdot}OH$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이용하여 유기농 및 일반농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의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민감한 LLC-$PK_1$ 세포를 이용하여 유기농 및 일반농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은 AAPH, SNP, 파이로갈롤과 SIN-1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NO, $O_2{^-}$$ONOO^-$)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켜 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은 우수한 산화방지 활성과 지질과산화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으로부터 산화방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병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녹각 및 목이버섯의 젖산발효를 통한 GABA 생산 및 항염증활성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GABA production of old antler and Auricularia auricula-judae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 권순영;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8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젖산발효를 통해서 얻어진 목이버섯과 녹각 추출액 혼합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녹각 추출액의 GABA생성 최적조건에서 probiotics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목이버섯을 2.5% 첨가하여 $30^{\circ}C$에서 7일간 젖산발효를 하였다. 발효 7일 pH 5.06, 산도 0.77%로 나타났으며 $1.3{\times}10^8CFU/mL$로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고 GABA를 1.4%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을 첨가했을 때 젖산균 발효물의 물성이 개선되며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각 추출액의 젖산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실험한 목이버섯 2.5% 조건에서 발효 전 6 mg/mL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나 발효 후 독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6 mg/mL 농도에서는 $5.58{\mu}M$로 발효 후 NO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각 추출액과 목이버섯 혼합물의 젖산균을 이용한 정치배양을 통해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젖산 발효물은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물은 GABA, probiotic,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YC8에 의한 rad53 돌연변이의 표현형 억제에 대한 연구 (Phenotypic Suppression of Rad53 Mutation by CYC8)

  • 박경준;최도희;권성훈;김준호;배성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2-126
    • /
    • 2010
  • RAD53은 효모의 검문지점 경로가 DNA 손상을 감지하여 여러 가지 후속적인 세포 내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산화 효소일 뿐만 아니라, dNTP 생성에 중요한 RNR 유전자 등의 전사 활성화 과정에도 관여하는 효모의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rad53${\Delta}$ 돌연변이의 hydroxyurea에 대한 민감성을 억제하는 억제자로서 CYC8을 동정하였다. CYC8 유전자가 많은 사본으로 존재할 때 rad53${\Delta}$ 균주의 hydroxyurea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였으나, CYC8과 복합체로 작용하는 TUP1은 다사본 억제자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반면, 삭제 돌연변이의 경우, cyc8${\Delta}$과 tup1${\Delta}$ 모두 억제자로 작용하였다. CYC8은 효모에서 프리온 단백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과량 발현되면 정상적인 CYC8 단백질의 잘못된 접힘을 유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우성의 $cyc8^-$ 표현형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CYC8이 다사본 억제자로 작용하는 이유는 이러한 프리온의 특성 때문으로 추측된다. CYC8이 다사본이거나 cyc8${\Delta}$ 돌연변이일 경우 모두 RNR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CYC8에 의한 rad53${\Delta}$ 돌연변이의 억제는 RNR 증가에 따른 세포 내 dNTP 증가 때문으로 생각된다.

미역귀에서 추출한 알긴산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Sporophyll)

  • 고영우;진성우;김경제;임승빈;하늘이;정희경;제해신;반승언;정상욱;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8-78
    • /
    • 2018
  • 미역은 갈조식물인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바닷말로서 주로 어린 줄기와 잎부분을 식용으로 한다. 폐기부로 분류되는 미역귀 부분 또한 가식부 이상으로 풍부한 미네랄과 알긴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건강 친화적인 슬라이스 잼의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품 개발의 소재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역귀 알긴산 추출, 알긴산의 항산화활성(DPPH, ABTS, SOD 유사활성, total polyphenol, 세포 독성, NO생성 억제능을 수행한 바는 아래와 같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한 결과 각각 2.8, 27.5, 35.9, 43.4%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2, 21.6, 33.4, 67.4%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OD 유사활성은 각각 9.2, 12.4, 23.2, 30.8%로 나타났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은 $19.16{\pm}0.08mg%$로 확인되었다. 세포생존율은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118.8%, 120.7%, 121.1%, 124.9%로 나타났다. NO생성 억제능을 동일한 농도에서 확인한 결과 각각 3.1, 5.1, 7.9, 9.6%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탁월하게 나타나 건강 친화적인 기능성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저분자량 키토산/유전자 나노콤플렉스 제조 및 이를 이용한 293 세포로의 전달 (DNA Condensation and Delivery in 293 Cells Using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gene Nano-complex)

  • 방시원;장양수;김중현;김우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313-317
    • /
    • 2005
  • 양이온성 고분자와 같은 합성 유전자 전달체들은 음이온성을 지닌 plasmid DNA와 쉽게 콤플렉스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키토산은 유전자 전달체 시스템으로써 이용되어 질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polysaccharide이다. 저분자량 키토산이 DNA와 결합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LS(dynamic laser scattering)와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키토산/DNA 콤플렉스의 크기와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키토산의 분자량과 전하밀도가 콤플렉스의 크기와 결합된 DNA의 양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분자량 키토산은 실험과정에서 사용되는 양을 늘려갈수록 84-108%의 세포 생존율을 보임에 따라 그 독성이 무시할 정도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토산/DNA 콤플렉스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효율 실험에서는 lipofecamine에 비해서는 낮은 값을 보였지만, naked DNA를 이용한 경우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유전자 발현 효율 연구에서는 평균 분자량이 8,517인 키토산을 사용한 경우가 4,078의 분자량을 이용한 실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키토산의 전하밀도가 유전자 발현 효율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 효능이 있는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기능성 향장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by Nano-encapsulation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with antimicrobial efficacy)

  • 서용창;노라환;권희석;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5-213
    • /
    • 2013
  • 본 연구는 레시틴으로 나노입자화 시킨 티아민 디라우릴 설페이트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것이다. TDS를 포집시킨 나노입자는 150 ~ 200 nm의 크기를 나타내는 구형이며, 또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여 여러 pH 범위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TDS 나노입자는 인간 섬유아세포(CCD-986sk)에 높은 농도를 처리하여도 85%의 세포생존률을 보였다. 자유라디칼소거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나노입자화하지 않은 TDS 희석액(1.0 mg/mL)은 81.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나노입자화한 TDS 용액은 이보다 더 높은 88.1%의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TDS 나노입자는 자외선을 조사시킨 CCD-986sk에서 MMP-1의 발현을 41.4% 감소시켰다. TDS 용액과 TDS 나노입자를 가지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TDS 나노입자의 경우 양성대조군의 항균활성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TDS 나노입자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같은 향장 소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