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막 추출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1초

DBD 플라즈마 처리 후 산화된 적혈구 막지질의 에너지밴드 측정

  • 김태수;이진영;백구연;조상연;최은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17-517
    • /
    • 2013
  • 세포막지질의 산화는 심각한 세포막의 기능저하를 유발하고 심하면 세포를 죽음에 이르게하여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지표이다. 세포막지질의 산화는 간접적인 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거나, 지질을 추출해내어 질량분석기나 핵자기공명분광기 같은 물리적 방법으로 분석한다. 우리는 이온유도 이차전자 방출계수(${\gamma}$) 변화를 측정하여 세포막지질의 산화를 지질추출 없이 측정할 수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세포막분리가 쉬운 적혈구를 모델세포로 사용하였고, 다양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대기압 공기 DBD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였다. 적혈구를 플라즈마에 노출하는 시간으로 산화의 정도에 차이를 만들어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gamma}$값은 Auger의 중화이론에 바탕을 둔 이온유도 이차전자 방출빔(${\gamma}$-FIB)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적혈구가 산화됨에 따라서 ${\gamma}$값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고, 동시에 workfunction값이 변화함을 보았으며, 그 결과를 화학적 방법과 비교해 보았다.

  • PDF

황금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 조성환;김영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64-968
    • /
    • 2001
  • 향균력이 있는 한약제들 중에서 추출수율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금을 대상으로 식중독균에 대한 천연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황금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시균주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and Vivro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disk method에 의한 항균력 검사에서 생육어제로 인한 clear zone 이 선명하게 관찰되어 황금추출물의 항균력을 알 수 있었고, 황금추출물의 열 및 PH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및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것을 확인하였으며, 공시균주들에 대한 유효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황금추출물의 농도 500 ppm 이상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주사형전자현미경(SEM) 상에서는 처리구에서 공시균주들의 세포형태 변화를 볼수 있었고, 투과형전자현미경(TEM)상에서는 처리구에 있어서 공시균주들의 세포막 파괴로 인하여 세포내용물이 용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황금추출물 처리로 인한 세포막 손상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균체내 효소인 $\beta$-gal-actosidase 활성을 정량한 결과 chlorogorm 보다 세포막을 더 손상시키는 것을 확인되었다.

  • PDF

세포막 추출과 역추적 알고리즘 기반의 HeLa 세포 이미지 자동 셀 카운팅 기법 (Automated Cell Counting Method for HeLa Cells Image based on Cell Membrane Extraction and Back-tracking Algorithm)

  • 경민영;박정호;김명구;신상모;이현빈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0호
    • /
    • pp.1239-1246
    • /
    • 2015
  • 셀 카운팅은 세포의 성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생물학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최근까지도 다양한 자동 셀 카운팅 기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암세포와 같이 분열 속도가 빠르고 군집하려는 성질을 갖는 세포들은 분리 및 검출이 쉽지 않아 세포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셀 카운팅의 신뢰도를 높이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암 연구의 연구재료로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HeLa 세포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자동 셀 카운팅 방법을 제시한다. 세포막 추출 기반의 세포 분할 알고리즘을 통하여 세포의 형태적 상황을 구분하고, 세포 간 경계가 희미한 세포군집 내의 세포 분할을 위하여 역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셀 카운팅 정확도를 높인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세포 분할 알고리즘이 기존의 세포 분할 알고리즘에 비해 정확함을 입증하였고, 결과적으로 매우 높은 자동 셀 카운팅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at의 hepatocyte에서 $amyloid-{\beta$}$로 유발된 세포사, 지질과산화 및 세포산화에 대한 귀전우 열수 추출물의 보호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Effects on Lipid Peroxidation of Hot Water-Extract Obtained from Euonymus alatus in Cultured Rat Hepatocyte)

  • Soo-Sung, Kim;Jong-Dae,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3-63
    • /
    • 2001
  • 목적 : 귀전우 Euonymus alatus (Thunb.) Sieb로부터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생리활성(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고, $amyloid-{\beta}{\;}(A{\beta})$가 지니는 Rat의 배양 Hepatocyte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보호효과 및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방법 : 귀전우 추출물과 항산화제인 BHT. ascorbic acid 및 ${\alpha}-tocopherol$을 각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또한 유지 자동산화의 촉진인자인 금속이온($Fe^{3+},{\;}Zn^{2+}$) 을 첨가하여 귀전우 추출물의 금속이온봉쇄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세포성지질의 과산화의 지표인 malondialdehyde(MDA)생성이 A{\beta}처리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세포막파괴에 의한 세포파괴의 전형적인 현상이 귀전우 열수 추출물의 전처리와 후처리로 크게 감소되었다. 귀전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전 농도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농도(5mg, 10mg 및 25mg)에서 유도기의 연장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전우 추출물과 항산화제와의 비교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ascorbic acid 만큼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보다는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전우 추출물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에 있어서는 linoleic acid에 귀전우 추출물과 $Fe^{3+}$$Zn^{2+}$을 첨가한 군이 귀전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항산화 효과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속이온 봉쇄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귀전우 열수 추출물은 $A{\beta}$ 의한 세포파괴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지며 예방 및 보호효과를 나타내었고, hepatocyte에 대한 보호효과와 세포막지질 과산화의 저해 및 $A{\beta}$처리와 같은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한 세포보호효과를 주는 것으로 간세포 보호 등의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를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hexane extract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causing dental caries)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57-3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홍삼의 항충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효과, 균체 부착과 생물막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S. mutans의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MIC=125 ㎍/mL).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이 세포막에 작용하여 세포의 핵산 성분이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 S. mutans의 부착과 생물막 형성을 90% 이상 저해하였다. GTase 활성은 50 ㎍/mL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S. mutans의 생육과 생물막 형성을 공통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의 신장에 미치는 염화 메틸수은 독성에 대한 홍삼추출물의 항독성적 영향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Antitoxie Bgect of Red Ginseng Extract against Toxicity of Methylmercury Chloride in Mouse Kidney)

  • 정희원;이춘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9-247
    • /
    • 1987
  • 생쥐 신장의 근위세뇨관과 원위세뇨관 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염화 메틸수은의 독성에 대한 홍삼유출물의 첨독성적 영향을 전자현징경적으로 연구하였다. 염화 메틸수은 처리군의 근위세뇨관 세포에서는 대조군에서 보다 철세 융모가 다소 축소되고 불규칙한 배열을 하였다. Brush border의 인접 부위에서는 작은 경계들이 나타나고 세포질 중앙 부위에서는 치밀체를 함유한 큰 육포들이 관색되었다. Mitochondria는 상당히 팽대되고 기양막은 부분적으로 비후되었으며 다수의 ITsosome이 나타났다. 염화 메틸수은 처리군의 원위세뇨관 세롱에서는 불규칙한 세포 표면, 양사된 세포, 그리고 다수의 ribosome과 소수의 지방사이 나타났으며 mitochondria 는 팽대되고 기고막은 부분적으로 비후되었다. 염화 메틸수은-홍삼추출물 병행 처리군의 근위세뇨관 세포에서는 염화 메틸수은 처리군에서 보다 mitochondria의 팽대 정도가 감소되었으며 육포의 크기와 수도 상당히 감소되었다. 염화 메틸수은-홍모적출물 병행 처리군의 원위세뇨관 세롱에서는 세포 표면이 어느정도 규칙적이고 mitochondria의 정해와 기저막의 비후 정도가 감소되어 정상 세포와 거의 유사하였다.

  • PDF

오배자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Antivir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Rhus chinensis gall)

  • 이도승;민태선;이동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379-382
    • /
    • 2018
  • Newcastle disease virus (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 세포에서 Syncytium (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과 $3.2{\m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25{\mu}g/mL$ 농도에서는 NDV 감염된 HAD (%)는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났으나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오배자 추출물은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결론된다. 또한 오배자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_{50}$$12.5{\mu}g/mL$이었으며, ${\beta}-glucosidase$, ${\alpha}-glucosidase$, ${\beta}-mannosidase$에 대한 오배자 추출물의 $IC_{50}$은 각각 26, 36, $50{\mu}g/mL$로 나타나 ${\beta}-type$ glycosidases 보다 ${\alpha}-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_{50}$ 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황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 (Antivir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Ephedra sinica Stapf)

  • 이도승;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5-739
    • /
    • 2014
  • Newcastle disease virus(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BHK) 세포에서 syncytium(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HN)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과 3.2 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DV 감염된 HAD(%)는 25 ug/mL 농도에서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용식물인 마황 메탄올 추출물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였다. 또한 마황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_{50}$$18{\mu}g/mL$이었으며, ${\beta}$-glucosidase, ${\alpha}$-mannosidase, ${\beta}$-mannosidase에 대한 마황 추출물의 $IC_{50}$은 각각 60, 40, $150{\mu}g/mL$로 나타나 ${\beta}$-type glycosidases 보다 ${\alpha}$-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_{50}$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초석잠의 잎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hexane extract of Stachys sieboldii MIQ leaf)

  • 류병호;박법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03-811
    • /
    • 2002
  • 초석잠 헥산 추출물이 식중독균에 대한 천연 항균 활성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석잠 헥산 추출물의 항균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시 균주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및 Listeria monocytogenes등에 대하여 disc법으로 실험한 결과 그람음성 및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15~20 mm의 clear zone이 나타났다. 초석잠 헥산 추출물의 MIC는 Bacillus cereus에 대해 250${\mu}g$/$m\ell$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 250~500/$m\ell$그리고 Staphylococcus aureua와 Pseudomonoas aeruginosa에 대해 각각 500${\mu}g$/$m\ell$ 나타내었다. 초석잠 추출물을 처리한 전자현미경(TEM)상에서는 처리균주들의 세포막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용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초석잠 추출물을 처리한 균주의 세포막 손상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균체내 효소인 $\beta$-galactos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클로로포름보다 세포막을 더 손상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석잠 추출물의 pH 및 열 안정성을 실험한 결과 매우 안정하였다.

M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Chlorosulfolipids (Danicalipin A)에 대한 구조에 관한 연구

  • 이준열;장락우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116-119
    • /
    • 2016
  • Chlorosulfolipids(CSLs)는 1960 년대에 해조류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당시 기술력으로는 해조류에서 CSLs 를 추출해 내는 것이 불가능하여 연구가 중단 되었다. 그 후로 40 년 뒤 2009 년이 되어서야 CSLs 를 추출할 수 있게 되었다. CSLs 가 독성을 지니고 있다는 연구가 보고 되어 왔다. 하지만 이 CSL 가 형성하는 구조를 실험으로 알수가 없고 아직까지 학회에 보고 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원이 M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CSLs 가 형성하는 세포막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Coarse-grain 모델을 이용한 CSLs 의 Self-Assembly 연구와 이 결과로 인해 얻은 정보로 atomistic 모델을 만들어서 M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