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막

Search Result 1,41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the Heat Shock Protein 27 during Placenta Formation in the Rat (흰쥐 태반형성시의 Heat Shock Protein 27 분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최병태;강호성김한도조운복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153-159
    • /
    • 1995
  • 임신 10일부터 20일까지 흰쥐 태반형성과정에서 heat shock protein 27(HSP27)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임신 10일 태반에 자궁간막 탈락막세포. 영양막세포 및 거대영양막세포가 찰찰되었다. 이후 탈락막세포수는 감소하고 영양막세포는 증가하는데 특히 임신 14일에 현저하며 영양막은 해면영양막과 미로영양막으로 구분되었다 거대영양 막세포수의 변화는 현저하지 않았다. 자궁간막 탈락막에서 HSP27은 임신 10일 및 12일에 탈락막세포의 세포질 또는 핵에 반응이 나타나고 특히 핵에 반응하는 세포수가 많았으며 임신 14일 이후 탈락막 세포수 감소와 함께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대영양막세포는 임신 10일부터 일부 세포의 세포질 또는 핵에 반응이 관찰되나 임신 18일부터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막의 HSP27은 임신 10 및 12일에 일부 세포에서만 세포질 또는 핵에 반응이 관찰되나, 임신 14일부터 반응세포수 증가와 함께 대부분 핵에 반응을 나타내고 반응정도는 임신 16일 및 18일에 가장 현저하였으며, 미로영양막에서 반응세포수가 더 많았다.

  • PDF

흰쥐 신피질 세포막과 소포체 막의 calcium 수송에 미치는 cadmium 및 metallothionein의 영향에 관한 연구

  • Choe, Im-Sun;Kim, Ok-Yong;Park, Yong-Bin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4
    • /
    • pp.529-534
    • /
    • 1993
  • 흰쥐의 신피질 세포막과 소포체 막을 분리하여 카드를 및 Metallothioneln(MT)을 투여하였을 때 세포막에 존재하는 Ca-ATPase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기영동상에서 분리된 MT가 분자량 12KD 정도의 위치에 band가 나타났으며, 분리한 각 세포의 막에 카드윰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고농도일수록 Ca-ATPase의 활성도가 감소하였으나, MT를 처리한 경우 신피질 세포막은 거의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고, 소포체 막에 MT를 처리한 경우는 20mg/ml의 카드윰을 처리한 경우와 유사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카드윰은 세포막의 Ca-ATPase의 활성을 저하시켜 세포내 칼슘 항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MT는 Ca-ATPase의 활성을 회복시켜 카드뮴에 의한 세포독성의 방어작용에 부분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K^{+}$ channel openers의 약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홍기환;이원석;이주희;유성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37-37
    • /
    • 1992
  • 세포의 흥분성과 막전위의 조절에 있어서 $K^{+}$ channel의 역할이 크다는 사실이 인정 됨으로서 (Rudy, 1988) $K^{+}$ channel 개방 약물의 약리학적 연구와 임상적 응용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Cromakalim, nicorandil 및 pinacidil등이 혈관 평활근을 특히 예민하게 이완시킨다. 작용기전으로서는 세포의 원형질 막을 통한 $K^{+}$ 전도의 항진과 $K^{+}$ outward current의 증가가 막 과분극을 일으킨다. 이러한 결과는 막흥분에 의한 voltage-dependent $Ca^{++}$ channel을 닫게하고 세포내 free $Ca^{++}$의 농도를 감소시켜 혈관의 흥분성과 수축력의 감소를 야기하여 근이완을 야기한다. 한편, 평활근 세포막의 $Na^{+}$-$K^{+}$ ATPase도 활성화하면 electrogenic pump를 가동하여 막 과분극을 일으키고 막 흥분성을 저하시킨다. $Na^{+}$-$K^{+}$ pump는 세포 바깥의 $K^{+}$과 세포안의 $Na^{+}$농도에 의하여 활성화한다.

  • PDF

Isolation of a Specific Antigen Protein on Cell Membran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Bloom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세포표면 특이항원 단백질의 분리)

  • 김광현;한창희;이재훈;김병우;이복규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0 no.4
    • /
    • pp.320-324
    • /
    • 2002
  • To establish a rapidly immunochemical identification on a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a specific antigenic protein as a maker on the cell membrane was isolated. The cell membranes of C. polykrikoides and Gymnodinium sangineum were harvested by centrifugation after osmotic shock. The membrane proteins of both cells were solubilized in 50 mM Na-carbonate contained 1 mM DTT, and separated the proteins on SDS-PACE. Immune-blot on the solubilized membrane proteins of the both cells was performed with antiserum against the solubilized membrane proteins of C. polykrikoides. A 120 kDa membrane protein of C. polykrikoides had remarkablely different antigenicity from that of G. sangineum.

원자간력현미경(AFM)을 활용한 SH-SY5Y Neuroblastoma 세포의 분화 전후 세포막의 Stiffness 변화 연구

  • Gwon, Sang-U;Yang, U-Cheol;Jeon, Gwang-Deok;Lee, Ji-Eun;Lee, Hui-Su;Jeong, Jin-Gwon;Hong, Hyeon-Min;Lee, Jeong-Min;Choe, Pu-Reum;Jang, Ju-Hui;Choe, Yun-Gyeong;Jeon, S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99-599
    • /
    • 2013
  • 최근의 원자간력현미경(AFM)은 생체물질을 대상으로 여러 구조적 형상뿐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 측정이 가능하여 바이오분야에 다양이 활용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신경세포로 분화 인지에 대한 연구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AFM의 한 기능인 Force-Distance curve 측정법을 활용하여 신경암세포주라 불리는 SH-SY5Y를 대상으로 분화 전과 후의 세포막의 stiffness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막의 stiffness값은 시료표면과 맞닿은 AFM 탐침에 계속적으로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질 시 AFM 캔티레버의 구부러짐 정도로 측정된다. SH-SY5Y는 RA (retinoic acid) 처리에 의해 분화유도 되었으며, 생물학적 방법인 western blotting법을 통해 분화여부를 확인하였다. 측정영역은 AFM topography 이미지 상에서 roughness가 가장 낮은 분화 전과 후 SH-SY5Y의 핵 주변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영역 내에 여러 부분의 분화 전후 세포막의 stiffness 값을 측정하여 통계화한 결과, 분화 전과 후 세포막의 stiffness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화 전 SH-SY5Y 세포막의 stiffness는 0.79445 N/m인 반면, 분화 후 SH-SY5Y 세포막의stiffness는 0.60324 N/m로 확인되었다. 이는 분화 전에 비하여 분화 후 SH-SY5Y 세포막의 stiffness가 약 24.07% 감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생물학적 복잡한 방법이 아닌 간단한 방법으로 세포의 stiffness의 변화 측정을 통한 세포의 분화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여러 줄기세포의 특정세포로 분화여부 판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ltrastructural Changes at the Surfaces of Oocytes during Oogenesis of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 (별불가사리(Asterinapectinifera)의 난자형성 과정 중 난모세포 표면의 미세구조적 변화)

  • 이양림;한지원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203-212
    • /
    • 1994
  • 별불가사리 난자형성 중 난모세포(직경 7-l7O Um) 표면의 구조적 변화를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직경 25-855 Um의 난모세포에서 'endocvtosis'와 관련된 구조인 coated pit, coated vesicle과 내포소낭이 존재하였으며. 내포소낭은 난황립과 융합하였다. 특히, 이러한 융합은 직경 130-155 Um의 난모세포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난자형성 초기에 난모세포의 미세융모는 세포막을 따라 무질서하게 분포하고. 인접한 세포와 맞닿아 있었다. 직경 15 Um에서 65 Um에 이르는 난모세포는 세포막 부위에 따라서 미세융모의 굵기와 길이, 그리고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고, 직경 100 Um 이상의 난모세포에서는 잘 발달된 미세음모가 난뢍층에 존재하였다 여포세포로부터 나온 돌기는 직경 7 Um의 난모세포와 난자형성 후기의 난모세포에서 난황층을 윤고 세포막과 닿아 'junctional complex'를 형성하였다. 이와같은 난모세포 표면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는 난모세포의 세포막을 통한 물질투과 기능의 분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utative Heminbinding Protein from Prevotella intermedia (Prevotella intermedia에서의 hemin 결합 단백질의 순수분리 및 특성분석)

  • Kim, Sung-Jo;Chung, Hae-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0 no.4
    • /
    • pp.737-746
    • /
    • 2000
  • 본 연구는 hemin이 치주질환 주요 병인균주 중의 하나인 Prevotella intermedia의 성장 및 세포막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hemin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단백질의 순수분리 및 특성 분석을 위해 수행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emin은 P.intermedia의 성장 및 세포막 단백질의 발현에 영향을 미쳐, hemin이 고갈된 조건에서 균주의 성장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약 50 kDa의 세포막 단백질이 현저히 강화되어 발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emin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 50 kDa의 세포막 단백질을 순수분리하였으며, N'-terminal 아미노산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 단백질은 Streptococcus inter - medius의 Enolase와 아미노산 서열 및 분자량이 일치하였다. 한편, 이 단백질에는 disulfidebond가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intermedia에서의 porphyrin 생리 및 hemin 획득기전을 밝히는데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곤충호르몬의 작용기작과 그 이용방안

  • 문재유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8 no.2
    • /
    • pp.186-188
    • /
    • 1996
  • 곤충애 있어서 호르몬의 작용기작과 그 이용에 관하여 요야하면 다음과 같다. 곤충호르몬에는중추신경계의 신경분비세포에서 합성, 분비되는 peptide의 neuropeptide hormone (PTTH, bombyxin, diapause hormone등)이 있고, 상피계의 내분비선에서 합성, 분비되는 sesquiterpene의 유약호르몬 ( juvenile hormone)과 steroid의 탈피호르몬 (ecdysone)이 있다. 곤충호르몬은 특정한 표족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높은 특이성과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결합해서 세포의 작용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peptide hormone은 표적세포의의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표적세포의 막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세포내 대사제를 활성화시킴으로서 peptide hormone의 특이적인 발현이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ecdysone과 같은 steriod hormone이나 juvenlie hormone은 표적세포의 세포막을 용이하게 통과할수 있으므로 세포내의 세포막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세포내로 들어가 수용체와 결합해서 hormone-receptor comlpex는 핵내로 들어가 DNA의 특이적인 영역에 결합하므로서 이들 호르몬 특이적인 기능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codysone의 활성이 있는 ecdysteroid가 여러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어, 금후 양잠의 상족에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향유약호르몬(AJH) 활성물지인 imidazole계 화합물은 양잠에 있어서 세섬도고치 생산에 그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 PDF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the Phospholipase 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 Release in HepG2 Cells (HepG2 세포의 포스포리파제 D 활성과 자유 지방산 방출에 대한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

  • Koh, Eun-Hi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9 no.1
    • /
    • pp.22-30
    • /
    • 2015
  • The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cell membrane lipids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phospholipase D (PL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s (FFA) release in HepG2 cells. The diphtheria toxin effects on lipid alteration show apparently maximal at pH 5.1, stimulating PLD activity nearly 3.5 fold and enhancing FFA release approximately 5 fold over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mbrane is perturbed and its lipid component is rearranged during the diphtheria toxin translocation. Digitonin, a random membrane perturbing detergent, exhibit about four-fold higher perturbation effect over the diphtheria toxin at neutral pH.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membrane perturbation induced by diphtheria toxin appears to be rather selective.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membrane perturbation, Cibacron blue, an inhibitor of membrane pore formation, and hemagglutinin, an influenza virus with fusion peptide, were tested for their effects on diphtheria toxin action. Cibacron blue decreased the diphtheria toxin effect by almost 50%, but the lipid alteration induced by hemagglutinin was similar to the diphtheria toxin effect. These observations imply that the membrane perturbation induced by diphtheria toxin may be caused by a combination of pore formation and insertion of hydrophobic peptide of toxin to the membrane as well.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diphtheria toxin increased the HepG2 cells permeability but the cells viability was maintained at high level at the same time. DNA fragmentation which is related to apoptosis was not induced by the toxin. Under these conditions, we could demonstrate that the lipid alteration of HepG2 cells was brought about by diphtheria toxin at acidic pH.

Selective Permeat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Iodine ion at Cell Membrane Model of Thyroid which Irradiated by High Energy X-Ray (고에너지 엑스선을 조사한 갑상선의 세포막모델에서 요오드이온의 선택적 투과성 전달 특성)

  • Ko, In-Ho;Yeo, Jin-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5 no.2
    • /
    • pp.229-238
    • /
    • 2021
  • The selective permeat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iodine ion at follicle cell membrane model in thyroid which irradiated by high energy x-ray(linac 6 MV) was investigated. The follicle cell membrane model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polysulfonated copolymerized membrane of poly(4-vinylpyridine-co-acrylonitrile:VP-AN). The difference of membrane thickness [2 mole AN%(w/w)], fixed carrier concentration[VP-AN%(w/w)], OH- concentration were occurred at difference of I- concentration and quantity of thyroid hormone, respectively. The tensile strength in fixed carrier concentration[VP-AN% (w/w): 0-62 %] of irradiated membrane was found to be decreased about 1.2-1.8 times than non-irradiated membrane. The I- selective permeate initial flux with increase of membrane thickness [2mole AN%(w/w)], fixed carrier concentration[VP-AN%(w/ w)], OH- concentration in irradiated membrane were found to be decreased about 2.1-4.5 times, about 2.2-2.5 times, about 2.1-2.67 times than non-irradiated membrane,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quantity of thyroid hormone was decreased at irradiated membrane than non-irradiated membrane. The decrease of thyroid hormone was occurred at hypothyroidism and hyperthyroidism, thyroid cancer, and so on. As the thyroid hormone in cell membrane model were abnormal, cell damages were appeared at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