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종건축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4초

현장외 시공 공법 채택의 영향 인자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영국 건설 시장 사례 연구 -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and revitalization of the adoption of off-site construction -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market of the United Kingdom -)

  • 김민구;;안윤규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33-40
    • /
    • 2015
  • Over a few decades, off-site construction (OSC) has been widely used for building and bridge constructions. OSC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build structures at a different location than the location of use, and normally it occurs in a manufacturing plant.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perceived benefits of OSC, yet relatively few studies which quantitatively assess the benefits and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the use of OSC have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use of OSC system and its revitalization solu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the research metho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re conducted by visiting industry experts of OSC and sending a questionnaire to the OSC stakeholders including engineers, manufacturers, contractors and clients in the United Kingdom (UK).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the UK is targeted for the study since it has a number of commons with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urrent low take-up of the OSC. The survey provides the results that the reluctance of clients to use OSC is the key factor of the slow use of OSC despite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OSC.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OSC in the construction market, three revival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현장실험을 통한 목조바닥의 구성요소가 충격음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on on Effect of Constitution of Timber Framed Floor on Insulation Performance Against Impact Sound by Field Measurements)

  • 박주생;이상준;김세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6호
    • /
    • pp.431-444
    • /
    • 2012
  • 바닥구조의 충격음 차단성능은 바닥의 구성요소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데, 그중 목조 바닥구조의 경우 중량의 흡읍층과 바닥구조의 강성이 주요한 영향인자로 고려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공된 목조 건축물에 대해서 현장 실험을 통해 바닥 구성요소가 충격음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목조 바닥의 충격음 차단성능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레벨에 의해 전체적인 성능이 좌우되었으며, 흡읍층과 바닥구조의 강성 보강에 의해 저주파수 대역 음압레벨을 감소시켜 충격음 차단성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바닥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시멘트 몰탈층과 같은 충격음 흡수층과 원래 경간의 중간 지점에 보를 설치하여 장선 경간을 줄여줌으로써 목조 바닥의 강성을 증가시킨 경우에 중량 충격음 차단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세종시 중심행정타운 조성계획 (Public Administration Town Plan of Sejong-City based on Landscape Ecological Perspectives)

  • 이애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2호
    • /
    • pp.94-101
    • /
    • 2014
  • 본 계획은 중심행정타운의 마스터플랜으로 새로운 도시환경을 설정함으로서 도시조직의 형성에 있어 환경적이고 민주적인 원리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Flat city, Link City, Zero City'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는 경관생태학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조의 배열, 연결 그리고 물질순환과 흐름을 나타낸다. 'Flat City'는 iconic plane으로 나타나는 정부청사의 형태로 공공을 위한 공원으로 확장되며 접근의 용이성과 함께 자연 속에서 모두에게 열려있다. 'Link City'는 보다 효율적인 기능과 소통을 위한 전략으로 연결된다. 정부기관과 공원, 녹지공간, 문화시설, 상업과 주거지역들이 상호연결의 네트워크를 만들어낸다. 'Zero City'는 도시기반시스템을 통합하여 쓰레기재활용, 오염저감 그리고 도시기초기능을 공급함과 동시에 새로운 야생서식처를 창조하여 도시의 이웃을 만든다. 이 제안은 건축, 도시, 조경에 의해 역사, 지역, 자연의 경험을 하나로 결합한 계획이다.

국내 석회석의 활용현황

  • 채영배;정수복;김완태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년도 추계 공동 심포지엄 논문집
    • /
    • pp.93-101
    • /
    • 2002
  • 석회석은 우리 나라 광업법 제3조에서 규정한 법정광물로써 백운석, 대리석, 방해석 및 코퀴나 등을 포함하며, 최근 우리 나라 전체 광산물 생산량의 75%를 상회하는 단일광종 최대생산량을 나타내고 있는 광종이다. 이외에도 석회석 광은 여러 가지 통계적으로도 국내 최대임을 나타내는데, 즉, 2001년도 우리 나라 일반광(66종) 등록광구수 5,242개소 중에서 1,494개소를 차지하여 28.5%를 차지하며, 가행광산 수에서도 320개소 중 109개소(34%), 근로자 수에서는 4,291명중에서 2,748명(64%)으로 최대의 규모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석회석 및 관련제품은 오늘날 화학공업이나 환경산업 등 각종의 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의 이용 역사에서도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즉, 고대 유적분석 결과는 이미 신석기 시대에도 석회 재료가 쓰였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성경(신명기 27장 1~5절)에도 소개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의 석회 사용의 역사도 동국여지승람(성종16년), 세종실록, 문종실록 등에 석회 산지가 자세히 조사 기록되어 있으며 소성석회의 제조, 사용에 대하여도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리이스, 로마, 중국 등지의 역사에서는 건축재, 농업, 표백 및 제혁공업등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발견되고 있지만, 석회석의 용도가 크게 증가된 것은 역시 산업혁명 이후 20세기가 시작되면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석회석은 국가산업구조 및 인간의 삶의 양식에 따라 그의 용도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만큼, 그의 품질 또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아직도 시장규모가 큰 일부용도이외에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품질의 석회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는 인색하고, 또한 사용자의 대부분은 용도가 명시되어 있는 외국의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석회석 및 관련제품의 수입량이 감소하지 않고 있다. 최근 우리 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이후에,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정부의 규제나 지원은 폐지 또는 축소되고, 외국회사의 시장참여에 의한 국제경쟁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고 환율에 의하여 일부제품의 수입은 자제되고, 국내산 대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되고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국내시장의 확장에는 좋은 시기가 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국내 석회석 관련제품을 활용하는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데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작성하였다.

  • PDF

사서와 타학문분야 연구팀의 공동 연구 및 출판에 관한 연구 (Collaborative Research and Publishing of Librarians and Research Teams from Other Academic Fields)

  • 신은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43-159
    • /
    • 2019
  •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국에서는 사서가 연구프로젝트 팀원으로 참여하여 해당 분야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예가 많다. 최근에는 문헌정보학 학술지와 타학문분야 학술지에 출판한 사서의 논문수가 서로 비슷할 정도이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도 타학문분야 연구팀이 사서에게 구체적 협력을 요청하고, 연구를 함께 진행하며, 연구성과물인 학술지 논문을 공동 저자로 출판하는 지 등을 분석하였다. 최근 10년 동안 출판된 도서관 소속 저자의 319편 논문 데이터를 Korea Citation Index로부터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타학문분야 학술지에 출판한 사서의 논문은 많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 건축학, 재료공학 등의 분야에서 사서가 타학문분야 연구팀과 긴밀하게 협업하고 출판한 구체적인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프로젝트에 도서관 사서를 참여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국내도 곧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도서관은 물론 사서직을 양성하는 국내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서도 연구프로젝트 지원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는 등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초 건원릉과 헌릉의 봉릉 구조개선과 의의 - 병풍사대석과 난간석을 중심으로 -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al improvement of burial mound in Geonwonneung and Heonne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Byeongpungsadaeseok and Nanganseok -)

  • 신지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4호
    • /
    • pp.118-135
    • /
    • 2022
  • 본 연구는 15세기 초에 건립된 건원릉과 헌릉의 병풍사대석과 난간석 구조를 『세종실록』을 바탕으로 추정하고, 현재 해제 조사된 내용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구조적 변화와 그 의의를 밝히는 것에 주목적을 두고 있다. 건원릉과 제릉 및 헌릉은 1442년 동시에 수리되었는데 이때의 구조적 변화 양상이 동일하게 보인다. 1442년에 시행된 수리의 목적은 원활한 배수를 통해 지하 현궁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공사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하구조와 병풍사대석은 그대로 유지한 채, 병풍사대석 상부에 복부형석회를 추가하고, 난간석의 구조를 변경하는 정도에서 구조 개선을 이루었다. 『세종실록』의 기록에 따라 1420년과 1422년 사이에 건립된 헌릉의 구조를 추정하여 복원도를 그려보고, 1989년에 해제조사보고서에 기록된 구조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1998년에 해체조사된 건원릉의 구조에 대응하여 수리된 부분과 건립 당시의 구조를 구분하였다. 건원릉과 헌릉의 건립 당시 모습을 추정해 본 결과, 고려의 현·정릉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조성되어, 고려왕릉을 그대로 답습한 점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러나 1442년의 산릉수리도감에 의하여 구조개선이 이루어지면서 고려왕릉과는 차별된 조선왕릉의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1442년에 시도되어 조선의 전 시기 동안 봉릉 구조에 적용된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복부형석회의 등장이다. 복부형석회는 병풍사대석에 볼록한 지붕으로, 봉토(封土) 안으로 스며드는 빗물이 사대석 내부까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 사대석의 상부구조인 만석과 인석을 안쪽에서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복부형석회는 1442년에 처음 시도된 이래로, 병풍사대석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사례에 적용되어 조선왕릉의 고유한 특징이 되었다. 둘째는 난간석과 병풍사대석 사이 공간에 평평한 박석을 까는 대신에 물매를 형성하는 상석(裳石)을 설치하였다. 1442년에 설치된 상석은 병풍사대석에서 난간석 방향으로 빗물이 흘러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기왓골을 새긴 조선의 첫 와첨 상석으로볼수있다.이후로는기왓골을생략하기도하지만,치마형태의상석은조선왕릉에만사용된특징이다.

국가과학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Building and Operating of the National Science Library)

  • 곽동철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3호
    • /
    • pp.105-130
    • /
    • 2010
  • 과학기술정보자원은 모든 연구개발의 동력에 해당되므로, 선진국들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자국 국민들의 과학기술정보자원의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자 효율적인 지식정보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국가과학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을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대표 과학기술정보의 수집, 관리 및 유통 기관으로서 국내적 위상 제고와 국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첨단연구정보 전진기지로서 국가과학도서관의 건립이 부단히 요청되어 왔다. 한 나라의 국가과학도서관은 국가 발전과 번영을 위해 핵심적인 과학기술지식정보 인프라로서, 새로운 지식정보의 생산능력은 이러한 인프라의 용량에 의존하며, 새로운 이론과 기술 및 새로운 비전의 창출은 그 기능에 달려 있는 것이다.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정보주권의 수호와 국가예산의 중복투자 지양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지면서, 동시에 충분한 지식정보의 확충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인프라로 개발 운영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향후 우리나라가 지식정보사회에서 선진제국의 지식정보 식민지화나 과학 기술 예속화를 지양하고, 과학기술산업 부문에서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도서관의 건립은 피할 수 없는 과제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국가차원에서 심각한 과학기술정보자원의 부족 및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고자 몇 차례 시도된 바 있는 우리나라 국가과학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과학도서관 건립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둘째, 그 기능 및 역할을 규명하며, 셋째, 지금까지 논의된 도서관 건립의 과정을 조사 분석하고, 넷째, 최근 국립 과학기술 농학 의학도서관 등 설립 추진 계획이나 세종시의 성격 변화와 같은 주변 환경 등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향후 도서관 건립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을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단열 기준에 따른 기둥-보 목조주택의 단열 상세 및 에너지 성능 (Insulation Details and Energy Performance of Post-Beam Timber House for Insulation Standards)

  • 김세종;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76-883
    • /
    • 2015
  •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한옥의 전통건축기술을 바탕으로 한국형 기둥-보 목조주택인 ?그린 프로젝트를 2006년부터 진행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 기술요소를 적용하여 건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된 단열기준에 따른 기둥-보 목조벽체의 단열상세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물외피의 열관류율은 현행법 수준과 저에너지주택인 패시브하우스 수준인 두 단계로 나누었으며 건물에너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물의 기밀성능은 국내 신축 목조주택 수준인 $3.0h^{-1}$과 패시브하우스 수준이 $0.6h^{-1}$ 두 단계로 나누어 열관류율과 기밀성능의 조합에 따라 4가지 경우에 대한 건물에너지 성능 평가가 이루어졌다. 대상건물은 서울에 위치하였으며 에너지 성능은 상용 건물에너지성능 평가 프로그램인 CE3가 사용되었다. 강화된 열관류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연간 난방에너지 요구량은 $14kWh/(m^2{\cdot}a)$ 절감효과를 나타냈다.

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 문헌에 기록된 석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Joseon Royal Tomb Tumulus)

  • 전나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52-69
    • /
    • 2012
  • 본 연구는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와 외부 구조를 분석한 후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조선왕릉의 특징을 고려 왕릉, 조선 사대부 무덤과 비교하여 본 논문이다. 조선왕릉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건축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내부와 외부에 수호를 상징하는 미술 장식을 넣어 오래도록 왕과 왕후를 수호하도록 기원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세종실록 오례의"와 "국조오례의"가 남아 있어 이 사료를 통하여 조선왕릉의 내부는 석실이고, 외부는 병풍석과 난간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세조가 자신의 능에 석실을 만들지 말라고 유언을 남긴 이후로 조선왕릉의 내부는 모두 회격이 되었다. 조선 후기에 조선왕릉의 조성 과정을 작성한 사료는 영조 때 편찬한 "국조상례보편"이 있다. 이 책에는 조선왕릉을 회격으로 조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이 나타나있다. 조선 후기에 조성한 왕릉의 병풍석은 십이지상을 새겼던 기존과 달리 모란을 새겨 넣는다. 모란은 궁궐의 장식화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조선왕릉에 모란이 나타난 점은 조선왕릉이 왕의 일상 공간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점으로 볼 수 있다.

국내 건설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Trend Analysis of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Strategies of Construction Contractors in Korea)

  • 김재욱;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54-63
    • /
    • 2019
  • 최근 지속가능경영은 중요한 경영적 대안과 전략으로 대두 되었으며, 건설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 및 기업에게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산업 및 기업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향상 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립된 전략에 대한 트렌드를 분석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기업의 미래지향적 경영방향과 전략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정보원(Information Source)이다. 건설기업의 전반적인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대표적인 건설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하여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한 후, 이를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통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표적인 5개 건설대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건설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에서 나타나는 트렌드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국내 건설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트렌드를 이해하는 것은 건설기업의 미래지향적 경영방향과 전략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향후 건설산업과 건설기업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주력해야할 현안을 발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