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시풍속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의 과학문화적 이해 (A Science Cultur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stronomy in East Asia)

  • 이문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9-183
    • /
    • 2012
  • 우리의 현실에 부합하는 과학문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외래성을 극복하고 전통과의 단절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통과학의 대표적인 분야인 천문학을 통해 우리 전통과학의 특징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과학문화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대 문명에서 처음 등장하는 천문학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서 전통 천문학에는 과학의 한 분야로서 천문학적 지식과 함께 여러 문명마다 각기 다른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들어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천문학의 여러 세부 분야 중에서 사람들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문화적 차이를 잘 드러내 주는 것은 시간의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달력과 역법이다. 모든 고대 문명에서 해와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삼아 시간을 표현했지만, 시간을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각각의 문화마다 서로 달랐다. 그 결과 달력에서 음력과 양력 그리고 음력과 양력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태음태양력 체계가 나타났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태음태양력을 사용했는데, 동아시아에서 달력은 서양 세계와는 달리 복잡하고 정교한 천문학적 작업인 역법에서 도출된 것이다. 한편, 민간생활을 잘 보여주는 세시풍속에서도 태음태양력의 특징을 분명하게 찾을 수 있지만, 또한 세시풍속에는 이른바 미신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 있기도 하다. 이런 점 때문에 우리의 달력 체계를 비과학적인 것이라고 오해하거나 나아가 전통과학 전반에 대해 과학적인 측면이 결여되어 있다고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달력과 역법을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우리 전통 속에 과학적인 측면이 분명하게 존재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이 오늘날 과학기술의 외래성을 극복하고 전통과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는 고리가 될 것이다.

  • PDF

한국의 세시풍속과 복식 -소설 <혼불>에 표현된 텍스트를 중심으로- (Korean Seasonal Costumes and Clothing Expressed in Novel, )

  • 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5호
    • /
    • pp.697-7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spect new costume culture of 21st Century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othing and clothing behavior which represent on Korean Seasonal Costumes expressed in novel, Honp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special Costumes in a Year. They are New year, First full moon, Servants day, making seasonings, Doo Rae, Wha-cheon Nori(enjoying blossoms) Costumes during spring season, Dan-Oh Costume in summer and Ya-Kwang-Gui(keeping shoes at all night), Su-Ya(overnight), Yeam-Bal(burning dropped hairs) Costume in winter season. There were many relationship with clothing in new year, Wha-cheon Nori and Servants day Costumes, but they only had adorning meaning without special symbolic or incantational meaning. Clothing and clothing behaviors in Seasoning making day Costume, Dan-Ho costume and Ya-Kwang-Gui, Su-Ya, Yeam-Bal Costumes contained practical meaning with incantational meaning. There were Servants day costumes and Doo-Rae Costumes for lower classes, New year and Wha-cheon Nori costumes for the higher classes. But the First full moon day costume was for both classes. This study will make us to grasp the meaning of clothing culture with Korean Seasonal Costumes, and be useful to measure the changes of Korean costume cultures.

  • PDF

전라도 석탑의 세부 기법 고찰 - 옥개석 물끊기홈과 충탁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ailed treatment techniques of seoktap(stone stupa) in Jeollado province -in the groove for dropping water and the hole for wing bell of the okgaeseok(roof stone)-)

  • 조은경;한주성;남창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271-306
    • /
    • 2007
  • 일반적으로 조선후기 한시(漢詩)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상을 상세하게 다룬 일련의 연작형 기속시(紀俗詩)가 다수 창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속시는 그 소재(素材)와 내용에서 특정 지역의 풍토, 지리, 기후, 물산(物産), 인정(人情), 세태(世態), 생업과 노동 등 민중의 생활 현장 전반을 두루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특징에 따라 기속시는 해당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반영하고, 토속적 정서와 민중이 생활 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시 절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의 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 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 등 작가적 체험과 의식성향이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창작의 중요한 배경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작형 세시기속시는 584수(首)로 확인되며, 그중 대보름 풍속을 소재로 한 시는 178수(首)로 전체의 1/3을 차지하는 분량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절기(節氣)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전래민속을 한시의 소재로 직접 수용함으로써 민족의 생활양식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특히 기층민의 현실 생활 현장에 밀착하여 그들의 질박하고 활기찬 삶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분방 발랄한 민중상을 창조하고 민중의 염원과 삶의 애환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싸움', '노구반공양'이라는 풍속을 소재로 삶았던 것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농촌 전통문화보전 기능의 인식 분석과 화폐가치

  • 김은자;김영;안윤수;이상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62-163
    • /
    • 2004
  • 우리나라는 농경문화가 주류를 이루어 발달해 온 문화권에 속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생활문화에서는 농업의 특성과 지역공간에 기반을 둔 두레나 품앗이 등 공동체의 생활양식이 발달되어 왔다. 설날과 보름, 단오, 추석과 같은 명절의 세시풍속과 많은 전통문화의 요소는 농업ㆍ농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도시보다는 농촌에서 보다 쉽게 유지되고 보존되어진다. (중략)

  • PDF

양주시 초등학교 4학년 세시풍속교육프로그램 연구 - 여름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of Seasonal Customs for the 4th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Yangju City - Focused on the Seasonal Customs in Summer -)

  • 최배영;김미식;김미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09-1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Korean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during summer (i.e. Buddha's birthday, Dano festival, Yudu festival and Chilseok)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a educational program concerning seasonal customs and determine i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a need for this kind of educational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8 students in the 4th grade at two elementary schools (84 students each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249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Yangju cit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level of seasonal custom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re-test, but after carrying out the educational program,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Second, in addition to strongly pointing out the necessity of seasonal customs education,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is desirable to teach seasonal customs to students through the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corresponding to the seasonal divisions in the year and that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perform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s and to utilize audio-visual media. Also, teachers hoped that a seasonal customs program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requir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finally that the schools need to further develop teacher training through field inspections and practice.

  • PDF

전통생활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보육현장의 세시풍속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ld Caregivers' Awareness and Educational Training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easonal Custo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 주영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93-20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easonal custo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6 questions was developed. The data was collected by 287 child caregiv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Win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 caregivers overall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was scored as 3.28. Their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was scored as 3.7, and their knowledge and interest both as 2.77. The analysis of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experience (p. <05) and age (p. <01). Second, the child caregivers were unaware any other seasonal customs besides Chuseok(Korean Thanksgiving), Tano(a festival occurring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Lunar New Year's Day, and Daeboreum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Third, child caregivers perceived 'culture' experiences as being very important for education about seasonal customs. Forth, two of Korea's seasonal customs, Chuseok(Korean Thanksgiving) and the Lunar New Year's Day have always been celebrated with family gatherings. Fifth, child caregivers awareness of seasonal customs is correlated with educational training. And their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is also correlated with educational training.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for Seasonally Special Days and Dishes)

  • 허성미;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3-9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possible effort of succeeding to traditional cultu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On the question about [the importance of Special Days] was shown to average score of 3.8 On the question about [helpfulness degree of Seasonally Special Days] was shown to average score of 3,4 Regarding to the kinds of Seasonally Special days that people celebrate most, [The New Year's Day], [Chusok(Chinese Thanks-giving day)], [Dried Vegetables and mixed bowl of five-sort grains(Chusok:The 1st Full-Moon Day)], [Red beans Gruel (The Winter Solstice)] were shown to enjoy most. In preparation of dishes for Seasonally Special Days, about 58% of the respendants answered that they prepared them at their own homes. [Rice Cake] was shown to the highest among the kinds of ready-made deshes for Seasonally Special Days. On the hand down to foods for Seasonally Special Days, about 38% of respondants answered that they do want to their daughters, The significant variable on family environment for this if family religion. On the prospect for succession of the Seasonally Special Days' customs including the dishes, about 80% of respondants answered that a part of them would be handed down to next generations. The significant variable on family environment for this is subjects' religion.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Seasonally Special Days, mothers's group was predominent(compared with daughters')

  • PDF

『해동죽지(海東竹枝)』에 나타난 세시풍속 고찰 (The Study on Seasonal Customs of Hae-Dong-Jug-Ji)

  • 양진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5권
    • /
    • pp.304-31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easonal customs of "Hae-Dong-Jug-Ji". Cheo Yeong-hyeon was a literary man who passed away when Joseon Dynasty ruined after great change of dynasty. As the interest in the customs had also, there appeared a lot of books on common customs in each seasons. As a result, Chinese poems on the seasonal common customs turned up a great deal. Among these, "Hae-Dong-Jug-Ji" written by Cheo Yeong-hye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ems which described the seasonal customs at that time. As the details of customs and lives in every work is described deliberately, the poem is very clear and realistic. This is the very achievement of the poet.

중국(中國) 광서성(廣西省) 전주현(全州縣) 동산요족(東山瑤族) 민속문화(民俗文化) 조사(調査) 약보고(略報告) (The Research report of ethnic customs in Dong-shan(東山) Yao(瑤) family)

  • 박대남;현창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169-211
    • /
    • 2004
  • 중국(中國) 광서성(廣西省) 전주현(全州縣) 동산요족(東山瑤族)은 한족(漢族)과의 교류가 일찍부터 활발했던 이유로 그 기층을 이루는 민속문화(세시풍속 통과의례 민간신앙 주거민속 농업과 농기구 등)가 대체적으로 한족(漢族)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그 기저에는 요족(瑤族)의 전통적인 문화형태를 보존해 오고 있다. 세시풍속 중 모든 요족(瑤族)의 시조인 반고(盤古)의 탄생을 기념하는 명절, 여러 의례 중에 혼례 때 이루어지는 곡가(哭嫁) 같은 노래들, 상례(喪禮)에서의 의례형식, 요족(瑤族)의 신앙생활을 주재하는 사공(師公) 등이 있는 것들이 그러하 다. 또한 주거에 있어서 환경적인 요인과 생활습관에 의해 한족(漢族)의 것과는 부분적으로 다른 차이도 발견된다. 예를 들어 주택이 기본적으로 2층 구조라든가, 상량의식에 사용하는 도구가 틀리다는 점 등이다. 농업과 농기구는 기본적으로 한족(漢族)의 그것과 비슷하며 단지 지역적 차이로 인한 약간의 변형이 있는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