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사민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참기름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Sesame Oi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경수;허우덕;남영중;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8-352
    • /
    • 1984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프를 이용하여 참기름에 이행된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량을 측정하고 배소공정중 이들 성분의 안정성, 저장중의 함량변화등을 분석하여 참기름품질평가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참기름중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량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두성분 모두 국내산 참깨보다 수입산 참깨의 함량이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참기름 가공을 위한 배소공정중 상당량의 세사몰린이 감소되었으나 세사민의 안정성은 매우 높았고 착유방법별 뚜렷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참기름 저장중에도 세사몰린과 세사민의 함량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로 세사민을 품질평가의 지표로 삼았고 내부표준물질로 첨가된 안트론의 양에 대한 상대값으로 참기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산지가 다른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Properties of White Sesame Produced from Different Origin)

  • Kang, Myung-Hwa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8-354
    • /
    • 2004
  • 중국, 수단, 인도 및 파키스탄에서 생산된 참깨(각 10종)의 조지방 함량, 지방산 조성, 세사민, 세사몰린 및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을 측정하여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참깨의 조지방 함량은 파키스탄산 42.47 %, 중국산 38.95%, 인도산 34.96% 및 수단산 33.93%로 파키스탄산이 가장 높았으나 지역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사민 함량은 중국산 634.75 mg/100 g seed, 수단산 630.66 mg/100 g seed, 인도산 381.55 mg/100 g seed 및 파키스탄산 401.00 mg/100 g seed으로 중국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사몰린 함량은 중국산 218.99 mg/100 g seed, 수단산 234.49 mg/100 g seed, 인도산 (185.64 mg/100 g seed) 및 파키스탄산 (127.04 mg/100 g seed)으로 지역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은 중국산 321.40 mg/100 g seed, 수단산 218.99 mg/100 g seed, 인도산 505.04 mg/100 g seed 및 파키스탄산 342.87 mg/100 g seed로 인도산이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참깨 핵산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인도산의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파키스탄산 및 중국산순 이었다. 이상의 결과 지역별 참깨 품질 특성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특히 최근에 기능성 성분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세사민과 세사몰린 및 세사미놀 배당체는 지역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세사민과 세사몰린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Mellitus Rat)

  • 성하정;강명화;정혜경;송은승;정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9-354
    • /
    • 2001
  • 산화적 스트레스는 당뇨병과 관련된 맥관계병변의 전개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streptozotocin(STZ)투여에 의한 당뇨유발쥐를 사용하여 참께함유 항산화성분인 sesamin과 sesamolin의 혈당과 생체내 항산화 방어효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당뇨유발쥐에 0.2% sesamin또는 0.2% sesamolin 함유사료를 3주간 급여하여, 혈당농도, 뇨당농도, 혈청 GOT와 GPT활성,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그리고 GSH함량과 GST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Z투여군의 혈당량은 319.4 $\pm$105.74mg/dL였는데, sesamin급여군은 146.56$\pm$23.99mg/dL, sesamolin급여군은170.74$\pm$105.94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뇨병쥐의 뇨당농도가 21.16$\pm$13.72 mg/dL였는데, 세사민과 세사몰린 급여시에는 19.52 $\pm$ 8.99 mg/day와 10.93 $\pm$ 7.79 mg/day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TZ투여에 의하여 증가된 GOT와 GPT활성도는 세사민과 세사몰린의 급여에 의하여 GPT활성도만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STZ투여에 의해 증가한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생성은 세사민과 세사몰린 급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TZ투여에 의해 감소된 신장의 GSH함량과 GST활성은 세사민과 세사몰린에 의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 세사민과 세사몰린이 신장조직에서 일차적으로 산화된 산화물을 포집하고 GSH를 이용하여 체내의 독성 물질을 전이 분해시키는 작용을 하여 STZ에 의해 유도된 각종 독성을 무독화시켜 신장의 손상을 보호하여 당뇨억제 작용과 함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깨 품종별 Sesamin, Sesamolin 함량 변이 (Quantitative Analysi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Various Cultivars of Sesame)

  • 김금숙;김동휘;정미란;장인복;심강보;강철환;이승은;성낙술;송경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96-502
    • /
    • 2004
  • 본 시험는 국내의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이 미흡한 실정에서, 기존에 개발된 참깨 품종을 대상으로 항산화 성분인 리그난 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 등의 품질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과 리그난 화합물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소재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품질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2년, 2003년에 재배된 참깨 각각 21품종, 27품종을 대상으로, 2002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pm1.74\;2.48\pm0.68mg/g$이었으며, 2003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pm1.51\;2.48\pm0.67mg/g$이었다. 2. 흰깨, 검은깨의 2003년의 세사민 평균함량은 $4.87\pm0.73\;1.82\pm0.47mg/g$, 세사몰린 함량은 $2.85\pm0.25\;1.42\pm0.31mg/g$으로 세사민, 세사몰린 모두 흰깨가 검은깨보다 함량이 $2\~4$배정도 높았다. 3. 성분깨는 세사민, 세사몰린 함량이 2002년에는 각각 5.94, 3.26mg/g이었고, 2003년에는 각각 6.27, 3.21mg/g으로 모두 상위 $1\~2$위 순위에 분포하는 양상이었으나, 다른 흰깨 품종들은 재배 연수에 따라 절대함량은 물론 함량 순위에도 약간의 변이를 보였다. 4. 세사민은 2002년에는 단백깨(6.22mg/g), 성분깨(5.94mg/g), 남다깨(5.83 mg/g), 남안깨(5.59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고, 2003년에는 성분깨(6.27 mg/g), 다삭깨(5.53mg/g), 단백깨(5.50mg/g), 진백깨(5.45 mg/g), 서둔깨(5.41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5. 세사몰린은 2002년에는 황백깨(3.27mg/g), 성분깨(3.26mg/g), 안남깨(3.22 mg/g), 한섬깨(3.17 mg/g), 단백깨(3.16mg/g)순으로, 2003년에는 성분깨(3.21 mg/g), 서둔깨(3.04 mg/g), 풍안깨(3.10 mg/g), 남안깨(3.09 mg/g), 단백깨(3.04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6. 세사민 함량이 높은 단백깨, 성분깨, 다삭깨, 남다깨, 풍안깨 등은 성분깨가 $48.56\%$로서 기름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나머지는 $50.00\%$ 이상으로 양호한 기름 함량분포를 나타내었다.

암을 이기는 생활 속 식품 - 깨

  • 오사와 도시히코;니시노 호요쿠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2권3호
    • /
    • pp.100-103
    • /
    • 2009
  • 암이나 동맥경화는 활성산소가 우리 몸을 산화시켜 발생한다. 우리가 즐겨먹는 식품 가운데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식품은 많지만, 지금 전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는 식품이 바로 깨다. 연구 과정에서 항산화 물질인 세사미놀(sesaminol), 세사민(sesamine) 등의 기능이 계속 밝혀지고 있어 주목할 만한 항암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 PDF

근적외선분광(NIRS)을 이용한 참깨의 lignan 함량 비파괴 분석 방법 확립 (Establishment of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for Lignan Content in Sesame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정은;김성업;이명희;김정인;오은영;김상우;김민영;박재은;조광수;오기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61-66
    • /
    • 2022
  • 본 연구는 참깨에 함유된 세사민 및 세사몰린의 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NIRS 분석을 이용해 검량식을 작성하고 검량식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검량식 작성에 사용된 482점 참깨의 HPLC 분석 결과를 NIRS 스펙트럼에 적용시킨 후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세사민 및 세사몰린의 R2 값은 각각 0.936, 0.875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cross validation 한 결과에서도 각각 0.899, 0.781로 조사되어 리그난 함량 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작성된 검량식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20년에 생산된 참깨 유전자원 90종의 종자를 NIRS를 통해 분석한 결과 세사민 및 세사몰린의 R2값이 각각 0.653, 0.596으로 크게 낮아졌으나 리그난 함량이 높은 상위 30%의 자원을 선발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작성된 NIRS 검량식은 육종 초기에 고리그난 함량을 선발하는데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에 따른 참깨종자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same Seeds by Producing Areas)

  • 이민정;김기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28-131
    • /
    • 2005
  • 국내산과 수입산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성분 분석, 지방산 조성 및 리그난 함량을 분석한 결과, 국내산, 수입산 참깨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단백질함량은 국내산 참깨가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나이지리아산 참깨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올레산과 리놀레산을 합한 총 양질 불포화지방산은 국내산 85.69%, 수입산 $83.06{\sim}85.05%$로 국내산 참깨가 양질의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였다. 참깨 중 세사민과 세사몰린 성분 분석결과 국내산 참깨가 수입산 참깨보다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참깨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국내산, 수입산 참깨간에는 미미한 차이였지만 세사민과 세사몰린의 리그난 성분에서 국내산 참깨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