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라믹 표면

Search Result 68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Osseointegration of Ceramics & Zirconia : A Review of Literature (세라믹과 지르코니아의 골유착에 관한 고찰)

  • Song, Young-Gyu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8 no.3
    • /
    • pp.319-326
    • /
    • 2012
  • For many years, ceramics have been used in fixed prosthodontics for achieving optimal esthetics. but, they have another use as well. Many studies today show ceramics can be used for biomaterials. In the beginning researchers made a start in the study of aluminium oxide and sapphire for biomaterial. The appearance of Zirconia began a new phase of research. Zirconia was introduced into implantology as an alternative to titanium, because of its white color,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superior biocompatibility. But it is not easy to surface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titanium. To overcome the limitation, interconnected porous bodies of zirconia were fabricated by sintering technique. And the technique of coating was developed. Therefore, some zirconia implants are currently available. It is thought that Research of biomaterials as a variety of puposes for the use of zirconia is looking very promis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reviews are to evaluation of zirconia as biomaterials.

Cavitation damage characteristics of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coatings prepared on marine grade Al alloy (플라즈마 전해 산화 처리된 해양환경용 Al 합금의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

  • Lee, Jeong-Hyeong;Kim, Yong-Hwan;Kim, Yeon-J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2.2-132.2
    • /
    • 2017
  • 플라즈마 전해 산화(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는 Al, Ti, Mg 합금과 같은 경량 금속소재에 대한 표면처리기술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PEO 처리에 의해 표면에 치밀하게 형성되는 세라믹 산화층은 우수한 내식성, 내마모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PEO 세라믹 코팅층의 응착마모(adhesive wear)와 절삭마모(abrasive wear)에 관한 연구는 상당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캐비테이션 침식과 같은 침식마모(erosive wear)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합금 소지에 제작된 PEO 코팅층의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전해액 조성이 PEO 코팅층의 미세조직과 캐비테이션 손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PEO 처리를 위해 사용된 소재는 상용 5083-O합금 판재로서 $2cm{\times}2cm$로 절단하여, 에머리페이퍼로 1000번까지 연마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전해액은 증류수에 KOH(1 g/L)을 base로 하여 $Na_2SiO_3$(2 g/L)의 첨가유무를 변수로 하였다. 시편을 양극으로 하고 STS304를 음극으로 하여 각각 DC 전원 공급기의 +극과 -극에 연결하였으며, 정전류 조건에서 30분간 $0.1A/cm^2$의 전류밀도를 인가하였다. PEO 처리후 시편은 SEM, EDS, XRD를 이용하여 표면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PEO코팅층의 캐비테이션 특성 평가는 초음파 진동식 캐비테이션 발생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캐비테이션 실험 후 시간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변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Computational Simulation for Comparison of Flow Field and Particle Behavior in a Ceramic Candle Filter Housing with Different Inlet Type (세라믹캔들필터 집진장치에서의 입구유입방식에 따른 유동장 및 입자거동현상 비교 수치해석)

  • 박석주;이동근;임정환;박영옥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81-482
    • /
    • 2003
  • 세라믹캔들필터 집진장치의 형상 설계 시 장치내의 유동장의 균일도와 필터 표면으로의 입자 부하 현상이 중요한 설계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장치 내부의 유동 조건을 조절하여 필터 표면상에 도달하는 입자의 농도를 낮추거나 균일하게 유지시킬 경우, 부착된 입자층 두께의 성장으로 인한 압력손실의 증가율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탈진 주기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탈진 조작의 저감으로 인하여 필터의 수명 증대로 필터의 교체 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세라믹캔들필터 집진장치의 운전 및 유지보수비의 저감을 이룰 수 있다. (중략)

  • PDF

Change of Surface Temperature and Far-infrared Emissivity in Ceramics Manufactured from a Board Mixed with Sawdust and Mandarin Peel (톱밥·귤박 혼합보드로 제조한 세라믹의 표면온도 변화 및 원적외선방사 특성)

  • Hwang, Jung-Woo;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7 no.1
    • /
    • pp.66-79
    • /
    • 2019
  • The aim of the study is to use the by-products sawdust, formed during sawing and mandarin peel which are agricultural by products. The boards were manufactured by mixing the sawdust and mandarin peel at different mixing ratio and density. In terms of changes in surface temperature of ceramics, we could found that the velocity was fast in the early time of heat transfer until 10 minutes and after that the velocity increased but not very fast. At the elapsed time of 30 minut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ceramics increased with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rate of mandarin peel addition did not influence the surface temperature. Far - infrared emissivity had no constant tendency in rate of mandarin peel addition, it decreased with increase of carbonization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