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굴공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xamples for Underwater Repair and Strengthening of Bridge Substructures (수중부 하부 구조의 보수 보강)

  • 유동우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3 no.2
    • /
    • pp.38-43
    • /
    • 2001
  • 교량 하부구조 특히 교각 및 기초의 경우는 지반 또는 수중에 묻혀 있기 때문에 손상을 발견하기도 어렵고 또한 손상의 보수 및 보강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하부구조의 손상은 지반의 마모, 침하, 측방유동토압, 하상세굴, 홍수류, 선박 및 유하물에 의한 충격, 지진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러한 손상은 지표수 및 지하수 배제공, 성토공, 지반개량공, 단면보수공, 세굴방지공, 내진보강공 등에 의하여 보수 및 보강이 행하여 진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하부구조의 보수.보강공법 중 수중부에 실시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Riverbed Scour Protection Technique with Non-toxic materials and An examination of Field Application (무독성 소재활용 다층다공성 하상보호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성 검토)

  • Ahn, Hong Kyu;Ji, M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9-479
    • /
    • 2016
  • 국내 하천에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나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약 5만여개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보/낙차공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에는 구조물을 월류하여 떨어지는 부분의 세굴을 막기 위하여 apron(물받이공)을 조성하도록 되어있고, 물받이공 하류부 세굴을 막기 위하여 사석을 깔거나, 돌망태를 설치하여 이 부분에서의 세굴을 막아 하상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석이나 돌망태공, 블록을 이용한 보호공은 한 번 설치되면 이들 공법이 제자리에 남아 있는 한 세굴 방지에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포설된 공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혹은 홍수로 인해 이동되거나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최종적으로 하천횡단구조물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강우량의 증대 및 집중호우 등 돌변하는 기후변화로 하천환경변화에 대한 적용 가능한 기술이 미비하다. 따라서 하천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시키지 않고 하천환경 및 하천 생물의 생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 저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치수적으로 수리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생태적으로도 건강한 생태하천 복원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보 하류부에 자연친화적인 하상보호공으로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하상보호기술을 CFD 3차원 수치해석과 실내실험을 통하여 수리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술은 김해시 대청천 하류 일부구간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였고, 시범사업 시공 전 중 후 각 단계에서 물리, 화학, 생물 모니터링을 통하여 개발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Empirical Equation to Quantify the Subsidence of Riprap Scour Protection at Downstream of Vertical Drop Structures (연직낙차공 하류부 사석보호공 침하량 산정식에 관한 실험 연구)

  • Kim, Chang-Sung;Kang, Joon-Gu;Yeo, Hong-Koo;Yeo, Woon-Kw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5
    • /
    • pp.433-443
    • /
    • 2010
  • Drop structures that span the entire width of channels are installed to alleviate channel grades and have been constructed widely in Korean rivers. Aprons are normally installed and integrated with drop structures and bed protections are added on the downstream part of aprons to protect both drop structures and aprons. Scour occurring on aprons is reported to provide various habitats such as ripples and pools in natural riv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scour characteristics on an apron integrated with a drop structure and the subsidence of a riprap protection. The scour depth on the downstream part of the drop structure is foun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unit discharge; however, to decrease as the tail water depth gets deeper. Based on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the subsidence of the riprap scour protection is calculat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riprap. Finally, the dimensionless empirical equation to quantify the subsidence of the riprap scour protection without filters at downstream of the vertical drop is suggested.

Comparison of Local Scour around Pipeline Caused by Waves and Steady Currents (파랑 및 정상흐름에 의한 해저관로 주변의 국부세굴 특성 비교)

  • Kim, Kyoung-Ho;Oh, Hyoun-Sik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21-28
    • /
    • 2011
  •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causing scour around a pipeline placed on the seabed in a shallow water zone. Such submarine pipelines are usually exposed to currents and waves. The present experiments made estimates for each different flow type. The scour width and depth in the equilibrium scour phase were analyzed by non-dimensional parameters.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considered various parameters: pipe diameters, wave periods, wave heights, and current velocities.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orrelations of scour width, scour depth, and main non-dimensional parameters such as the Fr number and KC number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steady currents, the scour hole was closely related to the bottom velocity, while the scour hole in waves showed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to the bottom velocity because when exposed to waves the scour hole was restri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ater particles during a wave period. However, the scour width under a steady current was not limited because vortex shedding was well developed from having enough time and distance.

Theoretical Approach to Estimate the Scour Length between Levee and Revetment in Submerged Overflow Conditions (잠수월류 시 보 주변 제방 세굴 길이 산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 Jeong, Seok il;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3-113
    • /
    • 2017
  • 중소하천에서 홍수 시 보 주변 흐름은 잠수월류(submerged overflow)의 형태이고, 이러한 조건 하의 보 파괴원인 중 가장 큰 부분은 제방과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세굴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하천설계기준(2009)에서는 보 연결부 보호공에 대해 수리학적 특성과 유사적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세굴 범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고정상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세굴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체의 재료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체의 재료적 특성(점성을 가진 유사 특성)을 고려하여 잠수월류 시 보 하류부 제방의 세굴길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방법으로 이론적 접근에서 보 연결부 세굴을 유발하는 주요인자들을 활용하여 관계식을 제안하였고, 수리실험을 통해 제안된 식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수리실험은 균일 사다리꼴 단면의 직선 수로($7.0m(L){\times}2.0m(B){\times}0.5m(H)$)에서 이동상 제방구간(2.0m)과 고정상 제방구간을 나누어 실험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동상 제방 전용 다짐판 및 다짐 봉 등 자체적으로 제작된 실험 장비들이 이용되었다. 실험결과와 제시된 이론적 접근의 비교를 통해 제시된 이론식이 제체의 다짐도의 영향이 고려가 되지 않았음을 가정하였으며, Lee et al.(2001)의 연구를 참고하여 제체에 대한 다짐의 영향을 고려한 후 두 값들이 선형적인 비례 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관계를 모두 고려한 잠수월류 시 보 하류부 세굴길이에 대한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본 예측식은 하천 계획 및 설계시 호안의 범위를 산정하는데 참고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완전월류(perfect overflow)에서 보 연결부 세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월류 형태 별 제방 세굴길이에 대한 연구를 완성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d Inspection Method of the Foundation Scouring and Establishment of 3D Underwater Surface Map (개선된 교량 기초세굴 점검방법 및 3D 하상지도 구축 연구)

  • Choi, Hyun-Chul;Ko, J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6 no.5
    • /
    • pp.161-170
    • /
    • 2022
  • The maintenance of bridges installed in rivers is carried out through facility safety inspection and repair & reinforcement proced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Many studies have been so far conducted on the safety check of the bridge upperstructure because of the ease of access. However as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investigate whether the pier foundation installed in the river has been scoured. Management of underwater foundations has remained based on theory. In this study, the scour of the bridge foundation installed in such a river was realized in 3D form by using an echo sounder and VRS. This mad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cour patter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ground height of the riverbed at the time of the bridge instal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f the pier foundation is used as an initial dat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local scour is present and to predict long-term scouring, bridge collapse due to foundation scour can be prevented.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 for Bridge Pier Scour Considering Accumulative Effect (축적 효과를 고려한 교각세굴 해석 프로그램 개발)

  • ;Briaud, Jean-Louis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3
    • /
    • pp.5-13
    • /
    • 2001
  • 세립토에서의 세굴깊이의 발달은 일반적으로 조립토에서보다는 아주 천천히 진행된다. 조립토를 위해 개발된 방법을 시간효과와 무관하게 세립토에 적용한다면 세굴깊이가 과대하게 평가된다. SRICOS 방법은 점성토 또는 연암에 설치된 교각의 국부세굴깊이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교량현장에서 채취한 흙에 대한 실험과 SRICOS 프로그램의 수행을 병행함으로써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SRICOS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 후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내용을 기술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굴에 미치는 각 매개변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매개변수 해석의 결과가 포함된다.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Effect of Unsteadiness of Horseshoe Vortex on Local Pier Scour (국부교각세굴에서 마제형와의 부정류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해석)

  • Lee, Seung Oh;Kim, Hyung-Jun;Cho, Yong-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2B
    • /
    • pp.169-175
    • /
    • 2008
  • The clear-water sc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hed light on the unsteadiness of the horseshoe vortex around a bridge pier since the fluctuations of velocity components and unsteadiness of the horseshoe vortex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on local scou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speed and turbulence around a bridge pier was examined using an Acoustic Doppler Velocimeter (ADV) and the flow visualization with kaolin clay particles upstream of a bridge pier. The outcomes of this study on the turbulenc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cour mechanism were presented with the quadrant analysis, the integral time scales, and the bed shear stresses before and after scouring, respectively. The bed shear stress before scouring was approximately quadrupl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equilibriums state. It implies that the unsteadiness of the horseshoe vortex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initial development of scour depth. Therefore, the bimodal distribution of flow velocity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orseshoe vortex and the unsteadiness of horseshoe vortex can be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flow sturucture and local pier scour.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Bank Scour around Low Dam using 3D Numerical Simulation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보 접속부 세굴 특성 분석)

  • Jung, Suk Il;Yeo, Chang Geon;Yoon, Gwang Seok;Lee, Seung 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02-102
    • /
    • 2011
  • 보는 하천에서 취수나 하상유지를 위한 하천횡단구조물로 일반적으로 본체, 물받이, 바닥보호공 등으로 구성되며 제방 연결부 호안 및 밑다짐 등에 대한 설계기준이 하천설계기준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태풍 루사나 매미에 의한 피해사례를 보면 하천 횡단 구조물 본체가 파괴되는 피해 뿐만 아니라, 구조물과 제방과의 연결부가 세굴이 발생되어 붕괴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하천설계기준 해설(2009)에는 이러한 보와 제방의 연결부 부분을 연결호안이라하여 관련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설치구간의 길이를 정할 때 하천의 규모나 하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일률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건설기술연구원의 '보 및 낙차공 설계기술 개발 연구보고서'(윤광석 등, 2006)에서는 고정상 실험을 통해 연결호안 설치구간에 대한 실험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모의를 통하여 건설기술연구원에서 수행하였던 실험을 재현하고, 제방을 이동상으로 하여 인자들 간의 상호 관계를 밝히며,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윤광석 등(2006)에 의해 제시된 실험식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수치모의는 유량을 $0.7{\sim}2.8m^3/sec$까지 변화하며 수행하였으며, 유사의 대표입경은 0.63mm로, 상류수심은 1.0m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수치모의는 평형세굴 발생 후, 최소 모의시간의 10%정도 지난 시간까지 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 및 Froude 수가 증가하여 상 하류부 세굴 발생 범위와 폭은 증가하였다. (2) 상류는 하류에 비해 유량에 따른 세굴발생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이는 하류단에 비해 상류단의 유속 및 Froude 수의 차이가 작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3) 세굴의 폭을 측정함으로써 세굴에 가장 취약한 부분을 짐작할 수 있으며, 설계에 반영되어 호안이나 옹벽의 두께결정에 적용한다면 세굴에 대해 좀 더 안전한 설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건설기술연구원(2006)에서 제시한 식(1)과의 비교를 통해 수치모의 결과가 식(1)로부터 계산된 값보다 작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식(1)의 범위는 와류영역구간을 나타내서 연결호안 설치구간 길이를 제시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의 수치모의 결과는 세굴이 발생한 범위를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보 높이와 좀 더 다양한 유량에 대한 경우를 수치모의하고, 이동상 제방에 대한 실험을 통해 명확한 식을 제안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