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 호르몬

Search Result 9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reparation of Radioiodine Labelled Huma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or Radioimmunoassay Use (난포자극호르몬의 방사면역측정을 위한 방사성 요오드 표지)

  • Kim, Jae-Rok;Kim, Tae-Ho;Kim, You-Su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9 no.2
    • /
    • pp.47-54
    • /
    • 1975
  • 난포자극호르몬(HFSH)을 클로라민 티를 사용하여 방사성요오드로 표지하였으며 평균 표지수율은 대략 65%이었다. 표지호르몬을 방사면역측정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분젤 전기영동과 젤여과법으로 분리정제하고 그 분리정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젤 여과법이 분리시간, 간편성, 항체와의 결합력 등으로 보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리표지호르몬과 항체와 결합한 표지호르몬의 비율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중항체법을 크로마토전기영동법과 비교하여 본 결과 이중항체법에 의해서만 효과적 비율결정이 가능하였다.

  • PDF

Induced Ovulation by usin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and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plus Pimozide in Yellow Puffer, Takifugu obscurus (인간의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 또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도체와 Pimozide에 의한 황복의 배란유도)

  • Jang, Seon-Il
    • Journal of Aquaculture
    • /
    • v.9 no.1
    • /
    • pp.3-10
    • /
    • 1996
  • Ovulation of maturing female yellow puffer, Takifugu obscrus, was induced by using single injection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r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analogue (GnRH-A) $des-Gly^{10}[D-Ala^6]$ GnRH-ethylamide plus pimozide. The response was evaluated using the fertilization and embryo-formation rate after insemination and the gonadotropin (GTH) level in blood plasma using radioimmunoassay. In the fertilization and embryo-formation, maximal effects were recorded by using 1,000 IU/kg HCG or $10\;{mu}g/kg$ GnRH-A plus 5 mg/kr pimozide. Pimozide (1, 5 mg/kg) or GnRH-A treatment alone was not effective in elevation of GTH level, however combinations of these treatment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jection of dopamine blocked the rapid elevation of plasma GTH levels of blood. These data suggest that yellow puffer secrete GnRH and gonadotropin-releasing-inhibiting factor during the spawning or the other period.

  • PDF

Determination of hormonal active compounds in meat (육류 식품중 호르몬 성분의 분석)

  • Seo, Jungju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6
    • /
    • pp.526-534
    • /
    • 2008
  • To determine the trace level of synthetic and natural hormones in food, the improvement of official analytical method and new development o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hormon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developed analytical method, the background level of natural hormones and distribution of residual hormones were monitored in meat. Target hormones were six natural hormones such as estrogens ($17{\beta}$-estradiol, $17{\alpha}$-estradiol, estrone), androgens ($17{\beta}$-testosterone, $17{\alpha}$-testosterone), and gestagens (progesterone) and three synthetic hormones such as DES, zeranol, and taleranol. These hormon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Newly developed multi-residu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meat sample which were collected from market in the capital region and monitored the presence of residues of synthetic and natural steroid hormones. No residue of synthetic hormones were detected and endogenous level of progesterone was detected in cattle, pig and liver samples tested.

Effects of growth hormone treatment on glucose metabolism in idiopathic short stature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서 성장 호르몬 투여가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

  • Kwon, Seung Yeon;Kim, Duk-Hee;Kim, Ho-S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6
    • /
    • pp.665-671
    • /
    • 2006
  • Purpose : To study the effects of growth hormone(GH) treatment on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ISS). Methods :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before and after GH treatment(0.6-0.7 IU/kg/week) in 20 patients with ISS. Insulin resistance was assess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HOMA). Results : During OGTT, the mean blood glucose leve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after GH treatment. However, mean blood insulin levels of fasting and 30 minutes of OGTT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after GH treatment, accompanying significant increases of insulin resist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ange of glucose, insulin levels and insulin resistance before and after GH treatment between two groups of body mass indices(BMI) of 25< and >25. There als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with and without family histories of diabetes mellitus (DM). There was no case of newly develop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fasting glucose tolerance, nor newly developed DM. Conclusion : GH treatment with doses of 0.6-0.7 IU/kg/week for mean 9.6 months in patients with I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glucose levels during OGTT. However, GH treatments induced considerably higher fasting insulin levels compared to pretreatment, resulting in statistically higher insulin resistance. Higher BMI and family history of DM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changes in glucose, insulin level and insulin resistance after GH treatment than the other groups.

곤충호르몬의 작용기작과 그 이용방안

  • 문재유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8 no.2
    • /
    • pp.186-188
    • /
    • 1996
  • 곤충애 있어서 호르몬의 작용기작과 그 이용에 관하여 요야하면 다음과 같다. 곤충호르몬에는중추신경계의 신경분비세포에서 합성, 분비되는 peptide의 neuropeptide hormone (PTTH, bombyxin, diapause hormone등)이 있고, 상피계의 내분비선에서 합성, 분비되는 sesquiterpene의 유약호르몬 ( juvenile hormone)과 steroid의 탈피호르몬 (ecdysone)이 있다. 곤충호르몬은 특정한 표족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높은 특이성과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결합해서 세포의 작용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peptide hormone은 표적세포의의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표적세포의 막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세포내 대사제를 활성화시킴으로서 peptide hormone의 특이적인 발현이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ecdysone과 같은 steriod hormone이나 juvenlie hormone은 표적세포의 세포막을 용이하게 통과할수 있으므로 세포내의 세포막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세포내로 들어가 수용체와 결합해서 hormone-receptor comlpex는 핵내로 들어가 DNA의 특이적인 영역에 결합하므로서 이들 호르몬 특이적인 기능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codysone의 활성이 있는 ecdysteroid가 여러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어, 금후 양잠의 상족에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향유약호르몬(AJH) 활성물지인 imidazole계 화합물은 양잠에 있어서 세섬도고치 생산에 그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 PDF

성스테로이드 호르몬과 해산 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

  • Gwon, Jun-Yeong;Han, Hyeong-Gyun;Im, Han-Gyu;Kim, Dae-Jung;Lee, Chan-Hui;Gwon, Hyeok-Ch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55-355
    • /
    • 2004
  • 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는 내인성 및 외인성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해산 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 과정에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작용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용 양식어종의 하나인 해산 태생어류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를 대상으로 이 종의 성분화에 미치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조피볼락은 출산후 일령 45일 전후의 성이 미분화한 개체들이었다. 실험어는 3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각 3반복), 1개월간 각각 estradiol-l7${\beta}$ 또는 methyltestosterone을 처리하였고, 하나의 실험군은 호르몬 처리를 하지 않았다 처리기간 동안에는 각 실험군으로부터 무작위 sampling을 실시하여, 호르몬 처리에 따른 체내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각 실험군의생식소 분화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은 diethylether로 추출한후, rndioirmmunoassay 방법 (RIA)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의 실험어는 1:1의 자연성비에 부합하는 성분화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estradiol-17${\beta}$ 처리구는 자성화, methyltestosterone 처리구는 웅성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성분화 shift는 외부에서 투여한 호르몬이 실재 내부호르몬양의 변화를 초래하여 이루어졌음이 RIA 분석에 의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산 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 역시 성스테로이 드호르몬의 작용에 의하여 매개 또는 조절되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하지만 태생어류에서 이 호르몬의 실질적 작용 메카니즘 및 명확한 작용시기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 진다.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적(最適) 온도(溫度)는 $30^{\circ}C$, avicelase와 ${\beta}-glucosidase$의 최적(最適) pH는 5.0, CMCase는 pH 5.5 이었으며,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pH 5.0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培養) 기간(期間)은 avicelase가 8일(日), CMCase가 10일(日), ${\beta}-glucosidase$는 16 일간(日間) 배양(培養)하였을 때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12일(日) 배양(培養)했을 때 가장 양호(良好)하였다.가한 반면, 중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뚜렷하게 일본참기름을 우수하게 평가하였다.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관찰되는 것이다. 통계학적 분석은 각 Group의 착상 을과 자궁 내 사망 율을 산출할 때에는 각 임신마우스에 따라 발생빈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통계처리에는 Non parametric 검정인 Kluskal Wallis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체 Level 영향인 착상을, 태아사망,

  • PDF

임상수의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호르몬제재에 대하여

  • 류일선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8 no.7
    • /
    • pp.612-619
    • /
    • 2002
  • 최근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현장에서 번식장애 즉 불임증을 호소하는 농가들이 예전에 비해 부쩍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임상수의사들이나, 인공수정업무를 행하고 있는 인공수정사, 사육농가들이 번식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호르몬 제재를 사용하거나 번식효율을 제고하고 저 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게 볼 수가 있다. 허나, 이러한 호르몬 제재들의 그 유효성분, 적용 축종, 투여방법, 안전성 및 부작용 등을 정확하게 숙지한 상황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호르몬 제재의 오, 남용으로 인한 번식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필자 역시 전국각지에서 가축들을 사육하고 있는 농가들이 방문 내지는 인터넷, 전화 등의 유선통신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아온 결과 상당히 많은 분들이 정확한 진단이나 지식이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태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던 기억을 새삼 떠올려짐을 어찌할수 없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우리 임상전문수의사들의 생식기검사가 이뤄진 후 정확한 진단하에서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제재는 기술(旣述)한 바와 같이 별반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적으나, 이외의 비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경우는 오히려 호르몬제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나쁜 악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우리임상전문수의사 뿐만 아니라 수의관계업무에 관련하는 모든분들에게도 최근 호르몬 및 그 제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숙지하여 나갈 필요성을 절감하여 이에 대해 상세한 고찰을 하여 나갈까 한다. 이 글을 읽어보는 수의사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피력하고 싶다.

  • PDF

Identification of a de novo mutation (H435Y) in the THRB gene in a Korean patient with resistance to thyroid hormone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베타 유전자 돌연변이(H435Y)가 확인된 갑상선호르몬 저항성 증후군 1례)

  • Shin, Jin Young;Ki, Chang-Seok;Kim, Jin Ky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6
    • /
    • pp.576-579
    • /
    • 2007
  • The syndrome of resistance to thyroid hormone (RTH) is characterized by reduced tissue sensitivity to thyroid hormone (TH). In the majority of subjects, RTH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beta ($TR{\beta}$) gene, located on the chromosome locus 3p24.3. RTH is inherited in an autosomal dominant manner.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RTH is variable, but common features include elevated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 (TH), a normal or slightly increased thyrotropin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level that responds to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TRH), and goiter. We report a 4 year-old girl, who was clinically euthyroid in spite of high total and free $T_4$, and $T_3$ concentrations, while TSH was slightly increased. Sequence analysis of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beta gene (THRB) confirmed a heterozygous C to T change at nucleotide number 1303, resulting in a substitution of histidine by tyrosine at codon 435 (H435Y). Further analysis of her parents revealed that the H435Y variation was a de novo mutation since neither parents had the variation. Her parents' TH and TSH levels were within normal range.

Regulation of the Mammary Tissue-Specific Promoter Activity by Endogenous Hormones in Cultured Mammary Cells (배양 유선세포에서 내생성 호르몬에 의한 유선특이 유전자 프로모터의 활성 조절)

  • 윤영승;정선미;이성호;김재만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4 no.2
    • /
    • pp.221-229
    • /
    • 2000
  • Lactogenesis in mammary gland is under the control of various lactogenic hormones including hypophysial growth hormone and prolactin.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such pituitary lactogenic hormones are also expressed in mammary cells as well as in pituitary. For the purpose to analyze the role of these non-pituitary hormones in mammary cells, $\beta$ -lactoglobulin (BLG) gene promoter was selected as a model system. The growth hormone suppressed BLG promoter activity when it was applied alone on cultured mammary HCll cells. Along with lactogenic hormones such as insulin, prolactin and glucocorticoid, however, it significantly enhanced expression of BLG promoter activity in a dosage- dependent manner. Exogenous expression of the growth hormone gene in cultured mammary cells also strongly promoted cell proliferation and BLG promoter activity. Bovine growth hormone promoter, on the contrary, did not revealed any notable activity. Above results suggest that endogenous expression of the pituitary hormone genes in mammary cells is not a regulation leakage but a physiological control. Moreover, artificial overproduction of the growth hormone in mammary gland may help increase milk production.

  • PDF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Knowledge,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and Education Need toward Endocrine Disruptor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생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도, 정보획득 행동, 지식, 노출저감화 행동 및 교육요구도 에 관한 연구)

  • Kim, Mee-Ra;Kim, Hyo-Ch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1 no.3
    • /
    • pp.123-14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level of knowledge, level of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and education need towards endocrine disrupt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Daejeon, Daegu, Busan and Gwangju. Frequencies, Cronbach's alpha, t tests,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and chi-square tests were carried out by SPSS WINDOWS Version 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concerns about endocrine disruptors was somewhat low. Many respondents obtained information about endocrine disruptors from TV/radio and school, and wanted to get the information from school and TV/radio. Both the level of knowledge and the level of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were not particularly high. In addition, they showed high level of education need for endocrine disrup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