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주

Search Result 1,41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situ modal testing and parameter identification of active magnetic bearing system by magnetic force measurement and the use of directional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전자기력 측정과 방향성주파수 응답함수를 이용한 능동 자기베어링 시스템의 운전중 모드시험 및 매개변수 규명)

  • Ha, Young-Ho;Lee, Chong-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1 no.7
    • /
    • pp.1156-1165
    • /
    • 1997
  • Complex modal testing is employed for the in-situ parameter identification of a four-axis active magnetic bearing system while the system is in operation. In the test, magnetic bearings are used as exciters as well as actuators for feedback contro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irectional frequency response function, which is properly defined in the complex domain, is a powerful tool for identification of bearing as well as modal parameters. It is also shown that the position and current stiffnesses can be accurately estimated us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measured forces, displacements, and currents.

Enhancement of Agricultural Water Use through Storage Level Management of Irrigation Dams (관개용 댐의 저수관리를 통한 농업용수 이용률 제고)

  • Lee, Joo-Yong;Kim, Sun-Joo;Kim, Phil-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71-1475
    • /
    • 2005
  • 현재 우리나라 관개용 댐의 농업용수는 논관개 용수를 위주로 하여 하천유지용수, 생활용수, 축산용수를 주 공급량으로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밭에 대한 관개용수를 산정하여 공급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실제 현장에서도 수원공으로부터 체계적인 용수공급이 아닌 필요한 곳에 관정 등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밭관개 용수의 확보를 위하여 관개용 댐의 저수를 기간별로 관리모의 하였다. 이를 통해 용수의 신규 개발이 아닌 기존 용수의 저수 관리를 통하여 용수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관개용 댐인 성주댐과 동화댐을 대상지구로 하여 논관개 용수와 같은 정상적 용수 공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추가적인 용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결과론 성주지역 주요 밭작물 필요수량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었으며, 동화지역의 경우도 1998년과 2001년 같은 극심한 가뭄년을 제외하고 추가공급 가능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ng-Ju Eupseong (성주읍성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이강국;김찬영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5 no.3
    • /
    • pp.31-4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ng-Ju Eup around the 19th century by analyzing a map called Seoung-ju eupgido, made in the late Chosun period. The study analyses the significant elements consisting of the spatial arrangement such as geographical considerations, the street system, and the location of main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the study uses a contemporary map showing the actual spatial arrangement in the period, instead of using any historical records or written documents that have been mainly used for the same purpose by most researcher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