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장 발육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5초

곤충성장조절제(IGR)가 누에의 발육생리에 미치는 영향 I. Fenoxycarb가 누에의 유충기 발육과 용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ect Growth Regulators on Development and Physiology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I. Effect of fenoxycarb, juvernile hormone Analog, on larval growth, pupation and cocoon characters by oral application)

  • 김삼은;황석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1-126
    • /
    • 1995
  • 1000배로 희석한 "인세가"9주성분 : fenoxycarb)를 분무한 뽕잎을 일정기간 누에에 섭식시킨후 각 령의 경과일수, 5령 유충무게, 화용비율, 전견중 및 견층중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enoxycarb 첨식은 유충경과 일수를 연장시킨다. 특히 4령 3일 이후의 처리에서는 5령 경과일수가 20일 이상 길어지고 토사하지 못한채 모두 폐사하였다. 2. fenoxycarb 첨식은 5령 유충무게를 증가시킨다. 처리구의 유충무게 최대치는 대조구에 비해 2령 전기간 처리구에서 약 20%, 3령, 4령, 5령기의 전기간 처리구에서 각각 40%, 70%, 20% 정도 증가하였다. 3. 화용비율은 1령 처리구에서는 90% 이상으로 대조와 큰 차이는 없었으나 2~3령 처리구에서는 70~8-0%, 4령 후반기 이후 처리구에서는 0%였다. 4. 전견중 및 견층중은 1~3령 처리구에서 대체로 증가하였고 특히 전견중은 2령 전령 처리구에서 대조대비 47% 견층중은 3령 전기간 처리구에서 41% 증가하였다.41% 증가하였다.

  • PDF

모유영양아와 인공영양아의 피하지방 및 상완위의 성장발육 상태-영아의 피하지방 및 상완위 발육상태- (Skinfold Thickness and Arm Circumference of Korean Breast Fed and Formula Fed Infants from 1 to 3 Postpartum Months)

  • 최경숙;최혜미;구재옥;임경숙;김주혜;김숙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7-95
    • /
    • 1997
  • One- to three-month-old infants (n=232) were compared their upper arm 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triceps, subscapular) by feeding methods in cross-sectional study. There were two groups : breast-fed(BF) and formula-fed groups(FF). As reported previously, weight, length, head and chest circumferences of these infants were good, and overall growth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feeding methods, but weight, weight velocity and chest circumference of formula-fed infants were higher than breast-feds at 3month, significantly. Hear, the triceps skinfold thickness of infants at 1, 2, and 3 postpartum months were 7.4, 9.5 and 10.5 mm, respectively. The triceps skinfold thickness of breast-fed infants were higher than formula-feds at 1 and 2 postpartum month, but at 3 month that of formula-fed infants was greater than breast-fed infants, insignificantly. The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of infants were 6.4, 9.2 and 10.6 mm at 1 to 3 postpartum months, respectively. The upper arm circumference of infants were 11.7, 13.4, 14.3cm, and the arm muscle diameter were 34.5,39.3 and 41.7cm at one to three postpartum months, respectively. The upper arm circumference of male infants was higher than females at 2, 3 postpartum months. Overall, there were no signifiant differences between feeding methods in triceps and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upper arm circumference and arm muscle diameter. But 3-month-old formula-fed male infant showed bigger significantly in arm circumference than the breast-feds. From this survey, long-term survey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large scales might be necessary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eding methods of infants after 3 months and to set proper body composition standard for infant.

  • PDF

선천적 무설증 환자에서의 하악골 확장 (MANDIBULAR EXPANSION IN A CONGENITAL AGLOSSIA PATIENT)

  • 조재용;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3-677
    • /
    • 2003
  • 선천적 무설증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는 증상이다. 무설증을 가진 환자는 구개 이상, 하순 결손, 하악 측절치 결손 등을 포함한 하악골의 발육부전을 나타낸다. 무설증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이나 발생 4주시기에 기형유발물질의 영향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설증의 치료는 혀를 재건해주는 외과적 술식과 하악골의 성장을 돕는 교정적 술식, 하악골의 길이를 늘리는 distraction osteogenesis 등이 있으며 무설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본 증례는 선천적 무설증과 situs inversus(장기의 좌우가 바뀐 상태)를 가진 6세 여아에서 무설증으로 인한 하악골의 횡적 수축을 악정형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하였으며 향후 2차 교정과 외과적 수술을 계획하기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돼지에서 난자의 체외발육 배양액 내 첨가된 거대분자물질이 작은 난포 유래 미성숙 난자의 성장, 성숙 및 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 (Various macromolecules in in vitro growth medium influence growth, maturation,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 of pig oocytes derived from small antral follicles)

  • 이한나;이용진;이주형;이근식;이승태;이은송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81-88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macromolecules in in vitro growth (IVG) media on the growth, maturation, and parthenogenesis (PA) of pig oocytes derived from small antral follicles (SAF). Immature oocytes were cultured for two days in IVG medium supplemented with 10% (v/v) fetal bovine serum (FBS), 10% (v/v) pig follicular fluid (PFF), 0.4% (w/v) bovine serum albumin (BSA), or 0.1% (w/v) polyvinyl alcohol (PVA) and then maintained for 44 h for maturation. After IVG, the mean diameters of the SAF treated with FBS, PVA, and no IVG-MAF ($113.0-114.8{\mu}m$)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o IVG-SAF ($111.8{\mu}m$). The proportion of metaphase II oocytes was higher in PFF (73.6%) than in BSA (43.5%) and PVA (53.7%) but similar to that in the FBS treatment (61.5%). FBS and PFF increased cumulus expans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PVA and BSA while the intraoocyte glutathione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the macromolecules. Blastocyst formation of PA oocytes treated with FBS (51.8%), PFF (50.4%), and PVA (4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SA-treated oocytes (20.6%).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FF and FBS treatments during IVG improved the growth,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SAF.

두개골 및 두개봉합부 초기발육과정에서의 전사조절인자인 Msx2와 Dlx5의 역할 (THE ROLE OF TRANSCRIPTION FACTOR MSX2 AND DLX5 IN CALVARIAL BONE AND SUTURE DEVELOPMENT)

  • 송민호;박미현;남순현;김영진;류현모;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1-405
    • /
    • 2003
  • 두개봉합부의 조기융합으로 일컬어지는 craniosynostosis는 두개봉합부에서의 골아세포의 조기분화 및 석회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선천성 발육이상이다. 최근 유전학적 연구에 의하면 homeobox gene인 Msx2의 변이에 의해 Boston-type craniosynostosis가 야기되며, 또한 Dlx5 homozygote mutant mouse의 표현형에서 두개골의 골화지연을 포함한 다양한 두개안면부위의 이상을 발견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게다가 Msx2와 Dlx5 homeodomain protein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숙골아세포의 표지자인 osteocalcin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Msx2 Dlx5 및 osteocalcin 유전자들이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두개골의 성장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시 이러한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mouse의 태생기 (E15-E18) 동안 osteocalcin, Msx2, 및 Dlx5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Osteocalcin은 E15부터 두정골의 골막에서 관찰되었으며, 발생시기가 후기일수록 강한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Msx2는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과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경막과 hair follicle에서도 관찰되었다. Dlx5는 osteogenic front를 포함한 두정골의 골막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 에서는 발현되지 않아, Msx2와는 발현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발육과정에서의 Msx2와 Dlx5의 기능을 좀더 심도깊게 분석하기위해, 여러 가지 signaling molecule들의 protein을 사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Msx2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인 $TGF{\beta}1$, GDF-6, -7 bead들 주위로는 Msx2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FGF, Shh protein 역시 bead주위로 Msx2의 발현을 유도하지않았다. 흥미롭게도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Dlx5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 FGF, Shh bead주위로는 Dlx5를 관찰할 수 없어, Msx2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Msx2와 Dlx5 유전자는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성장발육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BMP signaling은 이 두 전사조절인자들을 조절하므로써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에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특히 BMP signaling에 specific downstream gene인 Msx2 및 Dlx5의 발현양상의 차이는 골아세포의 분화시 이들 유전자가 각각의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친환경 한우 생산을 위한 메탄 저감용 사료 배합 및 적정 사육밀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eed Formulation to Reduce Methane Emission and Optimal Rearing Density for Environmental-Friendly Hanwoo Production)

  • 신종서;최병양;김미정;김승기;라창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sup호
    • /
    • pp.7-20
    • /
    • 2011
  • 본 연구는 친환경 한우생산을 위해 다양한 원료사료의 선택 및 구성비율 변경을 통해 메탄 저감용 사료배합비의 작성 및 적정 사육밀도에 관한 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메탄 저감용 사료배합에 활용한 원료사료는 파쇄 옥수수와 알팔파 외 21종이었다. 또한 적정 사육밀도를 조사하기 위한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 150 kg의 한우 송아지 12두를 선정하여 4개월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TMR 1, 2, 3에 비해 TMR 4에서 약 3~4배정도 낮은 메탄가스 발생량을 보였으며, 사료가격에서도 저렴한 결과를 보였다. TMR 4는 TMR 1, 2 및 3에 비해 건물 소실율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생성량은 24~37%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한우 육성우의 적정 사육밀도 실험에서 저밀도 ($18m^2/head$) 및 일반 처리구 ($9m^2/head$)는 과밀도 처리구 ($6m^2/head$)에 비해 총 증체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혈액성분에서 저밀도 및 일반 처리구는 영양대사 및 건강에 관련된 total protein, glucose, AST, ALT 및 GGT 농도가 과밀도 처리구에 비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체위 발육(development of body size)의 경우 저밀도 및 일반 처리구의 체중, 흉폭, 요각폭 및 곤폭은 고밀도 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밀도 처리구는 일반 처리구보다 체위발육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저밀도 및 일반 처리구는 고밀도 처리구에 비해 깔짚의 수분 함량, 대장균 및 콕시듐의 조절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와같이 한우 육성우의 적정 사육밀도는 두당 $6m^2$ 이상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료사료의 선택 및 구성비율 변경을 통해 메탄 생성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사료자원의 배합비 조정으로 메탄 저감용 사료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사육밀도는 한우의 성장과 발육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원료사료의 선택 및 구성비율 변경을 통해 메탄 발생량 조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사육밀도는 한우의 성장과 발육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맥전환술을 시행한 대혈관전위 환자에서 심초음파를 이용한 술후 추적 (Echocardiographic Follow-up after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 한승세;정태은;이동협;오정훈;이정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54-762
    • /
    • 2001
  • 배경: 영낡치대 흥부외과학교실에서 1989년부터 1998년 사이에 대혈관전위로 동맥전환술을 받고 6개월 이상 추적관찰한 환자 8례를 대상으로, 동맥 전환술의 효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반복적인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후 그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추적관찰기간은 평균 4.1년이었고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1년이었다. 대성환자의 연령은 평균 29일(범위 3∼56일)이었고 체중은 평균 3.6kg(범위 2.6∼4.8kg)이었다. 술 전 진단은 TGA+VSD가 5례, TGA+IVS가 3례이었다. 좌심실 shortening fraction, 좌심실 수축기 시간간격(left ventricle systolic time interval, LVSTI), 우심실 수축기 시간간격(right ventricle systolic time interval, RVSTI), 그리고 좌심실구축률(EF)을 측정하여 좌심실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대동맥과 폐동맥의 최고 수축기압차 속도 (peak systolic pressure gradient velocity, PSPGV), 판막의 폐쇄부전상태, 좌심방/대동맥비(LA/Ao ratio), 대동맥과 폐동맥 근부의 크기, 등을 정상치와 비교하여 판막의 기능과 대혈관의 성장을 평가하였다. 결과: 좌심실구축률은 평균 65.0+9.03%이었으며 추적관찰 동안 시간이 경가함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좌심실상행대동맥압차는 평균 15.9mmHg이었고 우심실폐동맥압차는 평균 27.5mmHg이었다. 수축기말 대동맥근부 크기(aortic root dimension at end-systole)는 8례 중 6례에서 동일 연령군의 정상발육 평균치보다 발육이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발육과정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축기말 폐동맥 근부 크기(PA root dimension at end-systole)는 동일연령군의 정상발육 평균치와 비교할 때 비슷한 성장경과를 보였다. 술후 판막 폐쇄부전의 변동을 보면 폐동맥판막폐쇄부전은 8례 중 5례에서 있었고 1례에서 2도이었고 그 외는 1도 이하이었다. 대동맥판막폐쇄부전은 8례 중 술전 0도에서 술후 1도로 변동한 경우가 6례였다. 이상과 간이 폐쇄부전이 있더라도 대부분 1도 이하이었기 때문에 인상적인 의의는 없었다

  • PDF

Face mask를 이용한 유치열기 골격성 반대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SKELETAL ANTERIOR CROSSBITE IN PRIMARY DENTITION USING FACEMASK)

  • 서주희;이광희;김대업;이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0-106
    • /
    • 2002
  • III급 부정교합은 서양인에서 약 5%의 발생빈도를 보이며, 일본인과 한국인에서 교정환자중 50%정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III급 부정교합자의 63%가량이 상악골의 열성장 또는 상악골의 열성장과 하악골의 과성장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악정형력보다는 치열에서의 변화량이 크므로 치료는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조기치료시 성장조절, 환자의 협조도, 치료의 관리와 같은 결정요소들을 잘 판단하여 시행함으로써 상악골의 더 많은 전방이동이 가능하며 정상 성장을 도모하고 교합관계가 증진되며 안모의 개선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 심리적 발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증례는 반대교합을 주소로 원광의료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환아에게 facemask를 이용한 조기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미성숙 영구치에서 혈소판 농축 섬유소를 적용한 생활 치수 치료 : 증례보고 (VITAL PULP THERAPY USING PLATELET-RICH FIBRIN IN AN IMMATURE PERMANENT TOOTH : CASE REPORTS)

  • 이가영;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0-126
    • /
    • 2013
  • 심한 우식을 보이는 미성숙 영구치 치료에 있어서 치수생활력을 보존하는 것은 중요하다. 치수절단술을 시행 시 생체적합성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치료함으로써 남아있는 생활력이 있는 치수를 보호하며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혈소판 농축 섬유소는 환자의 혈액을 직접 채취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성장인자를 함유하고 있어 치수생활력을 유지하고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심한 치아 우식증을 보이는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수절단술 시행 후 남아 있는 치수 상부에 혈소판 농축 섬유소를 적용하였다. 정기적인 검진 결과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성장 및 정상적인 치아 주위 조직들이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간의 임상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며 더 많은 임상 증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사춘기 최대 성장 단계 예측을 위한 SMI 및 MP3 단계별 골연령 평가 (Skeletal Age Assessment of SMI and MP3 Stages to Predict the Pubertal Growth Spurt)

  • 이연주;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3-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청소년 표준 골연령 도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SMI 및 MP3 단계별 골연령을 조사하여 최대 성장기에 해당하는 단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성장 중인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 치료방법 및 시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장 발육평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363명의 환자의 수완부 방사선 사진에서 한국 소아 청소년의 표준 골연령 도표를 바탕으로 영상의학과 의사에 의해 판정된 골연령을 조사하였다. 동일한 방사선 사진에서 평가된 SMI 및 MP3 단계에 따른 평균 골연령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춘기 최대 성장기가 남아에서는 SMI 4 - 5단계 및 MP3 FG - G단계, 여아에서는 SMI 3 - 4단계 및 MP3 F - FG단계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