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장시기

검색결과 1,117건 처리시간 0.031초

인천연안 간석지산 주요 저서생물의 성장과 생물생산 -I. 척전지역 간석지에 서식하는 맛조개, Solen (Solen) strictus의 성장- (Growth and Production of Macrobenthic Fauna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I. Growth of the Razor Clam, Solen (Solen) strictus (Bivalvia, Solenidae) from Chokchon Tidal Flat-)

  • 홍재상;박흥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9-559
    • /
    • 1994
  •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인천시 남구 동춘동에 위치하는 척전 조간대 간석지에 서식하는 맛조개의 성장에 대해 조사하였다. 서시밀도는 $1m^2$당 평균 128개체이며, 윤문(輪紋)은 1년에 1회 생성되어 연령사정의 기준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문의 형성 시기는 5월이며, 초륜(初輪) 형성시의 연령은 11개월로 판명되었다. 비만도의 증감에 의해 1989년도 인천 인근의 척전산 맛조개의 산란은 연 1회, 그 시기는 6월 중으로 밝혀졌으며, 정확한 시기는 수온의 영향에 따라 해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은 착저 후 1년 동안 평균 30.94 mm로 가장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데 4년이 되면 6.2 cm까지 성장한다. 한편,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성장 방정식에 의해 각장의 성장은 $L_{t}=81.865(1-e^{-0.320(t+0.487)})$, 체중의 성장은 $W_{t}=7.173(1-e^{-0.320(t+0.487)})^3$로 유도되었으며, 이때 극한 최대각장은 81.865 mm, 극한 최대체중은 7.713 g로 채집된 최대각장 및 최대체중인 72.5 mm와 7.713 g 보다 각각 9 mm와 1 g 높게 추정되었다.

  • PDF

바윗굴, Crassostrea nippona 유생기의 사육조건과 성장 (Culture Condition and Larval Growth of the Oyster, Crassostrea nippona)

  • 유성규;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03
    • /
    • 1997
  • 바윗굴 유생 사육의 기본문제가 되는 먹이 공급시기 및 사육용기의 용량과 깊이에 따른 유생 사육을 수온 $23^{\circ}C$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윗굴 유생의 성장에 따른 형태변화는 D형 유생기에는 각장이 각고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각장의 크기가 $121.7\mu$m일 때 각고의 크기가 같게 나타났으며 이 이후 각고가 각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각장 $360\mum,\;각고\;385\mum$ 내외인 성숙 부유유생은 18일경부터 일시적으로 부착하는 개체가 나타났다. 사육용기에 따른 바윗굴 유생의 성장은 사육용기의 용량보다도 사육용기의 깊이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유생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시기는 수정후 만 1일에 공급하는 것이 좋은 성장을 보였다.

  • PDF

어릴 때부터의 운동, 인격 형성에도 도움

  • 이수희
    • 건강소식
    • /
    • 제12권5호통권114호
    • /
    • pp.24-27
    • /
    • 1988
  • 운동신경의 발달은 어린 시기에 가장 왕성하므로 충분히 걷고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 성장하면서 스포오츠를 생활화하는 기초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 PDF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혜;김영섭;강현정;감진구;전영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36
    • /
    • 2011
  • 물가자미의 표본은 동중국해 및 동해에서 중형 외끌이기선저인망에 의해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어획된 것이다. 총 389개체 표본의 오른쪽 이석을 연령형질로 사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윤문은 12~3월(주형성시기 2월), 연 1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시기는 2~4월(주산란시기 3월)이었다. 전장과 전중과의 상대성장식은 $TW=0.5091{\times}10^{-2}TL^{3,222}$ ($r^2=0.92$)로 나타났고, 암 수간의 상대성장식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46.58(1-e^{-0.14(1+1.32)})$로 추정되었다. 암 수간의 연령별 성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치어의 이석 일륜을 이용한 성장 및 산란시기 추정 (Estimation of Early Growth and Spawning Period of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ater off Namhae of Korea as Indicated from Daily Growth Increments in Otoliths)

  • 주형운;곽우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1호
    • /
    • pp.35-40
    • /
    • 2014
  • 2011년 2월부터 5월까지 경남 남해군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에 채집된 문치가자미 치어 이석을 관찰 분석하여 부화시기와 초기성장을 추정하였다. 문치가자미 치어는 2011년 2월에서 5월까지 총 175개체가 채집되었며, 체장-체중 관계식은 $W=9.76^*10^{-8}L^{4.39}$ ($r^2=0.93$)를, 체장-이석경 관계식은 L=0.0795R+0.2249 ($r^2=0.92$)로 추정되었다. 체장 성장은 $L_t=135{\exp}\{-{\exp}[0.0103(t-116)]\}$ ($r^2=0.83$)로 Gompertz 성장식이 가장 유의하게 회귀되었다. 이석 일령으로부터 추정한 주 산란시기는 12월에서 1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의 성장 1. 치어의 일령, 초기성장 및 산란시기 (Growth of Ammodytes personatus in Korean waters 1, Daily Growth Increment, Early Growth and Spawning Time in Juvenile Stage)

  • 김영혜;강용주;류동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50-555
    • /
    • 1999
  • 경남 사천시 신수도 연안에서 1988년 3월 20일부터 5월 1일까지 약 15일 간격으로 4회 채집한 표본으로부터 까나리 치어의 일령, 성장 및 산란 시기를 조사하였다. 일령 형질로는 이석을 사용하였고, 윤문은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경계로 하였다. 일륜은 1일 1개 형성되었고, 산란 시기는 1987년 11월3일부터 1988년 3월8일까지로 추정되었다. 이석경 (R)과 전장(TL)간의 관계식은 TL=25.336+232.895R이었고, 전장 (TL)과 체중 (BW)간의 상대 성 장은 $BW=1.27{\times}10^{-7}TL^{3.707}$으로 나타났다. 치어의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model에 의하면, $TL=87.80(1-e^{-0.0074(t+10.79)})$로 나타났으며 , Gompertz model에 의하면 $TL=72.59 e^{-1.8417\;e-0.0152t}$로 추정되었다.

  • PDF

사춘기 조기발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advanced puberty)

  • 박용준;문창민;유황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146-151
    • /
    • 2010
  • 목 적 : 저자들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의 사춘기 발현 시기를 조사하고, 사춘기 발현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신체검진을 통해 이차성징의 발현유무를 조사하였다. 부모의 동의와 함께 설문조사를 하여 비만도, 식생활 패턴, 생활습관, 성장촉진제품 복용여부 등을 조사하여 사춘기 조기 발현의 영향인자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170명의 학생이 선별되었으며 남녀비는 1:1.2였다. 대상 환아들의 연령은 6-9세였으며, 각 연령에서 이차성징을 보인 경우는 남아는 9세에서 2명(25.0%)이었고, 여아에서는 6세는 2명(14.3%), 7세는 6명(19.4%), 8세는 15명(39.6%), 9세는 4명(57.1%)이 이차성징을 보였다. 여아의 예측 평균 사춘기 발현 시기는 $9.11{\pm}1.86$세였다. 사춘기 발현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인 것은 비만도, 패스트푸드 섭취빈도, 성장촉진제품 복용이었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패스트푸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사춘기 발현시기가 빨랐다. 성장관련제품을 복용하는 군이 사춘기 발현시기가 빨랐으나 비만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여아의 예측 평균 사춘기 발현 시기가 $9.11{\pm}1.86$세로서 국외의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고, 사춘기 조기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비만도와 패스트푸드의 섭취 빈도였다.

수형관리 - 어린나무의 성장단계별 전정기술

  • 권영휴
    • 조경수
    • /
    • 통권126호
    • /
    • pp.51-56
    • /
    • 2012
  • 수목의 건전한 생육과 좋은 수형을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적절한 전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1~2년 동안의 생장시기에는 모든 수목의 전정 방법이 거의 같지만 2년차 겨울부터는 수목 형태에 따른 차별화된 전정이 필요하다. 좋은 수형을 위해서는 이미 수형이 정돈된 어린 나무를 구입하여 이용해도 편리하나 아직 수형이 잡혀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적절한 전정을 한다면 원하는 수형으로 가꾸어 나갈 수 있다. 수목을 고르거나 어떻게 전정할지를 결정하기 전에 먼저 원하는 수형과 부지의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목이 성장했을 때의 최대 높이와 너비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어린나무의 성장단계별 전정과 관목 및 생울타리 전정기술을 요약한 것이다.

  • PDF

업체탐방 - 이니시스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7호통권110호
    • /
    • pp.40-43
    • /
    • 2002
  • "전자지불산업의 성장은 전체 인터넷 업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전자지불업체 혼자 성공할 수 없습니다. 전자지불업체는 인터넷기업의 성공이 선행되어야만 하는 공생의 관계인 셈입니다. 최근 일부 정보통신 기업과 인터넷 기업의 부정한 사업형태가 IT 시장의 물을 흐리긴 했지만 여전히 IT산업은 미래를 거는 성장 산업임에 틀림없습니다." 이니시스 김도균 사장은 전자지불업계 전망에 대해서 아직 샴페인을 터뜨리기에는 시기상조지만,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니시스가 전자지불서비스를 시작한 1988년도는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초기시장으로써 국내에서는 전자지불서비스라는 개념도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시기였다. 이니시스는 전자지불서비스라는 새로운 분야의 시장영역을 만들어 가면서 비즈니스를 창출한 선도자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