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장관리

Search Result 2,44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s of Growth Controls on Homebuilding in California Local Jurisdictions: Focusing on the late 1980s (캘리포니아 주내 지방정부의 성장관리 규제가 주택건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80년대말을 중심으로)

  • Pillsung B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6
    • /
    • pp.906-921
    • /
    • 2003
  • This paper discusses the price effects of local growth controls on the housing markets of California jurisdictions in the late 1980s empirically. Particularly, based on spatial econometric modeling, the study focuses on the homebuilding constrained by growth controls which is one of the price effects. The modeling produces the California-wide generalizable results, differentiates among the individual effects of various growth controls on homebuilding, and covers spatial effects. Thereby, this study intends to supplement the existing work on the price effects of growth controls. The modeling results find that restrictive residential zoning ha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stricting housing construction in the late 1980s. On the other hand, urban growth boundaries had the effect of accommodating homebuilding. Population growth or housing permit caps and adequate public facility ordinanc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housing construction.

Analyzing the Influence of Policy Measures for Growth Management Plan (성장관리방안 정책수단의 영향력 분석)

  • Jeon, Byung-Ch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3
    • /
    • pp.253-26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olicy measures in a growth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regulations and incentives in a non-urban growth management plan of Sejong City using the binomial logistic model. The parcel unit data related development location of Sejong City from 2012 to 2017 was used in the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time regulation in the growth management plan has a negative (-) impact on the spread of development, which means it is effective in slowing urban sprawl by lowering the profits of developers. The time regulation applied in Sejong City needs to be used actively in other cities in Korea to prevent urban sprawl. Nevertheless, floor ratio incentives had no influence in inducing development within the growth management area, which means a new incentive policy to meet the local characteristics is needed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growth management pla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growth management plan at The National Territory Act, and this study could encourage further studies.

Land Use/Cover Classification Nomenclature for Urban Growth Analysis (도시성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

  • 김윤수;이광재;류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7-543
    • /
    • 2003
  • 도시의 물리적 성장을 분석하기Hl 원격탐사 자료는 매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할 수 있다. 도시의 물리적 성장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하여서는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 성장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 토지이용의 분류는 우선 그 기준이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고 영상의 해상도 등에 따라 달리 그 기준이 정해질 수 있다. 도시의 성장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시기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 분류를 수행하고 시기별 토지이용 변화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장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의 도시 성장을 예측할 수 있는 성장모델 개발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성장 예측모델 개발의 전 단계로써 도시의 성장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공간 해상도를 지닌 원격탐사 자료의 국내외 다양한 분류기준의 검토를 통해 토지이용 분류 기준을 도시 성장관리의 측면에서 설정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odeling for Urban Growth Management using GIS -The Case of Pa-Ju City- (GIS를 활용한 도시성장관리모델의 구축에 관한 연구 -파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II-Hoon;Cho, Kyu-Young;Chung, Won-M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3
    • /
    • pp.33-40
    • /
    • 2010
  • Many cities have provided growth management measure for preventing urban sprawl and disordered development by rapid urbanization. Many Korean cities also, have been pressed by development issues as well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aims to predict urban growth and develop Urban Growth Management Model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quantitative method.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s reasonable management method by presenting prediction scenario considered institutional-oriented and demand-oriented. This study also, provides a scientific basis using GIS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present decision making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through simulation.

A Case Study on the Urban Growth Management (도시성장관리계획 사례 고찰)

  • 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371-374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식에 있어서 도시성장관리정책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미국의 시애틀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그 성장과정과 도시계획 및 설계의 정책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제도적, 계획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시애틀의 도시성장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일찍이 도시의 녹지확보를 위한 계획과 정책, 자금확보를 수행해 왔으며, 도시성장관리 기법에 의거한 도시계획의 수립, 도시전체에 대한 포괄적 계획의 수립, 지속가능한 개발정책의 수립을 들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Roadmap of Water and Green Growth (물과 녹색성장을 위한 로드맵 구축)

  • Lim, Kwang-Suop;Chae, Hyo-Sok;Lim, Jeong-Yeol;Shin, Ye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4-454
    • /
    • 2011
  • 녹색성장은 최근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세계물위원회(World Water Council, WWC)의 경우 2012년 마르세유에서 개최되는 제6차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 WWF)에서 물문제 해결을 위한 신개념 패러다임으로서 '녹색성장(Green Growth)'을 채택하기 위한 협력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녹색성장을 국가 슬로건으로 선정하고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GGGI)를 설립하는 등 녹색성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는 물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녹색성장을 물 분야에 확산시킬 수 있는 적절한 기회로 보인다. 녹색성장은 물 관련 환경서비스가 환경오염 없는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당위성에서 파생된 최근에 만들어진 개념으로서, 물 분야의 경우 녹색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이후 지속적인 인구증가, 물 소비패턴의 변화, 에너지비용 증가, 기후 변화 등으로 물 분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물 관리는 경제발전, 재해로부터 보호,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와 삶의 질을 위하여 필수적이기에 녹색성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올바른 물 관리가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화 구체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의 패러다임으로 구축하기 위해 수자원분야에서의 녹색성장방법론을 정립하고, 선진국과 개도국 정부들의 균형 있는 참여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세계물위원회 등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연계시킨다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물관리는 국가의 경제발전, 재해로부터 생명과 재산의 보호, 인간의 건강 및 생태계 다양성 및 건전성 유지와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환경보존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성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도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올바른 물 관리가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고 구체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과 녹색성장'의 이론적 배경, 필요성, 개념정립, 벤치마킹 사례, 국제사회에서의 녹색성장과 관련한 논의 기구 및 흐름 등의 이해를 기초로 녹색성장을 통한 경제성장의 상호작용과 선순환구조를 체계화시키기 위한 균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자원 및 하천관리 분야에서의 WGG구현을 위한 정책제안 및 실행방안이 담긴 중장기 로드맵을 구축하여 물을 통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FOCUS-인재, 그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라

  • Lee, Seok-Jae
    • Venture DIGEST
    • /
    • s.32
    • /
    • pp.6-7
    • /
    • 2003
  • 벤처기업이 인력을 채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사논리로서 ‘역량 기반의 인적 자원관리’가 필요하다. 인재를 통해 장기적인 대외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성장 잠재력을 정확히 진단하고 육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역량기반의 인적 자원관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PDF

An Estimation on Development Capacity under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ies: A Case of Maryland in the U.S. (도시성장관리정책 하에서의 개발용량 추정과 정책적 함의: 미국 매릴랜드 주를 사례로)

  • Sohn, Jung-Yul;Knaap, Gerrit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1
    • /
    • pp.52-70
    • /
    • 2008
  • Using MD Property View database on 15 counties in Maryland in the U.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stimation process on the housing development capacity under the Maryland's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known as the Smart Growth Initiatives. This study also seeks to draw the implications of the estimated development capacity by individual counties o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The finding shows that this region has land for residential use enough to accommodate growth for the next 30 years. However, contrary to the goal of the Smart Growth Initiatives, a majority of development capacity is located not only outside the Priority Funding Area designated by the Smart Growth Initiatives but also at counties that are located far away from the major metropolitan area. In addressing this problem, the state does not need to either abolish or immediately expand the Priority Funding Area. Rather, the state requires local governments to include housing elements in their comprehensive planning, to provide periodic estimates on housing and employment capacity, and to establish and manage database on the location and the capacity of developable land.

제주도산 소라, Batillus cornutus의 연령과 성장

  • 장대수;정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40-341
    • /
    • 2000
  • 제주도에 주 분포하는 소라, Batillus cornutus는 제주도 연안의 암초성 패류 중 가장 대표적인 패류이다. 그간 소라에 대하여는 TAC 적용등 자원관리를 위하여 여러 조사 및 연구등이 활발하게 보고되고 있으나, 연령형질이 없는 소라의 연령과 성장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움이 많은 종이다. 따라서 연급군의 분리를 통한 소라의 성장 parameter를 추정하여 금후 합리적 자원관리를 위한 자원생물학적 특성치를 정립하기 위하여 성장식을 유도하였다. (중략)

  • PDF

Questionnaire-based analysis of growth-promoting attempts among children visiting a university growth clinic (대학병원 성장클리닉을 내원한 아동에서 설문 조사를 통한 키성장 관리 실태분석)

  • Huh, Kyoung;Park, Mi 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2 no.5
    • /
    • pp.576-580
    • /
    • 2009
  • Purpose : Growth-promoting attempts are widespread in Ko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ir prevalence or associated fact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growth-promoting attempts among children visiting a university growth clinic. Methods :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arried out with 823 children (416 boys, 407 girls) who visited the growth clinic at Paik Hospital.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10.4{\pm}2.6$ yr, and the height z-score was $-1.58{\pm}0.91$. Approximately 33.4% of the children had tried growth promotion. Among the height-gain methods, herbal medicin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37.8%), followed by health-promoting supplements (37.1%), exercise or machine (3.0%), and growth hormone treatment (2.9 %). The mean age at which the parents began to worry about their children's height was 7.7 yr. The mean age at which they started height-gain methods was 8.9 yr for herbal medicine, 9.1 yr for health-promoting supplements, 9.4 yr for exercise or machine, and 9.9 yr for growth hormone treatment. Motivating factors included advice from relatives or friends (36.0%), advertisements in the Internet or newspaper (28.4%), advice from pharmacist (16.8%), and advice from their medical doctor (5.5%). The degree of satisfaction from the height-gain methods was 29.1% with growth hormone treatment, 6.6% with exercise or machine, 6.4% with herbal medicine, and 2.8% with growth-promoting supplements. Conclusion :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 children reported use of growth-promoting methods, but the satisfaction rate was not high. The benefits of growth-promoting methods should be carefully weighed against their costs and sid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