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역할관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View on Marriage of Unmarried Women)

  • 이윤정;강석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61-767
    • /
    • 2023
  • 본 연구는 미혼여성의 결혼관, 자녀관, 성역할관, 일·가정양립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결혼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결혼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심어주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충북지역 미혼여성 50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2년 5월부터 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미혼여성의 결혼관은 2.92점(5점), 자녀관은 3.32점(5점), 성역할관 1.70점(5점),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는 2.85점(5점)으로 나타났다. 미혼여성의 결혼관은 자녀관, 일·가정양립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녀관과 성역할관이었다. 이들 변인이 결혼관을 설명하는데 48%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미혼여성들에게 결혼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ward Marri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남조;고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8-185
    • /
    • 2018
  • 최근 한국의 출산율 저하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개인의 행복이 인생의 중요한 삶의 가치로 부상하면서, 사회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비혼이나 만혼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을 조사하고,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D시에 위치한 일개 간호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관 분석에서 성별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결혼관은 자녀관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역할관은 결혼관, 자녀관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혼관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남성), 성역할관, 자녀관이었으며, 이 때 설명력은 51.9%였다. 따라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혼관과 자녀관 형성과 양성 평등적인 결혼 생활에 대한 사회적 문화를 형성하고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과 국가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예비 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양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7-18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stability of the future marriage by understanding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among pre-parents. For this purpose,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s were compared between male (N = 340) and female (N = 363) university students, Taje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Multiple-Regression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2) The most important demographical variable influencing to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was sex. 3) With reagard to the collections between the values of marriage and the positive values of child were negative. B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marriage and the preference for a son were positiv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reference for a son and the values of sex role were also positive. With reagard t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marriage and the values of sex roles were positive.

  • PDF

대학교양과정으로서 결혼준비교육의 성별에 따른 효과성 연구 (Gender and the Impact of Premarital Education Course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숙희;전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127-139
    • /
    • 2004
  • This study focused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a premarital educational program as an elective course at a university. Six hundred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course "Family and Marriage" at a university in Pusan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about attitudes toward marriage, family, love, spouse, sexuality and gender-rol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1-test, two-Way ANOVA. The results showed, first of all,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f the education on the students′ attitudes on marriage and family, when gender was not introduced as a factor. However, looking closel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the attitudes in the impact of the education. As a result, the gender gap in terms of the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the family that existed before the course was reduced after the course. Also,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love, spouse, sexuality, and gender-rol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and there were significant impacts of the course for both genders, albeit in different directions.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세 행동체계별 가족생활 영역 목표 요구도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Value and Needs on Learning Objectives of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 오윤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9-25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 둘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lceil$기술${\cdot}$가정$\rfloor$ 교과의 가족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가족가치관은 비교적 근대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 효 및 부양의식, 가족주의 가치관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근대적인 가치관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가족생활 영역 목표에 대한 요구도는 해방적 행동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술적 행동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나 해석적 행동체계와 비슷하였다. 셋째,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의 요구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기술적, 해석적 행동체계의 목표의 요구도는 가족가치관과 상관이 거의 없었으나, 해방적 행동체계의 목표 요구도는 가족가치관이 근대적일수록 높았다. 넷째,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서 여교사, 가정과목 자격 소지 교사, 젊은 교사, 교직경력이 적은 고사가 각각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근대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고 아울러 해방적 행동체계의 목표를 더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정교과가 실천 비판적인 교과라는 본질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 가족생활 교육 과정에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정과교사 교육과 재교육 과정을 통해서 성숙된 가족가치관과 가족에 대한 해방적 인식관심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lceil$기술${\cdot}$가정$\rfloor$ 교과 지도 시에 기술과 가정 영역을 분리하여 가정과교사가 가족생활 영역을 지도하는 것이 실천 비판적 관점에서의 가정과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