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암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afety Leader - 성암산업(주) 한승훈 대표이사

  • Kim, Hyo-Seo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4
    • /
    • pp.16-17
    • /
    • 2014
  • 광양제칠소 내에서 슬라브, 코일 등의 운송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성암산업(주)은 중소기업을 의심케 할 정도로 체계적인 안전보건활동을 펼치고 있는 곳이다. 안전보건 전담 인원을 3명이나 배치한 것은 물론 안전을 기업경영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다양한 안전보건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안전경영의 중심에는 한승훈 대표 이사가 있다. 한 대표이사는 성암산업(주)에 취임한 후 바로 현장 속으로 들어가 근로자와 함께 현장밀착형 안전관리를 전개해나갔다. 그 결과 국내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최고의 안전사업장이라는 명예를 걸고 치열한 경합을 벌였던 '2013년도 안전경영대상'에서 종합대상을 차지하는 영예를 얻었다. 안전경영으로 무재해 현장을 조성하고 있는 한승훈 대표이사를 만나봤다.

  • PDF

Petrochemistry of Garnet-bearing Metabasite in Marble at Shinri area in Hongseong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홍성 신리 지역 대리암 내 함석류석 변성염기성암의 암석지화학 연구 및 그 지구조적 의미)

  • Kim, Sung-Won;Koh, Hee-Jae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3
    • /
    • pp.209-225
    • /
    • 2010
  • The Shinri area near the Yedang Lake, the eastern part of the Hongseong area in SW Gyeonggi Massif, consists of the Neoproterozoic Duckjeongri granodiorite-tonalite, mylonitized amphibole-bearing orthogneiss and impure marble with lens-shaped garnet-bearing metabasites. In this paper, we report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data of Neoproterozoic lens-shaped garnet-bearing metabasites within marble of the Shinri area. The $SiO_2$ contents of garnet-bearing metabasites in marble vary between ~46.98 and 51.17 wt%, and the $Na_2O$ + $K_2O$ contents fall between ~1.95 and 2.85 wt%, similar to the tholeiitic sub-alkaline basaltic rocks. In the Zr/Y vs. Zr diagram, garnet-bearing metabasites also plot in the subalkaline basaltic rocks. The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for Shinri garnet-bearing metabasites show relatively flat patterns to that of chondrite. They show slight LREE-enriched and depleted patterns. The major and trace element data from lens-shaped garnet-bearing metabasites in marble of the Shinri area suggest that these rocks were formed in within plate. In contrast, previous major and trace element data of high pressure type garnet-bearing metabasites from the mafic-ultramafic complex in the Baekdong and Bibong areas suggest that these rocks were formed in a nascent arc to backarc spreading center within subduction zone setting. Based on mineral assemblage and mineral chemistry, P-T estimates for Shinri garnet-bearing metabasites are 9.6-12.7 kb, $695-840^{\circ}C$ for inclusions in the core, and 9.6-13.6 kb, $630-755^{\circ}C$ for those in the rim. These P-T estimates are distinct from those of the Baekdong and Bibong garnet-bearing metabasites with isothermal decompressional retrograde P-T path. In addition to Triassic tectonic activity previously reported in the Shinri area of Hongseong, the details of metamorphic history such as protolith age and Neo-Proterozoic metamorphic episode need to be solved.

백동지역 변성염기성암과 그 주변암에서의 고생대 후기 변성작용과 그에 대한 지구조적 의미 해석

  • 오창환;전은영;최선규;송석환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3-144
    • /
    • 2001
  • 경기육괴의 남서부에 해당하며 옥천구조대의 북쪽에 위치한 백동-홍성 일대의 충청남도 일원에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복합체내에 초염기성암체들이 소규모 렌즈상의 암체로 이 지역에 우세한 구조선 방향인 북북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산출된다. 이들 초염기성암채들이 조산대에 형성되는 알파인형이며 전형적인 상부 맨틀기원의 암석이 부분용융된 맨틀 잔여물로서 지표로의 이동과정에서 변성작용을 받아 대부분은 사문석화 혹은 활석화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의 주대상인 변성염기성암을 포함하는 백동지역의 초염기성암은 홍성도폭내 덕정리 편암암체 내에 주변 편마암체와 단층으로 접하면서 나타난다. 덕정리 편마암체는 주로 각섬석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어있다. 백동지역의 초염기성암내에는 변성염기성암이 층상으로 협재되어 나타난다. 이들 변성염기성암은 석류석, 단사휘석, 각섬석, 사장석으로 주로 이루어진 석류석 각섬암이며 금홍석도 포함하고 있다. 많은 석류석 주변에는 사장석과 각섬석으로 이루어진 심플렉타이트가 발달되어있다. 석류석 각섬암내 심플렉타이트가 형성되지 않은 석류석 가장자리로부터 계산된 변성 온도-압력 조건은 590-72$0^{\circ}C$, 9-l0kb이며 심플렉타이트가 잘 형성된 석류석 주변부로부터는 490-$600^{\circ}C$, 4-6.3kb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이 계산되었다. 이에 반해 변성염기성암을 포함한 초염기성암체 주변에 나타나는 석류석-각섬석 화강편마암으로 부터는 570-78$0^{\circ}C$, 11.6-l6kb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을 얻었다. 석류석 각섬암에서 석류석내에 포획물로 나타나는 휘석(Xjd, 4-11)이 기질에 나타나는 휘석(Xid, 1-6)보다 높은 제이다이트 성분을 갖는다. 이는 석류석 중심부가 석류석 주변부보다 변성압력 조건이 높았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즉 연구지역의 석류석 각섬암은 주변의 각섬석 화강편마암과 같이 에콜로자이트상-상부각섬암상-고압백립암상의 점이대에 해당하는 변성작용을 받은후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시기에 1차 후퇴변성작용을 그리고 그후의 활석화 시기에 심플렉타이트를 형성하는 2차 후퇴변성작용을 받았다. 이러한 후퇴변성작용시기에 많은 유체가 침입하였고 그 결과 초염기성암내의 변성염기성암이 주변 화강편마암보다 후퇴변성작용을 강하게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변성염기성암의 변성연대를 구하기 위해 두 석류석 각석암 시료에 대해 석류석-전암 Sm-Nd 등시선 연령을 구하였다. 두 개의 석류석 각섬암으로부터 계산된 전암-석류석 연령은 297.9$\pm$5.7(2$\sigma$)Ma 그리고 268.7$\pm$3.3(2$\sigma$)Ma를 나타낸다. 석류석의 Sm-Nd 폐쇄온도가 700-75$0^{\circ}C$임을 고려할 때 두 석류석 각섬암으로부터 계산된 연대는 최고 변성작용 혹은 초기 냉각 시기를 지시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전암의 두 동위원소 자료로부터 계산된 전암의 연령은 408Ma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구지역의 석류석 각섬암이 시루리아기 후기 혹은 데본기 초기에 관입 후 석탄기 후기에서 페름기 중기에 주변 화강편마암과 함께 섭입작용을 받았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 PDF

Odor Dispersion Modeling Methodology for Control and Prediction via SeongAm Sanitary Landfill (성암 위생 매립지의 악취오염 제어 예측을 위한 분산모델링 방법론)

  • 이경래;김진석;이현옥;이학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13-414
    • /
    • 1999
  • 이미 선진국에서는 악취오염의 문제가 대기오염 문제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악취는 황화수소(H$_2$S), mercaptan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냄새 감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서 정의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의 쓰레기ㆍ폐기물 매립장(삼산/성암/온산)중에서 성암 쓰레기 매립장의 악취 오염도를 분산모델링을 이용한 방법론 개발과 인근 주민의 피해를 예측함과 아울러 차후의 쓰레기ㆍ폐기물 매립장 건설에 있어서 악취오염 제어 및 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중략)

  • PDF

보은 지역의 온천 변성염기성암에 대한 암석.지구화학적 연구

  • 권성택;이동호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2
    • /
    • pp.104-123
    • /
    • 1992
  • We present petrography, mineral chemistry of amphibole and plagioclase, and major and trace element chemistry for the Ogcheon metabasites occurring in the Poun and Mungyong areas to understand metamorphism, and to defin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rental rocks and their implication for tectonic environment. The Ogcheon metabasites often preserve relict igneous textures, although no primary phases are observed. They are mainly composed of amphibole (actinolite+hornblende)+plagioclase+epidote+chlorite+sphene+opaque oxides, indicating epidote amphibolite facies metamorphism. Coarse-grained amphiboles frequently have actinolitic composition in the core, and hornblende along the margin and cleavage, which can be interpreted either as miscibility gap or as result of polymetamorphism. Although presumed polymetamorphic events in the Ogcheon supergroup favor the latter possibility, further metamorphic studies are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Amphibole and plagioclase chemistries suggest greenschist (epidote-amphibolite, if miscibility gap is present) to amphibolite facies metamorphism of possibly medium pressure. The major and trace element data of whole rocks indicate that the Ogcheon metabasites are transitional to tholeiitic basalts belonging to within-plate environment. Absence of evidences indicating deep sea environment suggests that the Ogcheon metabasites emplaced in an intra-cratonic, possibly rift environment which failed to proceed to an oceanic rift. Chemical variation of the metabasites toward a granitic pluton indicates K loss closer to the pluton, suggesting that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K is involved in a discussion.

  • PDF

Magnetic Properties of Basic Rock in the Seaside Area of Ulleung Island (울릉도 해안지역 염기성암의 자기적 성질 연구)

  • Yoon, In-Seop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0 no.4
    • /
    • pp.153-159
    • /
    • 2010
  • Magnetic properties of basic rocks samples distributed in the seaside area of Ulleung island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M$\ddot{o}$ssbauer spectroscopy and SQUID magnetometer. We found that samples were typical basic rock which had the total amount of iron compounds varies from 10.6 wt% to 14.5 wt% depending on the different regions by XRF. The M$\ddot{o}$ssbauer spectra and magnetic hysteresis behaviors of the samples show ferromagnetic properties due to hematite. Also, temperature dependences of magnetization at applied magnetic field of 1 T for samples show magnetic transitions at 41 K~60 K.

Metamorphic Evolution of Metabasites and Country Gneiss in Baekdong A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백동지역의 변성염기성암과 주변 편마암의 변성진화과정과 그 지구조적 의미)

  • 오창환;최선규;송석환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3_4
    • /
    • pp.103-120
    • /
    • 2002
  • In the Baekdong-Hongseong area,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in Korea, ultramafic rocks occur as lenses within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t Baekdong area, ultramafic lens contains metabasite boudin which had undergone at least three stages of metamorphisms. The mineral assemblage on the first stage, Garnet+Sodic Augite+Hornblende+Plagioclase+Titanite, is recognized from the inclusions in garnet. The second stage is represented by the assemblage in matrix, Garnet+ Augite+Hornblende+Plagioclase, while the third stage is identified by the Hornblende+Plagjoclase $\pm$ Garnet assemblage in the symplectite formed around garnet. The P-T conditions of the first and the third stages are $690-780^{\circ}C$, 11.8-15.9 kb and $490-610^{\circ}C$, 4.0-6.3 kb, respectively. These data indicate that metabasite in Baekdong area had experienced a retrouade P-T path from the eclogite(EG) - high-pressure granulite (HG)-amphibolite (AM) transitional facies to the AM through HG-AM transitional facies. The core and rim of garnet in country granitic gneiss give $605-815^{\circ}C$, 10.7-16.0 kb and $575-680^{\circ}C$, 5.4-7.0 kb,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retrograde P-T path of granitic gneiss is similar to that of metabasite. Trace element data reveals that the tectonic setting of metabasite is island uc. The general geology, the metamorphic evolution, the mineral chemistry and the tectonic setting of Baekdong area indicate that the Baekdong-Hongseong area in Korea is a possible extension of the Sulu collision Belt in China. On the other hand, the Sm-Nd whole rock-garnet isochron ages of metabasites are 268.7-297.9 Ma which are older than the ages of UHP metamorphism (208-245 Ma) in the Dabie-Sulu Collision Belt. The older metamorphic ages suggest that collision between Sino-Korea and Yangtz plates may have occurred earlier in Korean Peninsula tha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