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숙대사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초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의 성숙기 난모세포 스테로이드 대사에 미치는 Nonylphenol과 2,2',4,6,6'-Pentachlorobiphenyl의 효과 (Effects of Nonylphenol and 2,2',4,6,6'-Pentachlorobiphenyl on In Vitro Steroidogenesis in Maturing Oocytes of Ribbed Gunnel, Dictyosoma burgeri)

  • 황인준;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2호
    • /
    • pp.115-1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nonylphenol(NP)과 2,2',4,6,6'-pentachlorobiphenyl(PCB104)이 성숙한 그물베도라치의 난소 스테로이드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물베도라치의 성숙란을 방사 표지된 스테로이드 전구물질인 $[^3H]-17{\alpha}$-hydroxyprogesterone($[^3H]-17{\alpha}OHP$)와 함께 NP와 PCB104를 각각 100 ng/$m{\ell}$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과 난모세포로부터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추출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주요 스테로이드 대사물질로는 testosterone(T)과 estradiol-$17{\beta}$(E2)로 확인되었다. NP는 난경 1.1, 1.3 그리고 1.4 mm인 난모세포에서 T로의 대사를 저해하였으나, 난경 1.2, 1.3 그리고 1.4 mm인 난모세포에서는 E2로의 대사를 저해하였다. PCB104는 모든 난경의 난모세포에서 T로의 대사를 저해하였으며, 난경 1.2, 1.3 그리고 1.4 mm인 난모세포에서는 E2로의 대사를 저해하였다. 결론적으로, NP와 PCB104는 그물베도라치의 난모세포 성숙 과정에 있어 $[^3H]-17{\alpha}OHP$로부터 T와 E2로의 전환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 난모세포의 성숙과정에서 Phosphatidylinositol 대사의 기질 및 억제인자의 영향 (Influence of the Substrate and Inhibitors Related to Phosphatidylinositol Metabolism in the Maturation Processes of Porcine Oocytes)

  • 강승률;양보석;조인철;이성수;정진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1-98
    • /
    • 2001
  • 본 연구는 phosphatidylinositol 대사의 기질 및 억제물질이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 성숙·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난모세를 inositol (250 mM) 첨가 또는 무첨가한 mTLP-PVA 배양액에서 46시간 체외배양하였다. 성숙이 완료된 난모세포는 신선 돼지정액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mTALP-PVA 배양액에서 체외수정을 시켰다. 수정 후 6시간에 이들 난모세포를 10% 혈청을 첨가한 TCM-199 배양액에서 추가로 12시간 배양하였다. 제 2성숙분열중기로 성숙한 남모세포의 비율은 대조구 (67.3%)에 비하여 inositol (81.4%)을 첨가하여 46시간 체외성숙시킨 난모세포에서 더 높았다 (P<0.05). 체외수정 후 18시간에 웅성전핵 형성율은 대조구의 27.3%보다 inositol (42.0%)을 첨가한 배지에서 성숙시킨 난모세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P<0.05). 난모세포의 성숙에 대한 inositol의 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LiCl (10 mM) 또는 dbcAMP (0.5 mM)를 첨가한 배지에서 난모세포를 배양하였을 때, 이들 두 약제는 난모세포의 성숙을 억제하였다 (P<0.05). 그러나 이 두 약제의 억제작용은 inositol 첨가에 의해 해제되어 대조구 수준까지 성숙율이 개선되었다. DbcAMP와 verapamil은 상승작용을 하여 난모세포의 성숙을 억제하였다. Verapamil을 단독으로 첨가하였을 때, 난모세포의 성숙분열 개시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제 2성숙분열중기로의 성숙은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nositol 첨가에 의해 PI-Cycle이 활성화되어 간모세포의 핵 및 세포질 성숙과 막의 변화가 유도되어 난모세포의 성숙이 inositol 첨가에 의해 개선되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 PDF

무지개송어 (Oncorhvnchus mvkiss) 난소여 포의 협막층 (Theca layers)을 통한 스테로이드 대사 분석 (Analysis of steroid metabolism in the ovarian theca layers of rainbow trout, Oncorphynchus mykiss.)

  • 백혜자;이택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3
    • /
    • 1993
  • 난모세포성숙기 (peripheral germinal vesicle stage)의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를 대상으로 방사성 표지 전구체(3H-pregnenolone, 3H-l7$\alpha$-hydroxyprogesterone 그리고 3H-androstenedione)를 이용하여 유 nitro에서 관찰한 협막세포층의 스테로이드 주 대사 경로는 다음과 같으며, pregnenolone -) 17a-hydroxypregnenolone$\longrightarrow$ 17u-hydroxyprogesterone $\longrightarrow$ androstenedione $\longrightarrow$ testosterone 이는 $\Delta$5-스테로이드 경로의 존재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 PDF

Inositol이 돼지 난포란의 성숙에 미치는 영향

  • 조인식;이상미;정영희;강승률;문승주;강만종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95-95
    • /
    • 2003
  • Inositol은 세포의증식 및 정보전달과정에 관여하는 phosphatidylinositol (PI)의 구성성분으로서 중요한 세포내 기능을 수행한다. P1는 세포내에서 특이적 인산화효소에 의하여 Pl4-phosphate(PIP), Pl4,5-phosphate($PIP_2$)로 변환되며 PIP$_2$는 phospholipase C(PLC)에 의하여 세포내 second messengers인 1,2-diacylglycerol (DAG)와 inositol 1,4,5-triphosphate ($IP_3$)로 변환된다. 이렇게 생산된 DAG와 IP3는 각각 protein kinase C의 활성과 $Ca^{2++}$의 동원에 관여하여 다양한 세포내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mouse에서 $IP_3$의 작용에 의한 $Ca^{2++}$의 상승은 난모세포의 성숙분열이 촉진되고 돼지 난포세포에 있어서도 PI대사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미성숙 난모세포의 성숙과 단위발생에 미치는 inositol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nositol의 농도가 난포란의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난포란을 각각 $150 \mu mole$, $250 \mu mole$, $350 \mu mole$, inositol을 포함하는 Whitten's 배양액에서 44시간 성숙시킨 결과 $93.57 \pm 4.21, 93.91 \pm 2.71, 92.96 \pm 3.58%$가 성숙되어 대조구의 $87.10 \pm 4.21$보다 유의적(P<0.05)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난포란의 등급에 따른 inositol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태적으로 난구세포가 치밀한 난포란과 난구세포가 치밀하지 않은 난포란을 $250 \mu mole$ inositol을 포함하는 Whitten's 배양액에서 성숙을 유도한 결과 난구세포가 치밀한 난포란과 난구세포가 치밀하지 않은 난포란에서 inositol을 첨가하였을 때 성숙율은 각각 $95.35 \pm 2.22와 63.55 \pm 8.12$로 inositol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89.21 \pm 3.69와 48.56 \pm 8.99$)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난구세포가 inositol에 의한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구세포를 제거한 난포란을 inositol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성숙을 유도한 결과 inositol을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양호한 성숙율을 보였다.

  • PDF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성숙기 난모세포에서의 $C_{21}$-스테로이드 생성 (Production of $C_{21}$-Steroids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during Oocyte Maturation)

  • 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107-112
    • /
    • 2008
  • 점망둑의 난모세포 성숙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요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C_{21}$-스테로이드를 분석하고자 전구물질 $^3H-17{\alpha}hydroxyprogesterone$ ($^3H-17{\alpha}OHP$)를 성숙기 난모세포(난경 $0.74{\sim}0.97\;mm$) 배양초기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스테로이드 대사물질 분석과 동정은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s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로 이루어졌다. $^3H-17{\alpha}20{\alpha}P$로부터 생성된 주요 성 스테로이드 대사물질은 $17{\alpha}$-hydroxy, $20{\alpha}$-dihydroprogesterone ($17{\alpha}20{\alpha}P$)와 $17{\alpha}$-hydroxy, $20{\beta}$-dihydroprogesterone ($17{\alpha}20{\beta}P$)로 확인되었다. 이들 대사물질은 난경 0.80 mm 이상에서 관찰되었으며, GVBD (germinal vesicle breakdown) 유도 효능 테스트에서 점망둑의 난모세포는 $17{\alpha}20{\beta}P$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점망둑의 난소성숙 과정에 $17{\alpha}20{\alpha}P$$17{\alpha}20{\beta}P$이 모두 관여하나, MIS (maturation inducing steroid)로서의 가능성은 $17{\alpha}20{\beta}P$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체외성숙 과정 중 생쥐와 돼지 난자의 Malate Dehydrogenase(Mor2)의 기능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Functional Analysis of the Malate Dehydrogenase(Mor2)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the Mouse and Porcine Oocytes)

  • 김은영;김경화;김윤선;이현서;김유나;이경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63-272
    • /
    • 2007
  • 생쥐의 난자는 특별한 첨가물이나 난구세포 없이 체외 배양해도 성숙율이 높은 반면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매우 낮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연구하기 위하여 생쥐와 돼지 난자의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alate dehydrogenase(Mor2)의 기능을 RNAi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생쥐와 돼지 각각의 Mor2 double-stranded RNA(dsRNA)를 제작하고, 생쥐는 난구세포를 제거한 미성숙(GV) 난자의 세포질에 mMor2 dsRNA를 미세 주입한 후 1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돼지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거나(DO) 혹은 그대로인 상태(COCs)로 pMor2 dsRNA를 미세 주입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사용한 배양액은 M199에 10%의 porcine follicular fluid, pyruvate, p-FSH, EGF, cystein, estradiol-$17{\beta}$ 등이 첨가된 배양액을 사용하였고, 배양 후 난자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Mor2 mRNA양의 변화를 RT-PCR로 확인하여 RNAi 결과, 염기서열 특이적으로 Mor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돼지 난자의 pMor2 RNAi 결과, DO 난자에서는 약 58%의 난자가 MI에서 성숙이 억제되었으나, COCs에선 84.4%가 MII로 성숙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돼지의 난구세포가 난자 성숙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malate 공급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한다. 선행 연구 Mor2 RNAi 결과, 생쥐는 GV에서, 본 연구에서 돼지는 MI에서 성숙이 정지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배양액의 차이인지 다시 mMor2 RNAi 후 생쥐 난자를 M199 배양액에 1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성숙율을 관찰하였더니 MII로의 성숙율은 62%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non-injected: 76.8%, buffer-injected: 73.3%). 이는 mMor2 RNAi 결과가 배양액의 조성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다. 생쥐와 돼지에서 서로 다른 대사과정을 갖고 있음은 바로 이 두 종에서의 체외성숙율 차이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두 종에서의 난자와 난구세포간의 상호작용 및 대사 경로 등에 관한 심도 깊은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하여 돼지의 체외성숙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양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온에 의한 변색단계별 '홍로' 사과의 착색 및 당 축적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Expression of Genes Affecting Skin Coloration and Sugar Accumulation in 'Hongro' Apple Fruits at Ripening Stages in High Temperatures)

  • 김선애;안순영;윤해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5
    • /
    • 2016
  • 고온은 사과(Malus domestica Borkh) 과실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 중 하나이다. 착색기의 '홍로' 사과 과실을 3단계로 구분하여 Real-time PCR을 통해 온도조건에 따른 안토시아닌 합성과 당 축적 관련 유전자의 발현 차이를 조사하였다. 당 합성관련 유전자인 ${\beta}$-amylase(BMY)와 polygalacturonase(PG)의 발현은 변색 시작단계보다 마지막 단계에서 월등히 높았다. 과피의 착색과 관련있는 phenylalanine ammonia-lyase(PAL), chalcone synthase(CHS), flavanone 3-hydroxylase(F3H)와 malate dehydrogenase(MDH)유전자는 변색 초기작단계에서는 고온 처리 24시간후에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변색 중간단계에서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색단계별로 보았을 때 $25^{\circ}C$처리구가 다른 온도처리구보다 발현 정도가 더 높았으며, 변색 시작단계보다 마지막 단계에서의 발현이 강하게 유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착색 초기단계의 과실이 고온스트레스가 가장 영향을 끼치므로 착색초기단계의 과실을 이용하여 전사체를 분석하면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사과의 성숙대사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