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산유역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umping (지하수 개발 및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분석)

  • Kim, Min-Chul;Yang, Sung-Kee;Ja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8-248
    • /
    • 2015
  •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재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는 전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로 사용되어 면적 대비 많은 지하수관정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용수이용에 따른 고갈 및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분석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제주지역의 지하수위는 계절적 변동특성이 확연히 나타나지만 평시에는 큰 변동이 없는 지하수위 수준을 보이며, 실제 지하수 이용률은 허가량의 30%이하로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변동은 크게 체감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재해 발생 시 기존 사용량을 초과 양수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지하수위는 급격하게 하강되고, 제주 수자원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지속적인 지하수 개발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수위변동 분석이 가능한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199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주기 양수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3년 이전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55개소, 2003년까지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108개소로 지하수 개발은 약 1.9배 증가되었으나 양수능력을 적용하여 지하수위 변동을 분석한 결과 2.5배~3.1배 하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하수 개발은 유역 상부에 집중되었으며 상류부 지하수 양수에 따라 해안지역의 지하수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제주도 성산유역의 담수와 염수 지하수 개발의 영향)

  • Park, Namsik;Koh, Byoung-Ryoun;Lim, Youngduc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7
    • /
    • pp.783-794
    • /
    • 2013
  • Saline groundwater, in addition to fresh groundwater, is actively developed for inland aqua culture in Jeju Island where groundwater is practically the only source of freshwater. In this work we analyzed impacts of saline and fresh groundwater development on groundwater systems in Sungsan subwatershed in Jeju. A sharp-interface model was used to simulate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flows. Withdrawal of freshwater imparted adverse impacts by lowering groundwater level and inducing saltwater encroachment. Withdrawal of saline water imparted mixed results: on one hand it lowered ground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it reduced saltwater encroachments. However, freshwater development lowered groundwater level much more than salinewater development did. Modified Ghyben-Herzberg ratio was developed for a transition zone with finite width. Comparison against observed data resulted in fair agreement.

Future climate change of Jeju Island according to SSP scenarios (SSP 시나리오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 미래 기후변화 전망)

  • Kim, Chul-Gyum;Cho, Jaepil;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4-414
    • /
    • 2022
  • 본 연구는 2022년도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 부존현황 조사 및 분석 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수행되었습니다.최근 IPCC 제6차 평가보고서(AR6)에 새롭게 적용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 미래 기후변화를 강수량, 기온, 기준증발산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미래의 기후변화 자료로서 19개의 GCM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4개의 SSP 시나리오(SSP1-2.6, SSP2-4.5, SSP3-7.0, SSP5-8.5)를 활용하였다. 제주도 지역의 3개 기상청 ASOS 지점(제주, 성산, 서귀포)을 대상으로 상세화된 기후변화 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별 및 지역별 미래 전망을 분석하였다. 기준증발산량은 기온자료만을 이용하는 Thornthwaite 방법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으며, FAO-56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과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공간적 보정계수를 적용하였다. 과거기간(1985~2014년)을 기준으로, 미래기간(2021~2095년)을 3개 구간(2021~2045년, 2046~2070년, 2071~2095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주도 전체에 대한 평균적인 전망은 대부분의 SSP 시나리오에서 강수량, 기온, 기준증발산량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SP1-2.6 시나리오에서만 기온과 기준증발산량이 미래 전반기(2021~2045년)에는 크게 증가하다가 중반기(2046~2070년)와 후반기(2071~2095년)에는 비교적 일정한 것으로 전망되었다. 과거기간과 비교하여 미래 후반기 SSP5-8.5 시나리오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강수량은 17%, 기온은 38%, 기준증발산량은 58%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로는 제주 지점이 다른 2개 지점(성산, 서귀포)에서보다 더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제주 지점의 경우 SSP5-8.5 시나리오에서 연 강수량은 19%, 평균기온은 42%, 기준증발산량은 7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되는 크기는 강수량은 서귀포, 성산, 제주 지점 순으로 전망되었으며, 기온과 기준증발산량은 반대로 제주, 성산, 서귀포 순으로 증가량이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GCM 모형에 따라 전망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래 대응이 필요하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for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Overflow and Break at Vulnerable Levee in the Han River (월류 및 파제에 따른 한강제방 취약지역의 홍수범람모의)

  • Park, Sung Woo;Lee, Jin Woo;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3-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강제방 취약구간인 성산대교와 잠실철교 부근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을 수치모의 하였다. 사용된 수치모형은 스위스의 Beffa에 의해 개발된 FLUMEN(FLUvial Modeling ENgine)으로서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홍수범람해석에 사용된 바 있는 모형이다. 제방 취약지역은 한강 하천정비기본계획(2002)과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관한 연구용역(2단계 4차년)에 제시된 HEC-RAS 부등류 해석에 의해 계산된 홍수위와 기존 제방의 높이를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범람모의를 위해 HEC-RAS 부정류 해석을 통해 경계조건을 산정하고, FLUMEN을 이용하여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범람모의와 파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파제에 따른 범람모의를 실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제방 취약지역에서 월류로 인한 범람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일부 주거지역이 침수되었다. 가상 파제시나리오를 통한 수치모의 결과에서 여의도에서 $2.179km^2$의 넓은 지역에 침수현상이 계산되었으며, 최대 침수심은 5.054m로 성산대교 남단의 가상 파제 시나리오에서 계산되었다. 수치모의 결과 FLUMEN은 한강유역의 범람모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홍수 방어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홍수 취약지역의 선정과 수공구조물의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 된다. 정확도를 높이려면 보다 정밀한 제내지, 제외지의 측량자료의 적용, 내수 침수모형과의 연계, 조밀한 불규칙 삼각망의 작성이 필요하며, 국내실정에 맞는 정확한 적용기준마련과 유역의 수리학적 특성이 고려된 홍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고 보다 정확한 조도계수의 산정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인위적·자연적 요인에 따른 제주도 농업용수 과부족 전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의 용수공급 보장량을 기준으로 미래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인위적인 요인으로서 작물재배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적인 요인으로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였다. 제주도의 유출특성과 지질특성, 물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물수지 기반의 순물소모량 개념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농업용수 보장량(공급량)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관리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는 값을 적용하였다. 순물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 및 잠재증발산량 등은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위적인 변화로서 2020년 작물재배면적 추정치를 적용하여 용수 과부족을 분석한 결과, 구좌읍과 성산읍 2개 지역에서 수요량이 보장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존의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을 적용했을 때에는 제주시 동지역, 구좌읍, 조천읍, 서귀포시 동지역,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등 9개 지역에서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nage) CMIP5(the fifth phas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중 9개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2010~2099년)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앞서 적용한 2020년 재배면적 추정치와 보장량을 기준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 결과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좌읍과 성산읍을 제외하고는 수요량 대비 보장량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은 RCP 8.5 보다는 RCP 4.5 시나리오에서의 보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개 시나리오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보장률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분석은 재배면적의 변화가 없이 단순히 기상조건의 변화만을 적용한 전망으로서, 향후 실제 기상여건과 재배면적, 물이용, 용수공급체계, 물관리 정책방향 등의 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n Groundwater Flow According to Low Permeable Layer Structure over Seongsan Watershed of Jeju Island (제주도 성산유역의 저투수층 구조에 따른 지하수 흐름 분석)

  • Kim, Min-Chul;Yang, Sung-Kee;Oh, Seung-Tae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24 no.4
    • /
    • pp.449-459
    • /
    • 2015
  • The depth of low permeable layer in Jeju Island was analyzed using the geologic columnar section data. The highest low permeable layer was found in center of Mt. Halla and the deepest area was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The study area, Seongsan watershed,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Jeju where the low permeable layer showing deep in a northward direc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MODFLOW modeling was performed for groundwater flow of Seongsan watershed. The boundary of Seongsan watershed was set up as a no-flow and the modeling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0.26~0.62 m compared to the observed groundwater level. Meanwhile, MODFLOW model results considering low permeable layer showed -0.26~0.36 m differences compared to groundwater level and indicated more accurate than no-flow method result. Therefore, to interpret the groundwater flow over Seongsan watershe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including the low permeable layer distribution below the basalt layer is needed.

Derivation of the Risk-Safety Factor Relation for Optimal Storm Sewer Design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최적 배수관망 설계를 위한 Risk Safety Factor 관계의 설정)

  • Kim, Mun Mo;Lee, Won Hwan;Cho, Won Ch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4
    • /
    • pp.129-134
    • /
    • 1992
  • This paper presents the relation between risk and safety factor for optimal storm sewer design in urban area. For reliability analysis of the storm sewer, uncertainty of the various parameters of constituting equation determining the capacity and load of storm" sewer is considered and risk is determined.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Seongsan detention reservoir basin which area is $381,000m^2$ Darcy-Weisbach equation is used for determining capacity of the storm sewer and rational formula is used for determining load. Safety factor representing ratio of the sewer capacity and design flowrate is calculated, and relating with risk. Then risk and safety factor with return period is obtained and it is used for optimal design of storm sewer.

  • PDF

Application of Flux Average Discharge Equation to Assess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in a Coastal Aquifer (연안 대수층의 해저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유량 평균 유출량 방정식의 적용)

  • Il Hwan Kim;Min-Gyu Kim;Il-Moon Chung;Gyo-Cheol Jeong;Sunwoo Cha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1
    • /
    • pp.105-119
    • /
    • 2023
  • Water supply is de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coastal and island regions are highly dependent on groundwater, reducing the amount of available water.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in coastal and island region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iagnose the current condition and efficiently distribute and manage water. For a precise analysis of the groundwater flow in the coastal island region,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was calculated for the Seongsan basin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Two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the thickness of the fresh groundwater. One method employed vertical interpolation of measured electrical conductivity in a multi depth monitoring well; the other used theoretical Ghyben-Herzberg ratio. The value using the Ghyben-Herzberg ratio makes it impossible to accurately estimate the changing salt-saltwater interface, and the value analyzed by electrical conductivity can represent the current state of the freshwater-saltwater interface. Observed parameter was distributed on a virtual grid. The average of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fluxes for the virtual grid was determined as the watershed's representative flux.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and flux distribution by year were also calculated at the basin scale. The method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estimated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from 2018 to 2020 to be 6.27 × 106 m3/year; the method using the Ghyben-Herzberg ratio estimated a discharge of 10.87 × 106 m3/year.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policies that determine sustainable water supply by using precise water budget analysis in coastal and island areas.

Assessment of a fres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eastern Jeju Island using analytic seawater intrusion models (해수침투 해석해 기반 제주 동부 담해저 지하수 유출의 정량적 산정)

  • Kim, Il-Hwan;Chang, Sun 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1011-1020
    • /
    • 2022
  • Previous studies for the assessment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were perfomed for areas where a large amount of SGD was observed. Newly developed assessment methods were proposed that was based on an analytic solution using sharp interface model. The proposed mathematical equations used the existing observed groundwater level and hydrogeological data of Jeju Island as input data. The quantitatively assessed FSGD values were compared to the basin-scale recharge estimation values in Seong-San area in eastern Jeju.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FSGD in the Seongsan area ranges from about 2.65 to 9.15% of the amount of areal-rechar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SGD combined with the analytic model, it is to be provided as a scientific tool to establish a more reasonable coastal water resource management plan.

A STUDY ON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먹이 조사)

  • PAIK Eui-I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 no.1
    • /
    • pp.47-62
    • /
    • 1969
  • A goby,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food consumed and the biological change of the food organisms, and the fish were sampled from the closed tributary and the lower Part of the Naktong River, near Pusan,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of 1967 to December of 1968. The fish were sampled from four stations (Fig. 1), the total number of fish being 1,295 and they were grouped and analysed monthly. The content of the alimentary canal was analysed in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modified Nilsson's method (Dahl 1962) with a slight alteration: 1) The number of each item of stomach contents was counted and the percentage of each item in proportion to the total number of food organisms is indicated by the letter 'N' representing numerical percentage in Table 2. 2) The percentage of fish which contained any items of food organisms in proportion to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in a given season is indicated by the letter 'O' representing frequency of occurrence. 3) Dominant groups of food items were selected and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each dominant item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e food organisms belonging to the dominant groups is indicated by the letter 'D' representing dominance. All food organisms were classified in 50 food item categories and then they were grouped in 13 main groups (Fig. 2-1), and they were further divided into 1) obligatory bottom animals, 2) organic drifts and 3) actively swimming form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nimal communities within the habitat. Since the majority of its food was composed of the obligatory bottom animals ($94.6\%$), the fish appeard to be a typical bottom feeder. And the dominant food organisms of the fish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local composition of the benthic fauna within the fish habitat. And their seasonal rhythm occurs among the food organisms in the stomach by the biological interaction. Locality variation in the population of the same food organism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of food organisms in the habitat of the fish at Seonam and Garak, and at Seongsan and Hadan the condition of the niche for the fish in the both regions seems to be the same since the composition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organisms were the same.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oby mainly feed on the animals of bottom fauna, and the food organisms are deter-mined by the food compositions within the habitat. 2) Seasonal variation of the stomach content shows the seasonal rhythm due to the biological varia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ir interaction. 3) The goby shows no preference on specific food, and the food is composed of a variety of animals. 4) Major food items of the goby are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ridea, Insecta (nymphs and larvae), Ilyoplax deschampsi, and Paratye compressa. 5) Logitudinal succession oil the population of the food organisms is apparently recognized within the community of Seongsan, Garak and Seonam. 6) The goby begins to descend toward the estuary and sea around April when the water temperature reaches $20^{\circ}C$, and they begin to return to river waters in Septemb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