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별 비교

Search Result 1,819,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소 배아의 Karyotyping과 Blastomere-PCR의 성별 분석의 비교

  • 장석민;신영민;이종호;박중훈;임경순;박창식;진동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92-292
    • /
    • 2004
  • 배아의 성별 판별을 위해 할구를 biopsy하여 핵상에서 정밀 분석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8-에서 16-세포기 배아의 할구를 배아 성결정의 대표물로 사용하여 IVF소 배아를 분석 평가하였다. 55개의 배아를 PCT후 biopsy하여 분석하였다. PCR에 의한 성판별에서 biopsy한 single blastomere와 blastocyst의 성판별의 일치하는 비율은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IVF 수정란을 염색체 상태에서 평가하기 위해 8- 16- 세포기의 할구를 Karyotyping 하였다. 할구의 Karyotyping을 위해 metaphase 상태에서 vinblastine sulfate에 계속적으로 노출시켜 metaphse Ⅱ 상태를 유도하였다. (중략)

  • PDF

Gender Differences in the Viewers' Attitude towards the Gender Issues in the Television Drama (TV 드라마의 젠더(Gender) 문제에 대한 성별 수용태도 연구)

  • Lee, ja-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89-90
    • /
    • 2011
  • 최근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와 내용이 다양해지면서 드라마 속의 젠더(gender)의 표현 역시 다양화 되고 있다. 기존의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다양한 젠더 문제가 제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데 있어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방송 드라마의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시청자는 어떠한 수용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특히 젠더 문제의 중심에 있는 남, 녀 성별 수용 태도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방송 드라마의 수용에 대한 젠더 역학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거세돈의 제한 급여 효과

  • 조성백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3 no.9 s.265
    • /
    • pp.123-126
    • /
    • 2001
  • 돼지 성별 사료섭취량 및 체조성과 관련된 시험 결과를 보면 자유채식시 사료섭취량은 거세돈이 암퇘지와 비거세돈보다 많으며, 적육 축적률은 낮다. 체중 30$\~$60kg의 비육기에 자유채식과 제한급여구를 비교한 결과 증체율과 지방축적률은 자유채식에서 높았으며, 거세돈의 에너지 섭취 수준을 $8\%$ 제한시 암퇘지를 자유채식시킨 경우와 비슷한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80$\~$140kg의 체중에서 최대 단백질 축적량은 수퇘지 42.5kg 암퇘지 40.0kg, 거세돈37.5kg이고, 1일 단백질 축적량은 수퇘지 180g, 암퇘지 160g, 거세돈 145g정도로 성별로 차이가 있다. 체지방축적은 에너지 수준과 거세실시 여부, 일당증체량은 에너지 수준에 큰 영향을 받는다.

  • PDF

Comparison of Carcass and Pork Physical Characteristics by Market Weight and Gender of Berkshire (버크셔의 출하체중과 성별에 따른 도체 및 돈육의 물리적 특성 비교)

  • 이제룡;주영국;신원주;조규제;이진우;이정일;이중동;도창희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4 no.2
    • /
    • pp.108-114
    • /
    • 2004
  • In a trial involving 72 pigs, the effects of market weight and gender on the carcass and pork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72 pigs were divided into 3 groups(95-104, 105-110 or 111-120kg), market weight was assigned to 2 gender group (gilt or boar). The carcass characteristics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or grades) were determined on those carcass, longissimus muscle was removed from each left side at 5th to 13th rib and meat qualities were evaluated. The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of pigs slaughtered at 111-120kg were increases than the other weights. The carcass grade of pigs slaughtered at 105-110kg had higher then at pigs slaughtered 94-104kg. Compared with boars, gilts carcass had higher in carcass weight and backfat fat. The pH$\_$u/, drip loss and cooking loss tended to similar for market weight and gender, meat of boars had higher shear force values than gilts (p<0.05). The meat color tended to similar for market weight and gender. The total myoglobin content of gilts slaughtered at 95-104kg and boars slaughtered at 111-120kg had higher than the other weight and gender. The meat of gilts had higher springiness and brittleness than boars (p<0.05).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could be affected by market weight and gender, meat of gilts was improved the shear force values and texture properties when compared to boars.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문화예술분야에서 성별임금격차 분석연구)

  • Heo, Shik;Sa, My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1
    • /
    • pp.4151-4160
    • /
    • 2010
  • Recently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growth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The paper is empirically analyzed on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specially focused on decomposing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Our results may be partly useful for explaining the existing phenomenon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n Korean labor markets, for example, young, highly educated, part-time contracts, less gender discrimination, etc. The results might provide somehow the policy directions of reducing the gender wage differentials.

한국인 운전자의 성별, 체형, 신체 치수를 고려한 내수용 승용차 규격 개선에관한 연구

  • 신원경;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25-30
    • /
    • 1998
  • 본 연구는 점점 다양해지고있는 사용자들의 성별, 체형, 신체치수를 고려한 내수용 승용차 규격 개선 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존의 승용차 연구에서 특별히 고려되지 않은 여성 운전자를 대상으로 기초 연 구를 한 후 여러 운전자 체형에 맞는 승용차 규격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여성 운전자 들이 부적합한 자동차 규격으로 느끼는 여러 불편 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규격 개선의 방향 을 분석한 후, 한국인 인체 치수자료를 이용하여 각 퍼센타일을 통합한 여성 운전자를 3차원 인체 모델 링 도구를 이용하여 모델링 한 후 주요 내수용 승용차의 실제규격과의 비교를 통한 비적합성 여부를 파 악한다. 그 결과에 의하여 한국인 운전자의 성별과 체형을 다양하게 고려한 내수용 승용차의 규격 개선 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between Rol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light attendants (객실승무원 성별에 따른 역할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Chang-Hyeon;Kim, Yong-Su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48-49
    • /
    • 2016
  • 최근 사회 전반에서 직업인식에 대한 고정관념이 점점 얕아지고 성별이나 사회적 통념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택하는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항공업계에서는 대표적인 여성 직업 중 하나로 인식되던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되기를 희망하는 남성들이 많아지고 있고, 남성 객실승무원의 채용규모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객실승무원이 겪는 일반적인 스트레스요인들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연구한 논의는 꾸준히 있어왔지만, 그러한 스트레스들이 남승무원/여승무원이라는 성별 차이에 따른 비교연구는 전무했다. 이에 본 연구는 역할스트레스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남승무원/여승무원이라는 조절변수에 따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실증연구를 시행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Patterns and Preferences on Online Games by Gender and Genres (성별 및 게임장르별 게임 이용방식과 선호요인 비교 분석)

  • Kim, Min-Kyu;Hong, Yu-Jin;Lee, Ji-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45-650
    • /
    • 2007
  • 게임 개발 방향은 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10대 및 20대의 남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최근 여성게이머의 증가와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게임의 등장 등 게임소비자의 구성이 다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비해, 게임이용자에 대한 연구나 실태조사는 성별간의 차이를 감안하여 분석한 사례가 매우 드물고, 이와 함께 새로이 유입되어 증가 추세에 있는 여성 게이머들이 선호하는 게임 개발은 여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게임장르별 게임이용 방식 및 선호에 대한 견해를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더 나아가 남성과 여성 각각의 주요 게임장르별 이용방식 및 견해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게임콘텐츠의 개발 방향이 타겟이 되는 소비자의 성별에 차별적인 요인을 감안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특히 각 장르별로 선호하는 게임 요소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 보다 세분화된 콘텐츠 구성방식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 PDF

한국인의 사망원인 구조, 1983~1993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67-193
    • /
    • 1995
  • 사망원인통계연보는 사망발생 당년에 신고된 사망 자료만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수록된 사망(당년신고, 또는 비지연신고)은 물론 수록되지 아니한 사망(지연신고)의 사인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차적으로, 사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연신고의 다양한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신고된 모든 사망신고를 기초로, 지연신고와 당년신고라는 신고행태에 따라 사인별 사망구성비, 사망률, 사망률성비를 구하였다. 지연신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지연신고율은 다른 집단보다 여성, 젊은층, 의사진단사망자, 병원사망자에게서 더 높다. 당년신고 사망자의 성별 사인구조와 비교해 볼 때, 지연신고 사망자의 주요 사인구조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데, 남성에게는 감염성질환, 순환기계질환, 호흡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여성에게는 감염성질환, 호흡기계질환 및 소화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진다. 1983~1993년 동안 신고된 모든 사망에 대한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손상 및 중독이 남녀 모두에게 주요 3대 사인이다. 둘째, 만성 간질환, 각종 사고, 폐암, 자살은 남성에게 치명적인 사인으로서 남녀의 성별 사망력 차이를 넓혀주는 원인이다. 세째, 손상 및 중독, 특히 교통사고는 45세 이하의 젊은 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되는데 반해,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소화기계질환은 고령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된다.

  • PDF

Korean Wage Gap: Do the Marital Status of Workers and Female Dominance of an Occupation Matter? (한국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격차 변화 - 혼인상태 및 직종특성별 비교 -)

  • Jung, Jin Hwa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0 no.2
    • /
    • pp.33-60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 of the gender wage gap and its sourc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for the years 1985-2004. Following Oaxaca and Ransom (1994), the gender wage gap is composed of the productivity-related gap and non-productivity-related gap (unobserved productivity gap and discrimination).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both the productivity-related gap and non-productivity-related gap have dwindled, while the decline of the former far excelled that of the latter. The non-productivity-related gender wage gap is much larger for married women than for single women, possibly implying a lower unobserved productivity of married women because of their childcare responsibilities. The non-productivity-related gap is also very substantial in the male-dominated occupations as compared to the female=dominated occupations, supporting the existence of network externalities in employ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