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 지수

Search Result 1,59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utomatic determination of matching window histogram of gradient (그레디언트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정합 창틀 크기의 자동적인 결정)

  • Moon, Chang-Gi;Ye, Chul-S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1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도시 지역의 위성영상에서 스테레오 정합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레디언트(gradient)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정합 창틀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각 화소에 대해 한 화소 거리의 대각 방향에 놓여진 4 개 화소들의 수직 및 수평 방향에 존재하는 화소간의 밝기값 차로 정의되는 그레디언트를 계산하여 평탄화 지수 영상(Flatness Index Image)을 생성한다. 평탄화 지수 영상에서 에지 등과 같이 주변 화소의 밝기값과 차이가 큰 화소는 상대적으로 높은 평탄화 지수를,비에지 화소의 경우에는 낮은 평탄화 지수를 가지게 된다. 에지와 비에지를 판정하는 평탄화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해 평탄화 지수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이용한다. 결정된 평탄화 임계값보다 작은 평탄화 지수를 가지는 정합 창틀 내의 화소들이 일정 비율보다 크면 비에지 화소로 판정하고 정합 창틀을 한 단계 더 크게 설정하는 방법으로 정합 창틀의 크기를 각 화소마다 가변적으로 변화시킨다. 제안한 방법을 IKONOS 스테레오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고정 크기의 정합 창툴에 비해 정합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Stress Index Estimation using Face Image (얼굴영상을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 추정에 관한 연구)

  • Park, Jin-Soo;Hong,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824-8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얼굴영상을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영상으로부터 스트레스 지수(Stress Index)를 추정하기 위해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의 색상공간을 RGB에서 YCgCo로 변환한다. 검출된 얼굴영역에서 프레임별 Cg값의 평균을 구하고 Cg신호의 주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추정한다. 제안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PPG(Photoplethysmogram) 측정 장비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와 얼굴영상을 이용하여 얻은 스트레스 지수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성능평가 결과 오차율이 8.32%인 것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Stability Index for Vessel Operators Support System (선박 운항자 지원 시스템용 선박 복원성능 지수 개발)

  • IM, Nam-Kyun;HWANG, SooJin;CHOE, 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1
    • /
    • pp.1-9
    • /
    • 2018
  • All ships should ensure stability in accordance with IMO regulations. However, GM is only used to determine ship stability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validate all regulations. This is a problem given that the safety of vessels cannot be guaranteed, potentially leading to accidents. There is a need for a more intuitive and comprehensive method of confirming the stability of ships. This study developed a stability index that expresses ship stability in one value. An index equation is defined based on the 6 stability criteria for ships prescribed by IMO and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ship stability of a model ship. A stability index has been derived for each loading condition by applying the index equation to the same ship. It can clearly be seen that this stability index appropriately explains the criteria.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ssess ship stability with one value and confirm whether the ship stability satisfies IMO regulations. This index will help masters and officers more easily and accurately check ship stability.

Evaluation of waterproof and durability of hydrophilic waterstop (수팽창 지수재의 방수 성능 및 내구성 평가)

  • Choi, Woo-Yong;Lee, Hyeun-Pil;Jun, Gy-Chan;Lee, Seok-W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6 no.2
    • /
    • pp.117-124
    • /
    • 2014
  • The interest in the use of shield TBM (Tunnel Boring Machine) on the tunnel excavation has been increased rapidly in Korea. The shield TBM tunnel is generally designed as non-drainage tunnel. Consequently, if water leakage through the segment joints happens, big problems on the usage and stability of tunnel can be occurred.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waterproof capacity of hydrophilic waterstop by the construction error and excessive displacement of segment was studied firstly. Secondly, the decrease of durability of hydrophilic waterstop by the sulphate and chloride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and seawater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f the angle discordance at the segment joints is beyond the 2 degree, the proper waterproof capacity of hydrophilic waterstop can not be guaranteed. In addition, if the hydrophilic rubber waterstop is exposed to the sulphate for a while, the proper durability of hydrophilic waterstop can not be expected.

KCS 선형의 파랑 중 자유항주모형시험

  • Yun, Geun-Hang;Kim, Dong-Jin;Yeo, Dong-Jin;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9-11
    • /
    • 2018
  • 선박의 파랑 중 조종성능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공학수조에서 KCS 선형의 모형선으로 파랑 중 자유항주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파향, 파고, 파장 등이 변화는 규칙파 상태에서 KCS 선형의 35도 선회시험을 수행하여 파 중 선회궤적변화를 관찰하였고, 정상선회 상태에서 속도기반 궤적밀림 지수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속도기반 궤적지수를 정수 중 초기선회 상태에 외력으로 작용하여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정하고 이를 파랑 중 초기선회 성능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 선회 중 도출되는 선회성능인 전진거리, 전술선회직경은 선수파일 경우, 모형선의 전진방향 속도 변화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motion Level Recognition System for Repeated Computational Stresses (반복 연산 스트레스의 레벨 인식 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 박광훈;김승태;이윤진;장중식;고한우;김동선;신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45-14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20 대 남자 대학생 45 명에게 세단계의 난이도를 갖는 덧셈연산을 수행하게 하여 반복 연산 스트레스를 유발시켰고, 각각의 피검자들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8 개의 감성 파라메터를 추출하였다. 연산스트레스의 감성지수화를 위하여 세단계의 감성지수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의 감성지수 판별을 위하여 선형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판별성능 분석은 Cross Validation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연산스트레스의 감성지수 인식율은, 학습용 데이타에서는 77.66% Cross Validation 에서는 63.02%의 일반화된 감성지수 인식성능을 보였다.

  • PDF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 개선에 관한 연구

  • Choe, Won-Jin;Jeo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57-258
    • /
    • 2019
  • 이 연구는 기 개발한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의 조종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에서 모델선박의 조종성 지수는 임의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모델대상선박의 실제 움직임과 동등하거나 유사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미 발표된 대학교 실습선(한바다호)의 선박조종 실선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선박의 조종성 지수를 도출하였으나, 타각이 10°를 초과할 경우 네 종류의 실선시험 결과와 평균 17.9%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다. 이에, 타각 10°, 20° 및 35°에서의 한바다호 조종성 지수에 대해 에르미트 보간을 이용하여 3차 다항식을 산출하고, 이를 모델선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타각 35° 이내의 전 구간에서 조종성능의 상대오차가 평균 13.7%에서 11.6%로 약 2.1%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Assessing the Metric to Measuring Land-Use Change Suitability (토지 이용 변화 예측 모형의 정확도 검정을 위한 통계량 연구)

  • Kim, Oh S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
    • /
    • pp.458-471
    • /
    • 2013
  • This paper addresses the limitation of a map comparison metric entitled Figure of Merit through employing a simple land change model. The metric was originally designed to overcome limitations of other existing statistics, such as Kappa, when assessing predictive accuracy of land change models. A series of comparisons between null and predicted outcomes at multiple resolutions as well as a multi-resolution Figure of Merit analysis techniques of validation are compared for spatially segregated calibration and validation datasets. The Figure of Merit at the null resolution in this paper was 57%, although future research must be done to determine if this was simply a coincidence. A Figure of Merit greater than 50% would seem to represent a "Resolution of Merit" in that the Figure of Merit at that resolution becomes greater than the error. Thus, these two metrics should be used in tandem to assess predictive accuracy of a land change model.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sensor selection methods for beam steering direction of non-linear conformal array (비선형 곡면 배열 센서의 빔 지향 방위별 센서 선택 방법에 대한 성능 분석)

  • Kwon, Taek-i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4
    • /
    • pp.391-399
    • /
    • 2021
  • The conformal array sensor has different sub-array depending on different beam steering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ethod to effective the sensor, the performance of the conformal array sensor can be different, where the sub-array selects an effective sensor. Also, due to the figure of the conformal array sensor, the figure of the sub-array can be different each other, which results in different performance on directivity index, beam width and etc. In this paper, two methods to select sub-array which is the criteria for each sensors position vector and directive vector were proposed. For two sub-array selection methods,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ivity index, horizontal and vertical beam width were compared with the average and variance. In addition, this comparison was conducted when the number of sensors was fixed. When the number of sensors was not fixed, the directional vector method mainly results in high performance, but the performance of vertical beam width was lower or equal. When the number of sensors was fixed, the performance of two methods is similar, but the performance of variance was deteriorated.

Extension of the LQR to Accomodate Actuator Saturation Bounds for Flexible Space Structures (제한된 제어입력을 갖는 유연우주구조물에 대한 확장된 LQR)

  • Lee,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8
    • /
    • pp.71-77
    • /
    • 2002
  • We consider the simultaneous slewing and vibration suppression control problem of an idealized structural model which has a rigid hub with two cantilevered flexible appendages and finite tip masses. The finite clement method(FEM) is used to obtain linear finite dimensional equations of motion for the model. In the linear quadratic regulator(LQR) problem, a simple method is introduced to provide a physically meaningful performance index for space structure models. This method gives us a mathematically minor but physically important modification of the usual energy type performance index. A numerical procedure to solve a time-variant LQR problem with inequality control constraints is presented using the method of particular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