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표준

Search Result 3,47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크라이오펌프 종합성능평가 시스템 기술 개발 연구

  • Gang, Sang-Baek;No, Yeong-Ho;Yu, Jae-Gyeong;Go, Deuk-Yong;Park, Seong-Je;Go, Jun-Seok;In, S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04-204
    • /
    • 2012
  • 고용량/대면적/초정밀 제품을 지향하는 개발추세에 따라 고진공 펌프중 하나인 크라이오펌프의 활용도가 크게 증가하며 첨단 공정장비인 LCD 분야 등과 같이 수소 분자와 물 분자 등의 배기가 중요한 응용분야에 크라이오펌프의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크라이오펌프의 운전성능에 대한 표준절차에 따른 실질적인 측정은 빈약한 편이다. 이에 크라이오펌프의 종합 성능평가 기술 개발을 통해 실질적인 크라이오펌프의 운전성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진공 펌프중의 하나인 크라이오펌프의 종합 성능평가 표준절차 및 표준시스템에 대해 소개하며, 상용화 제품에 대한 각 회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능지표에 대해 실질적인 측정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또한 가장 중용한 성능지표 중의 하나인 배기속도 측정에 대해 물리적 특징과 구조적 오차에 대한 보정 식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LTE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제어시스템용 HW 기반 SSL VPN 성능 분석 연구

  • Lee, Jaehoon;Jang, Chankuk;Wi, Hansaem;Yi, Okyeon
    • Review of KIISC
    • /
    • v.27 no.2
    • /
    • pp.22-2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NPA-TSC-2010 R14)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교통신호제어시스템과 상용 LTE 이동통신망을 적용 가능한 검증필암호모듈 기반의 SSL VPN을 개발하여, 정보보안의 성능과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의 기기 변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SSL VPN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구현하여 실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교통신호제어 시스템의 보안 표준규격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기술 및 절차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KAERI 폐 카운터를 이용한 LLNL 팬텀과 JAERI 팬텀과의 비교

  • 이종일;이태영;김종수;장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600-605
    • /
    • 1998
  • 체내방사능 측정시스템의 교정인자는 측정결과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교정인자는 특정 집단으로부터 표준체위와 표준장기를 도출, 이를 기초로 하여 제작한 펜텀으로부터 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팬텀의 기하학적 구조 및 내부장기의 형상은 특정 집단에 따라 다르므로 이로 인한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아메리카 성인남성의 표준자료에 근거하여 제작된 LLNL 팬텀과 일본성인 남성의 표준자료에 근거하여 제작된 JAERI 팬텀을 한국원자럭연구소 폐 카운터를 이용하여 상호비교.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LLNL 팬텀으로 교정된 폐 카운터의 성능시험을 JAERI 팬텀으로 DOELAP 성능시험범주 I, II, III 및 IV에 대해 수행하여 편텀의 구조 및 형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측정오차를 분석하였다. 비교.분석결과 1.7 cm ~ 3.7 cm 근육등가 가슴벽두께 범위내에서 JAERI 팬텀에 의한 교정인자가 전반적으로 LLNL 팬텀의 것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허용수준이었고, 성능시험결과 상대편중은 DOELAP 성능 용인 기준을 만족하였다. 결국 두 팬텀간의 측정오차는 측정 및 체내피폭선량 평가시 수반되는 오차와 비교해 보면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결론지울 수 있다. 따라서 LLNL 펜텀으로부터 구한 교정인자를 국내 성인남성의 일상 모니터링에 사용할 경우 측정결과가 다소 과대평가되기는 하나 허용수준으로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Performance Estimation Model of H.264/AVC Baseline Profile Decoder (H.264/AVC Baseline Profile Decoder의 성능 예측 모델의 구현과 분석)

  • Moon, Kyoung-Hwan;Song, Y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4 no.3
    • /
    • pp.108-123
    • /
    • 2007
  • As H.264/AVC standard has proven to be a key technology of multimedia application, many researches to improve H.264/AVC standard are actively conducted. Those researches are conducted in various ways such as algorithm analysis and improvement or structure enhancement for reducing bottlenecks of performance. Even though targets and directions of those studies are not the same, performance of H.264/AVC standard is commonly analyzed in the early phase. In analysis phase, potential problems with H.264/AVC standard are identified and the most critical problem which has serious effects on performance is determined. Therefore, analysis phase is one of the important steps to decide overall directions and targets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proposes a mathematical model which can be used in the early performance analysis phase to estimate performance in conducting research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H.264/AVC Baseline Profile decoder. The proposed model is designed by considering many variables of H.264/AVC decoder operation so that it is easy to predict its performance according to changes in each element.

Analysis on the Reception Performance Due to Dual Stream Techniques in Enhanced ATSC DTV Receivers (Enhanced ATSC DTV수신기의 이중 스트림 기법에 따른 수신 성능 분석)

  • Lee Jun Sik;Kim Dae Jin;Kim Sung Hoon;Ji Kum Ran;Lee Jae Young;Kim Se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71-174
    • /
    • 2003
  • 본 논문은 기존의 표준 8-VSB 방식의 DTV 수신 성능 개선을 위해 ATSC T3/S9에 제안되었던 기술 중에서 현재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이 유력시되는 Zenith/ATI의 Enhanced 8-VSB 방식과 Philips의 Pseudo 2-VSB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다양한 채널 환경에 대해서 전산 모의 실험을 실시하여 자 방식의 수신 성능을 비친, 분석하였다. 이중 스트림 기술을 사용하였을 때, 강인한 트렐리스 부호화를 거친 강인데이터의 성능 개선 정도와 강인데이터가 표준데이터에 미치는 성능 개선 정도를 SNR에 따른 트렐리스 디코더의 바이트 에러율을 통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