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평가 지표

Search Result 62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valuation of Freeze-Thaw Damage on Concrete Using Nonlinear Ultrasound (초음파의 비선형 특성을 이용한 콘크리트 동결융해 손상 평가)

  • Choi, Ha-Jin;Kim, Ryul-Ri;Lee, Jong-Suk;Min,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4
    • /
    • pp.56-64
    • /
    • 2021
  • Leakage due to deterioration and damage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volume change by freezing and thawing, and it leads micro-cracking and surface scaling in concrete structures. The deterioration of damaged concrete accelerates with the chloride attack. Thus, in the detailed guidelines for facility performance evaluation (2020), the quality of cover concrete and the freeze-thaw (FT) repetition cycle were newly suggested for concrete durability assessment. The quality of cover concrete should be evaluated by the rebound hammer test and the FT repetition cycle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he deterior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fast dynamic based nonlinear ultrasound method to monitor initial micro-scale damage under freezing and thawing environment. Concrete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different water-cement ratios (40%, 60%) and air contents (1.5% and 3.0%). The compressive strength, rebound number, relative dynamic modulus, and nonlinear ultrasound were measured with different FT cycle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cro-scale FT damage. As a result, both the rebound number and the relative dynamic modulus had difficulty to detect early damage but the proposed method showed a potential to detect initial micro-scale damage and predict the FT resistance performance of concrete.

A Machine Learning-Based Encryption Behavior Cognitive Technique for Ransomware Detection (랜섬웨어 탐지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 암호화 행위 감지 기법)

  • Yoon-Cheol Hwa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1 no.12
    • /
    • pp.55-62
    • /
    • 2023
  • Recent ransomware attacks employ various techniques and pathways, posing significant challenges in early detection and defense. Consequently, the scale of damage is continually growing. This paper introduces a machine learning-based approach for effective ransomware detection by focusing on file encryption and encryption patterns, which are pivotal functionalities utilized by ransomware. Ransomware is identified by analyzing password behavior and encryption patterns, making it possible to detect specific ransomware variants and new types of ransomware, thereby mitigating ransomware attacks effectively. The proposed machine learning-based encryption behavior detection technique extracts encryption and encryptio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trains them using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The final outcome is an ensemble of results from two classifiers. The classifier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nsomware, leading to enhanced accuracy. The proposed technique is implemented using the numpy, pandas, and Python's Scikit-Learn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reveal an average accuracy of 94%, precision of 95%, recall rate of 93%, and an F1 score of 95%. These performance results validate the feasibility of ransomware detection through encryption behavior analysis, and further research is encouraged to enhance the technique for proactive ransomware detecti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Deep Learning-Based Video Captioning (딥러닝 기반 비디오 캡셔닝의 연구동향 분석)

  • Lyu Zhi;Eunju Lee;Youngsoo Kim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3 no.1
    • /
    • pp.35-49
    • /
    • 2024
  • Video captioning technology, as a significant outcome of the integration between computer vis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has emerged as a key research direction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technology aims to achieve automatic understanding and language expression of video content, enabling computers to transform visual information in videos into textual form. This paper provides an initial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deep learning-based video captioning and categorizes them into four main groups: CNN-RNN-based Model, RNN-RNN-based Model, Multimodal-based Model, and Transformer-based Model, and explain the concept of each video captioning model. The features, pros and cons were discussed. This paper lists commonly used dataset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in the video captioning field. The dataset encompasses diverse domains and scenarios, offering extensive resources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of video captioning models. The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entions major evaluation indicators and provides practical references for researchers to evaluate model performance from various angles. Finally, as future research tasks for video captioning, there are major challenges that need to be continuously improved, such as maintaining temporal consistency and accurate description of dynamic scenes, which increase the complexity in real-world applications, and new tasks that need to be studied are presented such as temporal relationship modeling and multimodal data integration.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딥러닝 알고리즘 LSTM을 활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위 예측)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1-291
    • /
    • 2020
  • 제주도는 강수의 지표침투성이 좋은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정책 및 연구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하수의 보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의 변동성 증가로 인해 지하수위의 변동성 또한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지하수위의 급격한 하강에 대비하여 지하수위의 예측 및 지하수 취수량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지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의 수자원 이용 여건을 고려할 때, 지하수의 취수량 관리를 위한 지하수위의 실시간 예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예측방법에 의한 제주도 지하수위 예측기간은 충분히 길지 않으며 예측기간이 길어지면 예측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인 Long Short Term Memory(LSTM)를 활용하여 제주도 남동쪽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1개 지하수위 관측정에 대해 지하수위를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R 기반의 Keras 패키지에 있는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입력자료는 인근의 성판악 및 교래 강우관측소의 일단위 강수량자료와 인근 취수정의 지하수 취수량자료 및 연구대상 관측정의 지하수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자료의 기간은 2001년 2월 11일부터 2019년 10월 31일까지 이다. 2001년부터 13년의 보정 및 3년의 검증용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매개변수의 보정 및 과적합을 방지하였고, 3년의 예측용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LSTM 알고리즘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목표 예측일수는 1일, 10일, 20일, 30일로 설정하였으며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모의결과의 평가지수로는 Nash-Sutcliffe Efficiency(NSE)를 활용하였다. 모의결과,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1일 예측의 NSE는 각각 0.997, 0.997, 0.993 이었고, 10일 예측의 NSE는 각각 0.993, 0.912, 0.930 이었다. 20일 예측의 경우 NSE는 각각 0.809, 0.781, 0.809 이었으며 30일 예측의 경우 각각 0.677, 0.622, 0.633 이었다. 이것은 LSTM 알고리즘에 의한 10일 예측까지는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자료를 매우 적절히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20일 예측 또한 적절히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본 연구대상지점에 대한 2주일 또는 3주일의 안정적인 지하수위 예보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LSTM 알고리즘을 통한 실시간 지하수위 예측은 지하수 취수량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withdrawal impact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LSTM (LSTM을 활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 취수영향 분석)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Chul;Koh, Hyuk-Joon;Kang, Kyung 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7-267
    • /
    • 2021
  • 제주도는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강수의 지표침투성이 높아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수의 보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특히 지하수의 안정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지하수 취수가 주변지역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딥러닝 알고리즘인 Long Short-Term Memory(LSTM)를 활용하여 제주도 남동쪽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에 위치한 2개 지하수위 관측정을 대상으로 지하수 취수영향을 분석하였다. 입력자료로써 인근 2개 강우관측소의 일단위 강수량자료와 인근 6개 취수정의 지하수 취수량자료 및 연구대상 관측정의 지하수위 자료(2001. 2. 11. ~ 2019. 10. 31.)를 사용하였다.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LSTM의 예측일수를 1일로 설정하였다. 보정 및 검증 기간을 사용하여 매개변수의 과적합을 방지하였으며, 테스트 기간을 사용하여 LSTM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지수로써 Nash-Sutcliffe Efficiency(NSE)와 평균제곱근오차(RMS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지하수 취수가 주변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취수량을 최대취수량인 2,300 m3/일, 최대취수량의 2/3인 1,533 m3/일 및 0 m3/일로 설정하여 모의하였다. 모의결과, 2개 감시정의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NSE는 최대 0.999, 최소 0.976의 범위를 보였으며, RMSE는 최대 0.494 m, 최소 0.084 m를 보여 LSTM은 우수한 예측성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LSTM이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적절히 학습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추정된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지하수 취수영향을 모의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위 하강량은 최대 0.38 m 였으며 이것은 대상지점에 대한 취수량은 지하수위 하강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취수량과 지하수위 하강량과의 관계는 한 개 관측정에 대해 선형적인 관계를 보인 반면 나머지 한 개 관측정에 대해서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 Protocols Considering Various Input Traffic in WDM Metro Ring Networks (WDM 메트로 링 망에서 다양한 입력 트래픽을 고려한 MAC 프로토콜의 성능분석)

  • Lee, Kyu-Jeong;So,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24-2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 제공을 고려한 WDM 메트로 링 망을 위한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의 성능을 분석한다. 현재 인터넷은 통신 방송 융합 망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트래픽 특성을 갖는 서비스가 액세스 망에서 메트로 망으로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메트로 망의 MAC 프로토콜은 이러한 망 환경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고 동일한 트래픽만을 고려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메트로 링에 연결된 액세스 노드의 입력 트래픽을 Self-Similar와 Poisson 트래픽으로 분류하여 기존 MAC 프로토콜의 성능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메트로 링 망에 연결된 액세스 노드는 이 두 종류의 트래픽 중에서 하나를 망에 유입하며 채널을 공유하는 노드 수에 따라서 다양한 트래픽 환경이 고려된다. WDM 메트로 링망의 기본 MAC 프로토콜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이며, 패킷을 빈 슬롯에 전송하고 송신지에서 패킷을 제거하는 SS (Source-Stripping) 기반으로 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SS 방식으로 생성된 빈 슬롯을 바로 패킷 전송에 이용하는 방식과 그렇지 않은 방식을 각각 1-Persistent와 non-Persistent로 분류하고 MAC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기존 방식의 장 단점을 비교한다. 또한 전송 공정성과 처리율을 같이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는 확률 기반 p-Persistent MAC 프로토콜도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프로토콜을 노드 처리율, 전송 지연, 패킷 손실률, 전송 공정성 관점에서 비교하고 평가한다.y 수행을 여러 서버로 분산처리하게 함으로써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Load Balancing System을 제안한다.할 때 가장 효과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iRNA 상의 의존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수안보 등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이상대 주변에는 대개 온천이 발달되어 있었거나 새로 개발되어 있는 곳이다. 온천에 이용하고 있는 시추공의 자료는 배제하였으나 온천이응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시추공의 자료는 사용하였다 이러한 온천 주변 지역이라 하더라도 실제는 온천의 pumping 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주변 일대의 온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지열류량 값을 보인다. 한편 한반도 남동부 일대는 이번 추가된 자료에 의해 새로운 지열류량 분포 변화가 나타났다 강원 북부 오색온천지역 부근에서 높은 지열류량 분포를 보이며 또한 우리나라 대단층 중의 하나인 양산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한 밀양단층, 모량단층, 동래단층 등 주변부로 NNE-SSW 방향의 지열류량 이상대가 발달한다. 이것으로 볼 때 지열류량은 지질구조와 무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층대 주변은 지열수의 순환이 깊은 심도까지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류현상으로 지표부근까지 높은 지온 전달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99m}Tc$-transierrin이 감염 병소의 영상진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 PDF

Establishment of a deep learning-based defect classification system for optimizing textile manufacturing equipment

  • YuLim Kim;Jaeil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10
    • /
    • pp.27-35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cess of increasing productivity by applying a deep learning-based def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to the prepreg fiber manufacturing process, which is in high demand in the field of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In order to apply it to toe prepreg manufacturing equipment that requires a solu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a large amount of defects in various conditions, the optimal environment was first established by selecting cameras and lights necessary for def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production. In addition, data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multiple classification models were collected and labeled according to normal and defective conditions. The multi-classification model is made based on CNN and applies pre-learning models such as VGGNet, MobileNet, ResNet, etc. to compare performance and identify improvement directions with accuracy and loss graphs. Data augmentation and dropout techniques were applied to identify and improve overfitting problems as major problem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confusion matrix as a performance indicator, and the performance of more than 99% was confirmed. In addition, it checks the classification results for images acquired in real time by applying them to the actual process to check whether the discrimination values are accurately derived.

Evaluation of the snow simulations from CLM using satellite-based observations (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한 지면모형(CLM)의 적설 모의 평가)

  • Seo, Jungho;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2-332
    • /
    • 2022
  • 적설은 지구 기후시스템과 수문순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겨울철의 적설은 봄철에 녹으면서 식생과 수자원 제공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동아시아가 위치한 북반구는 적설량의 90%가 관찰되고 토지의 약 42%가 긴 시간동안 눈으로 덮여 있어 지표 에너지와 물 균형에 영향을 주고, 특히 수자원 관리를 위한 유출이나 토양수분과 같은 수문 인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설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수자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편, 이러한 수문 순환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수문 분야에서는 지면모형(Land Surface Model, LSM)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지면모형은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을 모의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에너지, 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의 다양한 인자들의 교환에 대하여 해석하며, 토양수분, 유출량 등의 수자원 분야의 주요 인자들을 산출하여 수자원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NCAR)에서 개발한 Community Land Model(CLM)을 사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 25km의 공간해상도로 동아시아 지역의 적설 모의를 평가하였다. CLM의 적설 모의 평가 인자는 Snow depth, Snow water equivalent의 2가지 인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모의 성능 평가를 위한 관측 자료로 NASA Aqua와 JAXA GCOM-W1 위성에 탑재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AMSR) 센서에서 제공하는 위성 관측 자료와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DMSP) 위성의 Special Sensor Microwave/Imager(SSM/I) 센서와 Nimbus-7 위성의 Scanning Multichannel Microwave Radiometer(SMMR) 센서에서 제공하는 위성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지상 기상 관측소 자료와 조합하여 재생성한 European Space Agency Global Snow Monitoring for Climate Research (ESA GlobSnow)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CLM의 적설 모의는 과대 추정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동아시아 적설 모의 개선을 위해 자료 동화를 사용하는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Certification for Green Building Revitalization in School - Focused on th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 (학교시설의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인증현황 분석 연구 - 경기도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

  • Kim, Jang-Young;Kim, Sung-Joong;Lee, Seung-Mi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4 no.3
    • /
    • pp.9-17
    • /
    • 2015
  • In this paper, there are several analysis on G-SEED,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Energy Performance Index, Energy Saving Plan about how they are applied by classification and planning standard. The analysis result found out that G-SEED has low select percentage by having difficulties to managing and additional cost when the each class is selected. And also,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in school is planed in comparably simple design and similar size and also mostly uses high efficient machines, which was in high lever comparing to the system in facilities in other uses. In the case of EPI, there are differences on acquiring grades by each region. Especially, Gyung-gi region has a low grade on architecture part comparing to other parts, which seems to acquire more grades by strengthen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result from the three standards, many facilities has only formal plan to pass the required standard without considering specialities of each buildings, which has a tendency to have a pattern to have a minimum criteria. However, School has a symbolic building which has a obligation to be the base of the aim for growing green energy buildings and green education for students. Therefore, planning with understanding of specialities of the facility, having various and rational evaluation standards from the planning of the building is necessary.

Analysis of the Current Collection Quality for Next Generation High-Speed Trains with Measurements of the Dynamic Contact Force (동적 접촉력 측정을 통한 차세대 고속열차의 집전성능 분석)

  • Oh, Hyuck Keun;Ji, Hyung Min;Kim, Young Guk;Kim, Seo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7 no.3
    • /
    • pp.157-164
    • /
    • 2014
  •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pantograph and the catenary is a key factor determining the current collection quality, as they can ensure stable electrical power to the trai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ynamic contact force for HEMU-430X depending on the train speed.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act force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train speed.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span of the catenary system is a very important factor with regard to the contact force when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To secure stable power in speed that exceeds 400km/h, the statistical variation of the contact force should be minimized. To realize this, the catenary tension was increased and the mass of the pan-head was decreased. The ensuing effects were then quantitatively analyzed in terms of the contact forc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contact force between a tunnel and an open field were analyzed based on a frequency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