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경향분석

Search Result 57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저궤도위성 S 대역 송신기 성능 분석

  • Jo, Seung-Won;Gwon, Jae-Uk;Choe, Jong-Ye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33.2-33.2
    • /
    • 2011
  •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저궤도 위성에는 원격측정명령계 유닛 중의 하나로 S 대역 송신기가 탑재된다. S 대역 송신기는 위성의 상태 정보와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 이를 S 대역으로 변조하여 RF 신호로 전송한다. 지상국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복조 후 데이터를 추출해 낸다. S 대역 송신기는 위성과 지상간의 링크버짓을 만족하도록 일정한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발사 전 송신기의 성능을 측정하고 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기본적인 성능 측정 이외에 송신기에 요구되는 또 하나의 요소는 측정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송신기 성능에 저하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T 전 기간에 걸쳐 송신기의 성능 측정 결과에 대한 추이를 지켜보아 송신기가 가지고 있는 경향성을 판단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결과 값을 제시하고 송신기의 성능과 경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Comparison of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ccording to different component ratios of the functional connectivity matrix and principal component vectors using neuroimaging (뇌기능영상기반 기능적 연결성 행렬의 서로 다른 성분 비율과 주성분 벡터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랜덤 포레스트 분류성능 비교)

  • Choi, Hyoungshin;Park, Hy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351-353
    • /
    • 2021
  •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이질적인 신경 발달 장애로, 뇌기능영상에 기반한 기능적 연결성 행렬을 이용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다. 기능적 연결성 행렬을 분석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며, 이를 통해 뇌의 기능적 경향성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연결성 성분 비율과 주성분 벡터를 이용해서 다양한 기능적 경향성 패턴을 얻을 수 있다. 패턴에 따른 랜덤 포레스트 분류 모델의 성능이 달라지는데 이를 비교해본 결과, 상위 50%의 성분을 이용하여 만든 기능적 경향성 패턴 1 이 데이터의 설명 비율도 높고, 우수한 분류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GaInP/GaAs/Ge Triple Junction Solar Array Power Performance Evaluation on Geostationary Orbit (GaInP/GaAs/Ge 3중 접합 태양전지 배열기의 정지궤도에서 전력 성능 평가)

  • Koo, Ja-Chun;Park, Hee-Sung;Lee, Na-Young;Cheon, Yee-Jin;Cha, Han-Ju;Moon, Gun-Woo;Ra, Sung-W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12
    • /
    • pp.1057-1064
    • /
    • 2014
  • The satellite on geostationary orbit accommodates multiple payloads into a single spacecraft platform and launched in June 26, 2010. The electrical power required to the satellite during sunlight is generated by a solar array wing. The solar cells are the GaInP/GaAs/Ge Triple Junction cells named Gaget2 cells from RWE Space, which were based on a Spectrolab epitaxy. This paper evaluates solar array power performance at end of design life based on the trend analysis results for the flight data on geostationary orbit. The estimated solar array power performance at end of design life compares with the power performance provided by solar array manufacturer. The solar cells show nominal behavior without significant degradation through the trend analysis results.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alysis Code for Pre-Conceptual Design of VTOL UAV (수직이착륙/고속순항 무인기 초기개념설계를 위한 성능예측 프로그램 개발)

  • Jung, Won-Hyung;Lee, Kyung-Tae;Kim, Jung-Yu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5
    • /
    • pp.1-9
    • /
    • 2004
  • The performance analysis code has been developed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VTOL) UAV which can be utilized as a trade analysis tool in the pre-conceptual design phase. The UAV requires VTOL capability and high speed cruise performance. The main logic of this performance analysis code is to estimate performance parameters of each mission segment by mission fuel weight iteration. The reliability of this performance analysis code is discussed by comparing the data of existing dual flight mode VTOL UAVs such as Boeing CRW and Bell Tilt Rotor.

Predicting Defect-Prone Software Module Using GA-SVM (GA-SVM을 이용한 결함 경향이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 예측)

  • Kim, Young-Ok;Kwon, Ki-Ta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1
    • /
    • pp.1-6
    • /
    • 2013
  • For predicting defect-prone module in software, SVM classifier showed good performance in a previous research. But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SVM parameter should be chosen differently for every kernel, and algorithm should be performed iteratively for predict results of changed parameter. Therefore, we find these parameters using Genetic Algorithm and compare with result of classification by Backpropagation Algorithm.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GA-SVM model is better.

A Development of Maintenanc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Gas Turbine Engine (가스터빈 엔진 정비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개발)

  • Ki, Ja-Young;Kang, Myoung-Cheol;Lee, Myung-Kuk;Rho, H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6-591
    • /
    • 2012
  • The solution of maintenanc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gas turbine engine, which is currently operating in GUNSAN combined cycle power plant, was developed and is consist of online monitoring module, periodic performance trending module, optimal compressor washing interval analysis module and hot component management module. Also, GUI platform was applied to this solution for the user to monitoring the analyzed result of engine performance condition and then to make a decision of the consequent maintenance action. In online condition monitoring modul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engine is provided by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the real time measurement data compared to exist engine performance. The optimal compressor washing interval module produced the washing interval of maximum net profit value by researching the maintenance expense and the loss profit value corresponds to the performance degradation with economic assessment algorithm. Thus, this solution support the user to enable the optimal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gas turbine engine with overall analysis of engine condition and main information.

  • PDF

Fair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Stock Trend Prediction Models (주가 경향 예측 모델의 공정한 성능 평가 방법)

  • Lim, Ch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0
    • /
    • pp.702-714
    • /
    • 2020
  • Stock investment is a personal investment technique that has gathered tremendous interest since the reduction in interest rates and tax exemption. However, it is risky especially for those who do not have expert knowledge on stock volatility. Therefore, it is well understood that accurate stock trend prediction can greatly help stock investment, giving birth to a volume of research work in the field. In order to compare different research works and to optimize hyper-parameters for prediction models, it is required to have an evaluation standard that can accurately assess performances of prediction model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area, and conventionally used methods have been employed repeatedly without being rigorously validated. For this reason, we first analyze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ck trend prediction with respect to performance metrics and data composition, and propose a fair evaluation method based on prediction disparity ratio.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peller for High Altitude by using Experiment and Computational Analysis (시험과 전산해석을 이용한 고고도용 프로펠러 성능 분석)

  • Park, Donghun;Cho, Taehwan;Kim, Cheolwan;Kim, Yangwon;Lee, Yungg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12
    • /
    • pp.1035-1047
    • /
    • 2015
  • Wind tunnel experiment and computational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peller for scale electric-powered HALE UAV, named EAV-2H+. Performance curves are measured for three propellers and their adequacy for EAV-2H+ installation is examined through consider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Decline in performance coefficients is observed in low rpm region. Also, the effect of transition tape on propeller performance is measured and analyzed. The computational performance analyses are carried out by using commercial CFD program. The thrust and power coefficient from computations show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Performance coefficients are compared and the influence of measurement device which contributes to discrepancy of the results is examined. Transition SST model is confirmed to yield the tendency of performance decline in low rpm range, similar to experimental observation. The decrease in aerodynamic performance of blade element due to low Reynolds number is identified to cause the decline in propeller performance. Analyses for high altitude conditions confirms degradation in propeller performance.

Study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 Solar Power Utility with 1.3MW (1.3MW급 태양광 발전소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un, Jungnam;Lee, Somi;Yun, Kyungshi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1.1-71.1
    • /
    • 2010
  • 본 연구는 1.3 MW급 태양광 발전소에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성능이 유지 보수 및 사후관리에 따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실측자료를 통해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측자료는 2008년 5월 전북 부안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에서 측정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을 이용하였으며, 측정기간은 2009년 1월~2009년 12월까지 1년간 모니터링을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발전소 성능 지표인 PR(Performance Ratio)을 계산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실측자료는 PVSYST를 이용하여 실측자료와 동일한 조건에서 예측된 시뮬레이션 발전량 및 PR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자료와 해석결과의 비교에서 월단위로 측정된 실측 발전량과 예측 발전량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실측 발전량은 예측 발전량 대비 약 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실측 PR값은 예측 PR값보다 약 4.97%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석을 위해 적용되는 일사량(기상청)과 실측 일사량이 다르고, Team Funct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인버터와 시뮬레이션에서의 인버터 구동방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조량의 증가에 따른 1.3MW급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량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7월의 경우 기후특성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 PDF

A Performance Analysis of Dual Shot Face Detector Method (Dual Shot Face Detector Approach 성능 분석)

  • Lee, KyungMin;Lin, ChiHo;Kim, JeWoo;Lee, YoungHan;Cho, ChoongSang;Song, Hy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76-7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얼굴 검출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는 Dual Shot Face Detector (DSFD)을 WIDER FACE 데이터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성능 및 특성을 분석한다. 얼굴 검출 엔진의 동작 및 학습을 확인하기 위해 WIDER FACE 데이터를 기반으로 DSFD 를 학습한 후 기존 논문에서 발표되었던 성능을 보이는지 확인한다. 성능 확인된 얼굴 검출기 DSFD 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테스트 데이터를 10 개 그룹으로 분할하여 AP 측정 후 성능 열화가 높은 그룹의 이미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얼굴 영역 주변에 모자 헬멧, 방패 등에 의해 가려진 경우 얼굴 검출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했다. 또한 이미지에 있는 상황을 61 개로 구분하여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며 분석 결과 Car Accident 와 People Marching 상황에서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DSFD 네트워크의 성능 열화 부분 및 경향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DSFD 얼굴 검출기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특정 도메인에 맞는 검출기를 개발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