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물 관리

Search Result 81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rchitecture of Management System for Reusing R&D Results (연구성과물 재활용을 위한 성과물관리시스템 아키텍처)

  • Shin, Sunng-Ho;Um, Jung-Ho;Choi, Sung-Pil;Hong, Soon-Chan;Jung, Ha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311-313
    • /
    • 2012
  • 연구개발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 자체가 잘 보존되고 관리되면, 기술이전 등 상업화가 가능하다. 그렇지만, 연구 현장에서 연구개발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셋이나 소프트웨어 등 성과물들은 개인별로 관리되고 있거나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서, 재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는 전체 연구성과물의 메타정보 수집을 통한 연구성과물 현황 관리와 이를 분석한 분석정보의 활용에 중점적으로 노력하고, 실제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개별 연구원이나 기관들은 연구성과물의 재활용에 초점을 맞춘 성과물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의 결과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성과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연구성과물 등록, 저장, 조회/사용, 관리 등 연구성과물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마련이 필요하고, 개별 연구성과물에 대한 메타항목 정의도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연구성과물의 재생산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연구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질높은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ive Manag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Using a XML Based Project Deliverable Management System (XML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성과물 관리 프로세스의 효과)

  • Moon, Sungwoo;Yang, Byu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3D
    • /
    • pp.481-489
    • /
    • 2006
  • These days construction management is executed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which creates a large volume of digital data. At the completion of a project, the contractor is required to transfer to the owner the digital data as project deliverables usually in a form of CD's. From an enterprise-wide view point, this traditional way makes the management of project deliverables ineffective as the data accumulated from different projects could be enormou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structured way to utilize a XML database for better management of project deliverables. The XML database provides an environment which users can access through a project deliverable management system (PDMS). A pilot of the PDMS has been develop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document control. The result of the test demonstrates that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deliverable management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a high transportability and usability of data in the construction life cycle.

Implementing an Integrated System for R&D Results Management (연구성과물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

  • Shin, Sung-Ho;Um, Jung-Ho;Seo, Dong-Min;Lee, Seung-Woo;Choi, Sung-Pil;Jung, Han-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8
    • /
    • pp.411-419
    • /
    • 2012
  • In case that R&D results from R&D projects are well managed and archived, the research institutes can transfer the valuable technologies related to R&D results with some costs to corporation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maintain and reuse R&D results because they are managed by each person or each department and not integrated between R&D resul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undertake to manage R&D results overall by collecting meta data and distribute analyzed information from meta data. Each researching institute also makes an efforts to manage R&D results focusing on their reusing. For this purpose,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cess to manage R&D results; insert meta data of R&D results to the system, upload files of R&D results to the database of the system, inquire, and use meta data of R&D results. Based on the process, we design a system architecture for managing R&D results. In addition, it should be mainly considered to design a global schema for integrating R&D results into one database. The system shows detailed information on R&D results and provides R&D results conveniently to users. We expect that we may reduce the cost of reusing R&D resul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R&D results with designing efficiently a process and a global schema of R&D result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Development for Managing Outcomes based on URI (OntoStore-K$^{(R)}$: URI 기반 성과 관리 시스템)

  • Kim, Pyung;Lee, Seung-Woo;Lee, Mi-Kyung;Kuh, Nam-Ang;Kang, In-Su;Jung, Han-Min;Sung, W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209-212
    • /
    • 2006
  • 연구 활동의 결과물로 생성되는 성과물(논문, 특허, 보고서)은 연구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 및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구 동향 정보를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성과 관리 시스템(OntoStore-K$^{(R)}$)은 정보 자원의 식별을 위해서 인력, 기관, 부서, 성과물 등 사용되는 모든 자원에 URI를 할당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과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함으로써 정확한 성과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URI 기반의 성과 정보가 추론 규칙을 통해 확장되면서 다양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연구 성과물에 대한 정확한 관리는 물론, 연구 성과물에 대한 효율적인 공유 및 접근이 가능함으로써 연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Management System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국제공동연구 성과물 관리제도 개선방안)

  • Yoon, Chong-M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499-524
    • /
    • 2009
  • Recently the portion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in national R&D is being on the increase. But the management system of products from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is not sufficient. Not only the internal management system of public research institute, universities or government support R&D centers, are not enough, but also the legislations in government level are not 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problems and situations of product management system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methodology of improvement of them are presented.

  • PDF

A Study on Practical Use of National R&D Outcome Information (국가 R&D 연구성과물 정보의 공동활용을 위한 방안 연구)

  • Joo, Won-Kyun;Park, Gun-Cheol;Huh, Tae-Sang;Park, Jung-Hun;Choi, K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75-576
    • /
    • 2009
  • 사업결과물의 핵심인 연구성과물은 각 부처 혹은 사업수행기관에 분산되어 대다수가 활용되지 못한 채 사장되었다. 이에 정부는 중요 연구성과물에 대한 성과관리전담기관을 지정 운영하여 연구성과물의 수집 및 관리에 대한 법적인 기초를 다지고,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연구성과물의 활용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체계를 반영한 국가R&D 연구성과물의 효율적인 수집 연계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 및 실행체계를 제시한다. 이러한 체계를 통하여 국가R&D 연구성과물에 대한 공동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Water Policy Indicators : Water Use Indicators (이수분야 수자원 정책지표의 개발)

  • Choi, Dong-Jin;Park, Doo-Ho;Park, Seong-Je;Lee, Joo-Hyeon;Lee, Hy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71-375
    • /
    • 2009
  • 국내에서는 수자원 관리 지표에 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표를 통하여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이수분야 수자원 정책을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국가단위, 유역단위, 지역단위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수 분야의 핵심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이수분야의 정책목표를 기준으로 4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수분야의 4가지 영역은 안정성, 효율성,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으로 구분하였다. 안정성은 강수, 기후변화, 인구, 경제, 사회 등 장래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물 부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되는 것을 말한다. 효율성은 물의 사용량과 누수율을 줄이고, 생산성과 재이용률을 제고하며, 물관리의 건전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용회수체계를 개선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형평성은 도시와 농촌, 지역간 물이용의 격차, 요금의 격차, 지역간 물자급률의 격차 등을 개선하여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의 물이용 능력을 높이는 것을 주요한 내용으로 한다. 지속가능성은 하천환경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자원을 이용하고, 환경 개선, 생태계 보존, 친수활동 등에 대한 물수요에 대응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이수분야의 지표는 가뭄시 물부족량, 물부족 지역 비율, 국가 물자급률, 하천취수율, 환경용량 확보율, 물이용 공평성, 물재정 건전성 등 7개였다. 각 지표별로 지표의 정의와 산정방법 등을 제시하고, 지표를 통하여 이수분야의 수자원 정책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먼저, 국가간 비교를 하였고, 다음으로 국내의 유역간 비교, 지역간 비교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국가 물자급률과 취수율이 보통수준 이하로 매우 취약하고, 물이용의 공평성과 물관리 재정 건전성은 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를 통해서 중장기 수자원 관리 정책의 목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분야별 정책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IWRM to Reform Water Resources Management (수자원 관리의 혁신을 위한 IWRM)

  • Lee Dong-Ryul;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02-506
    • /
    • 2005
  • IWRM은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으로 수자원을 관리 및 개발하기 위한 기존의 정치, 사회, 경제, 행정 및 기술 시스템의 혁신과정이다. IWRM의 개념은 1992년 더블린 선언과 리우 지구정상회담에서 채택한 Agenda 21에 의해서 특별한 주의를 끌고 있다. 그러나 IWRM은 개념의 추상성과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성으로 인하여 혼란을 주고 있다. 우리의 수자원 환경은 반복되는 물 부족, 수자원 개발과 환경보전의 대립, 수질 개선의 미흡, 수요관리의 요구 증대, 물 관리기관간의 제휴력 취약, 참여에 의한 수자원 관리 행정 미흡, 물 관리 재정 악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IWRM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IWRM의 실행을 위한 진전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고, 이런 결과는 IWRM개념 이해의 부족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WRM을 물 관리의 새로운 혁신과정으로서 살펴보았다. 다대한 장해물을 가지고 있는 혁신은 한번에 모든 주요한 개혁을 수행하는 것보다 일단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쉽고 실행 가능한 첫 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IWRM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개념을 조사 분석하였고, 국내의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IWRM의 실행 노력을 살펴보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R&D Result Management System (웹 기반의 연구 성과물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Hee-Jun;Lee Seung-Bock;Huh Tae-Sang;Seo Hyeon-Deok;Yae 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12-117
    • /
    • 2005
  • The result management of R&D projects which carried by national research organization, research institute contributed by government, many universities and enterprises through intra system has not been processed in regular order. To maximize results of R&D products, we must draw up a plan for effective management, spread, and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argue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system for managing R&D results(project, paper, book, seminar, intellectual property, technology transfer information, etc) systematically. This system is operated within intranet system, and the data managed by this result management system will be used for related information management through connection with research net based national R&D structure but also it will be major knowledges available for researches executed in many research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 PDF

LCD 장비 업계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Kim, Chang-Su;Lee, Mun-Gy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49-1054
    • /
    • 2007
  • 모든 기업들의 주요 목표는 경영성과를 얼마나 달성 했는가에 대한 것이 중요시 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경영성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은 다양한 경영혁신 활동을 도입하고 있다. 경영활동에서 중요한 것은 경영성과의 효과도 중요 하지만 투입 대비 산출 개념의 효율성도 상당히 중요하다. 매년 기업들은 성과에 대한 집계를 통해 관리를 하고 있으며, 경영성과에 대한 효율 측면에 대한 관리도 중요시 되어 관리되고 있다. 경영성과의 효율성에서 투입물은 총자산, 종업원, 운영비 등이 주요 항목이며 산출물은 매출액, 당기 순이익 등이 주요 항목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들의 경영성과에 대하여 DEA 분석을 통한 경영효율성을 산출하고 기업들의 중.장기적으로 경영계획을 수립할 때 경영성과에 대한 효율측면이 고려 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