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섭취실태

Search Result 86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남녀 대학생들의 성격 지표에 따른 영양섭취실태와 식습관 점수

  • 김혜영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7-1067
    • /
    • 2003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들의 성격유형 판별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검사를 통한 성격 지표와 영양섭취실태와 식습관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경기도 Y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성격 유형은 남녀 모두에서 외향성(Extroversion, 55.8%)이 내향성 (Introversion, 44.2%)보다 조금 많았고, 감각형 (Sensing, 78.1%)이 직관형 (iNtuition, 21.9%)보다 많았으며, 사고형 (Thinking, 67.8%)이 감정형 (Feeling, 32.2%)보다 많고, 판단형 (Judging, 50.2%)과 인식형 (Perceiving,49.8%)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식습관 조사 결과 남학생이 100점 기준으로 46.1점, 여학생이 45.1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결과 남학생이 2,019㎉로 한국인 에너지 권장량의 80.8%, 여학생은 1,675㎉로 권장량의 83.7%를 섭취하고 있었다. 미량 영양소의 경우에는 남학생은 칼슘과 비타민 B$_2$, 여학생은 칼슘, 철, 비타민 C, 비타민 A를 권장량의 90%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과 여러 가지 영양소 섭취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식습관 점수가 좋을수록 영양소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선호 경향에 따른 식습관 점수에서는 판단형의 사람들이 인식형보다 식습관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다른 성격유형의 경우에는 유의 차는 없지만, 외향성, 감각형, 사고형에서 그에 대조되는 성격 선호지표보다 식습관 점수가 높은 경향이었다. 성격 선호 경향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에서는 남녀 모두에서 외향성이 내향성보다 영양섭취실태가 좋았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감정형이 사고형보다 영양 섭취실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밀도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사고형과 판단형이 그에 대조되는 감정형과 인식형보다 영양 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성격 유형에 따라 판단형의 사람들이 인식형의 사람들보다 식습관이 좋고, 외향성의 사람들이 내향성의 사람들보다 영양섭취실태가 양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 편, 감각형-직관형은 식습관이나 영양섭취실태와 뚜렷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고, 사고형-감정형은 감정형의 경우 남학생에서 영양섭취실태가 좋았지만, 영양밀도나 식습관에서는 사고형이 더 좋은 경향을 보여주어서 일관된 경향을 찾기가 어려웠다. 앞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양 상담시에 이들의 성격 유형을 참조하면 영양상담 대상자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적합한 영양 지도 방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인의 영양실태

  • 성낙응
    • Food Industry
    • /
    • s.4
    • /
    • pp.10-13
    • /
    • 1971
  • 한국인의 일반적인 영양실태는 어떻한가? 영양소섭취상태, 단백질섭취상태, 지방섭취상태, 칼슘섭취상태등 우리의 영양소섭취상태는 식물성식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곡류에서 전체 80$\%$이상의 영양소를 섭취하고 있어 국민체위는 크게 발전을 못하고 있다

  • PDF

도시에 거주하는 에어로빅댄스를 수행하는 중년여성의 지방산 섭취실태 조사

  • 안창순;김을상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3.04a
    • /
    • pp.78-79
    • /
    • 2003
  • 본 연구는 여러 요인에 의해 성인병 유발이 많아지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에어로빅 운동을 수행하는 자와 좌식 생활자의 영양섭취실태, 특히 지방산 섭취실태를 조사연구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근교 도시에 거주하는 평균 42.0$\pm$4.7세의 중년 여성 57명이다. 이들은 모두 폐경전 여성으로 에어로빅을 수행하는 자(A group) 44명, 좌식생활자(S group) 13명이다. 에어로빅 운동수행자는 주당 4일 이상 1일 1시간 정도의 에어로빅 운동을 6개월 이상 지속한 자이며 운동강도는 VO$_2$ max. 60% 정도로 실시되었다. 식이섭취 조사방법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2일간 섭취한 식품을 조사하여 기록하였으며 섭취영양량은 컴퓨터프로그램 CANPro(한국영양학회, 영양재단)를 이용하여 1일 평균 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식이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1일 섭취량은 식품성분표(농촌진흥청)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Intake of the Oldest Old in the Korean Longevity Belt (장수벨트에 거주하는 장수노인과 일반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 실태 비교)

  • 이미숙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1-31
    • /
    • 2004
  • 본 연구는 장수벨트에 거주하는 노인 중 90세 이상과 89세 이하의 노인간에 생활습관과 식생활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장수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인자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장수벨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89세 이하의 일반노인 164명(남 61명, 여 103명)과 90세 이상의 장수노인 91명(남 26, 여 65)을 대상으로 건강습관, 식습관, 맛의 기호도, 주당 식품군 섭취횟수 등의 식생활 실태와 1끼 식사의 칭량을 포함한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산출한 영양소 섭취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전주지역 중학생의 음료 섭취 실태와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 송문자;안은미;손희숙;김숙배;차연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3-1063
    • /
    • 2003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음료기호와 빈도 등에 따른 음료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주시에 재학하고 있는 중학생으로서 남학생 303명, 여학생 27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음료섭취의 빈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물은 하루 평균 8.55회 섭취하였으며, 우유 및 요구르트 3.01회, 스포츠 음료는 2.13회, 탄산음료는 1.93회, 과일 및 야채 쥬스는 일주일에 1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탄산음료 및 스포츠음료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과 우유 및 쥬스와 전통음료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생들은 식사시 주로 물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우유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실태에 따른 음료의 섭취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3시간 이상 운동 시 1시간 이하 운동시보다 탄산음료 또는 스포츠음료 및 우유와 요구르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를 마시는 때는 주로 운동시였고 그 다음으로 쉬는 시간에 스낵과 함께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잘못된 음료섭취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성남지역 노인의 영양 및 건강상태 조사 II.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실태

  • 김경민;권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4.07a
    • /
    • pp.51-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성남지역노인들의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조사하여 지역사회에 알맞는 영양개선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성남시 노인정에 등록된 노인 318명(남자 153명, 여자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접을 통한 24 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습관과 영양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균형 잡힌 식생활 태도의 점수가 대상자 모두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규칙적인 식생활 점수는 여자에 비해 남자 대상자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중략)

  • PDF

Nutrition Survey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I. A Study on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부산시내 일부 저소득층 주민의 영양실태에 관한 연구 I. 영양섭취실태 및 건강실태 조사)

  • 이정숙;정은정;정희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199-204
    • /
    • 1996
  • 부산시 사하구 관내 통합보건지역 주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1995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한 영양실태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헤모글로빈 함량은 평균 13.19g/100ml이었으나, 빈혈이 의심되는 조사대상자는 21%이었다. 혈청 알부민 함량은 4.08g/100ml, 총 단백질 함량은 7.81g/100ml로 나타났다. 2) 열량 섭취량은 권장량의 63.1~82.0%를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구성비율은 63.2~72.4% : 13.2~19.5% : 14.4~18.5%이었다. 단백질은 권장량의 79.4%~98.5%의 섭취량을 보였으나, 칼슘, 철,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비타민 C 등은 권장량보다 낮은 섭취를 보이는 주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 대상자의 18.5%가 점심을 결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끼 평균 4.0~9.3가지, 하루 평균 10.9~14.9가지의 식품을 섭취하고 있었다. 4) 해당 영양소의 결핍이 우려되는 수준인 영양권장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는 주민의 비율이 단백질이 34%, 칼슘 71%, 철분 47%, 비타민 $B_{1}$ 30%, 비타민 $B_{2}$ 30%, niacin 30%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Nutrition Survey of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Los Angeles, California (미국 캘리포니아주 나성에 거주하는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영양실태조사)

  • Kim, Seong-A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15 no.1
    • /
    • pp.54-61
    • /
    • 1982
  • 나성의 한국 이주민의 자녀로서 사춘기에 문화권을 바꾸는 경험을 갖은 57인의 중고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조사는 대상자의 1 ) 일반적 특성의 파악 2 ) 식습관 및 기호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3 ) 영양지식 및 그들 어머니의 영양지식 조사 4 ) 영양실태 조사를 통하여 식생활의 변화 및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영양실태 조사는 24-hour diet recall 방식에 의하여 기본 4군, meal pattern 및 영양소를 추산하여 한국과 미국의 RDA와 비교하였다. 위의 실태조사 결과를 요약해 보면 ; 1) 한국전통음식인 밥과 김치는 저녁식사시 모두 섭취하고 있으나 아침, 점심은 미국식단의 사용율이 높았다. 기호도 조사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미국음식보다 한국음식을 더 좋아한다고 하였다. 2) 여학생은 아침식사, 남학생은 저녁식사가 불규칙하였다. 3) 여학생은 풍부한 과일의 섭취가, 남학생은 우유의 섭취가 한국에서의 식습관에 비해 그들의 건강을 위해 좋다고 하였다. 4) 영양지식의 근원은 어머니로부터가 가장 높았다. 여학생들은 철분의 근원식품에 관한 지식이 남학생보다 부족했으며, 균형된 식단의 선택 접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다. 5) 기호조사 결과에 의하면 가장 싫어하는 식품은 간, 칠면조, 돼지고기, 고형 요구르트, 아보카도, 올리브 등이었고, 한번도 먹어보지 않은 식품은 부로콜리, 우설, 양고기, 망고, 탈지분유 등이었다. 이들 어머니의 기호조사 결과는 자녀들과 흡사하였으나 어머니들은 미국식품 중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은 식품의 수가 그들 자녀보다 많았다. 6) 24시간 diet recall 방법의 분석에 의하면 결핍된 영양소는 열량, 철분, 비타민 A였다.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는 현저하였으나, 낮은 열량의 섭취는 이주민의 자녀의 불규칙한 식습관의 일면과 동시에 우리나라 남학생들의 조리방법의 미숙한 면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