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보강콘크리트

검색결과 925건 처리시간 0.029초

화음탐색법을 이용한 강섬유 및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설계 (Optimized Mix Proportioning of Steel and Hybrid Reinforced Concrete Using Harmony Search Algorithm)

  • 이치훈;이주하;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51-159
    • /
    • 2006
  •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휨성능이 월등히 우수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이에 대한 명확한 배합설계 지침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강섬유를 2종이상 동시에 혼입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최근에 들어서야 그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도 배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최적화 기법인 화음탐색법을 이용하여 강섬유 및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검증 실험을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높였다. 이는 현장 시험 배합횟수의 감소 및 배합설계의 편의성 향상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실험 결과 동일한 강섬유 혼입률이라 하더라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가 일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다 휨강도 및 휨인성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프로그램 상에 추가 반영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연구 초기 단계에 있는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 특성을 파악하는데에도 향후 연구의 발판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지속적인 실험 및 연구로 보완이 된다면 보다 더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섬유혼입률이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인장연화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ber volume fraction on the tensile softening behavior of Ultra High Strength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 강수태;박정준;이시영;박건;홍기남;김성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421-424
    • /
    • 2008
  •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역학특성은 높은 인장강도와 균열 이후의 높은 연성발현을 들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혼입률의 변화에 따른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인장연화 특성을 시험적으로 규명하고, 시험결과를 토대로 FEM 해석을 통해 변형성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인장 연화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은 강섬유의 혼입률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의 초기강성을 나타내었으며, 강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연화거동은 취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치낸 보에 대한 3점 휨실험 결과를 토대로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인장연화곡선을 얻기 위해 Uchida 등이 제안한 역해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섬유혼입률과 임계균열폭의 함수로서 인장연화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다발형 폴리아미드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Bundle Type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 Jeon, Chan Ki;Jeon, Joong Kyu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61-70
    • /
    • 2014
  • 일반적으로 건설재료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기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섬유 자체의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낮지만, 휨거동, 균열에 대한 저항성 및 충격저항성 등의 특성은 우수하며,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부식의 우려가 없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 해외에서는 유기섬유 보강재를 터널 숏크리트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라이닝, 교량 슬래브 및 PC제품 분야에서 일부 활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발형 폴리아미드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휨거동 특성을 ASTM C 1609 및 KS F 2566에 준하여 하중-처짐 관계를 도출하여 유기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고온을 받은 나일론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거동 (Creep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with Nylon Fibers at Elevated Temperatures)

  • 김영선;이태규;김우재;김규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27-636
    • /
    • 2011
  •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방지용 보강 섬유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대신하여 나일론 섬유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고온에 노출된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및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온을 받은 나일론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주로 폭렬 특성,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에 대한 평가만이 수행되고 있으며, 열팽창 변형, 전체 변형, 크리프 변형 및 과도 변형과 같은 거동은 평가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W/B 0.30~0.15에 따른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열팽창 변형, 전체 변형, 크리프 및 과도 변형 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나일론 섬유는 고온을 받은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성능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으며, 나일론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는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보통 강도 콘크리트보다 큰 과도 변형을 나타냈다.

UHPCC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평가 (Evaluation on Flexur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Ultra-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 강수태;박정준;고경택;김성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81-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HPCC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를 평가하였고, 낮은 철근비로 보강된 RC보를 포함한 휨 실험을 통해 기존의 섬유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예측식과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였다. 또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서 섬유 보강을 통한 보강철근의 대체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ACI 544 위원회에서 제시하는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보강 보의 휨강도 예측식은 압축강도 150MPa 이상의 UHPCC에 대해서는 잘 일치하지 않으며, 특히 철근비 1.5% 이하의 저보강 철근보에 대해서는 상당히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보의 휨내력 증가 효과는 저보강 철근보에서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강섬유의 특성과 철근비를 고려한 철근대체 효과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AFRP 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의 충격 특성에 관한 연구 (Impact Characteristics of AFRP Reinforced Concrete Slab)

  • 박승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92-500
    • /
    • 2018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근거로 충격하중 재하시 신소재 섬유로 보강한 콘크리트 슬래브 거동을 연구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알루미늄 섬유를 이용한 AFRP로 보강한 콘크리트 슬래브 중앙의 강재를 자유낙하 시켰을 때 충격실험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신소재를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재로 이용하는 연구는 정적 하중하에서 휨 및 전단에 관한 연구나 반복하중 하에서 피로하중에 관한 연구와 PC 보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등이 많이 보고 되고 있다. 결론: 신소재를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근으로 이용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섬유로 보강된 조립상 AFRP 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여 동적거동에 대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및 휨 거동 역학적 특성 (Material Properti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Flexure of Steel Fiber-Reinforced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 김경철;양인환;조창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77-185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의 부재의 휨거동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 강섬유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150 MPa이다. 부피비 1.5%의 하이브리드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휨거동 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 및 인장거동 재료 특성은 구조거동 예측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하중-균열개구변위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인장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하이브리드 강섬유 보강 UHPC는 균열제어에 유리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강섬유 보강 UHPC 보의 연성지수는 1.6~3.0을 나타내어 연성거동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모멘트-곡률 관계 측정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휨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UHPC 보에 대한 휨강도 예측결과는 측정 휨강도를 다소 과다평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 재료 및 휨 거동 모델링 제안기법에 의해 압축강도 150 MPa 급의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합리적인 휨성능 예측이 가능하다.

아라미드섬유 및 탄소섬유 시트로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보의 전단특성

  • 구봉근;김태봉;김창운;류택은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7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5-169
    • /
    • 1997
  • 기존 구조물의 보강을 하는 데는 휨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하여 충분한 보강 효과를 가지는 것과 함께 시공성을 만족해야만 한다. 현재 연속 섬유시트 중 아라미드섬유시트(AFS) 및 탄소섬유시트(CFS)는 기존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합리적인 보강설계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적절한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AFS 및 CFS에 의해 RC보의 적절한 보강을 위해서는 AFS 및 CFS를 이용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설계방법의 구축이 급선무이다. (중략)

  • PDF

타격식 앵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의 보강특성 (Reinforcing Characteristics of Hybrid Fiber Composite Fixed with Impact Anchor)

  • 하상수;최동욱;이진용;김동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53-456
    • /
    • 2008
  • 섬유보강재는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고강도이며, 또한 강도에 대한 중량비(섬유보강재의 중량은 보강철근의 약 1/4정도)가 매우 낮아서 구조물 및 내하력이 저하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에 따른 추가적인 중량의 증가 없이 보강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섬유보강재는 하중을 가하면, 최대 응력점까지 응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파괴되는 취성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섬유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화된 섬유보강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는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혼합하여 바 형태로 제작했으며, 유리섬유에 대한 탄소섬유의 체적비는 약 9 : 1로 구성이 된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를 타격식 앵커를 사용하여 시험체를 보수한 다음 인발 및 휨 시험을 실시하여 정착앵커의 수에 대한 시험체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타격식 앵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로 보강된 구조물의 보강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 PDF

고성능 섬유쉬트를 부착시킨 경량 프리캐스트 복합패널로 보강된 RC보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s of RC Beams Strengthened by Light Concrete Precast Composite Panel with an Advanced Fiber Sheet)

  • 안상호;윤정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83-491
    • /
    • 2002
  • 본 연구는 경량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패널에 고성능 섬유쉬트를 접착시킨 복합패널로 철근 콘크리트 보 하부에 휨 보강하여 보강보의 구조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보강보의 구조적 고찰은 항복하중, 최대하중, 각 하중에서 처짐 그리고 휨강성과 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9개 보를 실험하여 복합패널로 보강한 경우에 휨강도가 균일되게 향상됨을 보였다. 또한 실험결과 복합패널로 보강한 철근 콘크리트 보는 구조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보였고, 섬유쉬트 부착공법으로 보강된 보와 비교할 경우에도 보강보의 강도가 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