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모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9초

해양 섬모충플랑크톤 정량과 정성분석의 현실적 접근 (Practical Approach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Marine Ciliate Plankton)

  • 김영옥;김선영;최정민;김재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3호
    • /
    • pp.248-262
    • /
    • 2021
  • 섬모충플랑크톤은 크게 두 분류군, 세포가 피갑(lorica)에 에워 쌓여 있는 유종섬모류(tintinnids)와 피갑(lorica)이 없는 소모류(oligotrichs)로 대별하고 있다. 국내에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분류학적 연구는 비교적 종 동정이 용이한 유종섬모류를 대상으로 먼저 시작되었고, 분류기준인 피갑의 가변성 때문에 분류학적 문제점은 있으나, 현재까지도 주로 피갑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종을 구별하여 생태·생리학적 연구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소모류의 경우, 세포염색을 통한 섬모열의 정밀한 특징으로 종을 구별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소모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2000년 이후에 비로소 국내에 소개되었다. 최근 분석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섬모충의 분류체계와 종 정보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고 이를 반영하여 국내 해양에서 출현하는 주요 섬모충플랑크톤 종류가 새롭게 정리되어 도감으로 출간되었다. 섬모충플랑크톤은 동물플랑크톤의 질 높은 먹이원이 되는 동시에 초미소(pico)와 미소(nano)플랑크톤의 포식자로서 해양 미세먹이망에서 중요한 중간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생태계에서 섬모충플랑크톤의 역할은 새로운 주제가 아닌, 현재는 해양생태학의 보편적 지식으로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현장 모니터링 방법과 실험실 분석의 과학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획득된 자료로써 그 신뢰성을 확보함은 국내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발전에 크게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유종섬모류 동일종의 피갑변이, 세포염색에 의한 소모류의 정량·정성분석, 유전자 분석결과의 자료비교, 생태학적 정보비교, 섬모충플랑크톤 현장채집 방법을 제안하며, 현실적 수용가능 범위를 설정하여 섬모충플랑크톤 모니터링의 정도관리를 위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가중 위치값을 응용한 섬모 진동 주파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ing Ciliary Beat Frequency Using the Weighted Average)

  • 김영회;홍영택;최태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9-652
    • /
    • 2006
  • 폐나, 기관지 등의 호흡기, 기타 장기에는 매우 미세한 크기의 털 형태의 섬모라고 하는 부속기관을 가지고 있다. 점액을 이동시키고 기타 물질들을 배출할 때 유용한 역할을 하는 이 섬모들은 동기화된 패턴으로 진동을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각각의 종이 가진 특성뿐만 아니라, 같은 종의 현재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시약 투여 시 혹은 환경 변화에 따른 생체 반응 등과 같이 다양한 특성 및 반응 연구에 이러한 섬모의 진동 주파수 (Ciliary Beat Frequency, CBF)를 이용하고 있다. 섬모의 진동 주파수 측정에 대해 몇몇 연구가 있어왔으나, 규격화되거나 대표적인 방법은 아직까지 없으며, 각각의 방법마다 잡음에 약하든지, 빠르게 움직이는 섬모의 주파수 측정에 어려움이 있거나, 고비용 시스템 필요 등의 단점들이 있다. 최근 들어 영상 기술의 발달로 영상을 이용한 CBF 측정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CD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해서 섬모의 영상에서 가중 평균을 응용한 위치 값으로 섬모의 움직임을 추출, FFT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며 좀 더 다양한 영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CBF 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 PDF

한국산 Epistylis속 섬모충류의 2미기록종(섬모충문: 소막충강: 주모목) (Two Newly Recorded Epistylis Ciliate Species (Ciliophora: Oligohymenophora: Peritrichida) from Korea)

  • Youn Kyung Cho;Mann Kyoon Sh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37-244
    • /
    • 2003
  • 울산 인근의 연못 가장자리 수초에서 채집된 섬모충류가 겹가지섬모충과 (Epistylidae)에 속하는 겹가지섬모충(Epistylis plicatilis Ehrenberg, 1831)과 빈겹가지섬모충 (E. hentscheli Kahl, 1935)으로 각각 동정되어 재기재하였다. 이 종들은 한국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들로서 생체표본과 protargol로 염색한 표본에 근거하여 재기재하였다. 원기재와 유사종들과 비교하였는데 겹가지섬모충 (E. plicatilis)은 가늘고 긴 깔대기 형태를 가지며 줄기는 근섬유로 속이 찬 형태이다. 반면에 빈겹가지섬모충 (E. hentscheli)는 비대칭의 종 모양을 띠며 줄기는 속이 텅 빈 형태이다.

시화호에서 하계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 홍현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65-271
    • /
    • 2014
  •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섬모충류의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 실험을 병행하였다. 희석실험에서 섬모충류는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104%를 하루에 소비하였으나, 요각류 Acartia sinjiensis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섬모충류의 초식압은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초식자인 $>20{\mu}m$ 빈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형동물플랑크톤에 의해 섬모충류의 개체수가 강하게 지배되는 시기에는 섬모충류의 실제 초식압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화호에서 요각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춘계와 하계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되며,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레이저 산란 기법을 이용한 인체 기도 내 섬모 운동 신호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iliary Beat Frequency in Human Respiratory Tract n Vivo)

  • 이원진;이재서;이재서;이철희;권태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9-344
    • /
    • 2000
  • 기도에 존재하는 섬모는 인체의 방어기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섬모운동의 장애는 여러 가지 기도질환을 유도하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도 내 섬모의 운동을 생채 내에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섬모 운동 주파수(ciliary beat frequency, CBF)를 autoregressive(A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하였다. 생체 내에서 운동하고 있는 섬모의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레이저와 광섬유 프루브를 사용하는 광전신호(photoelectric signal)방법을 응용하였다. 섬모운동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 빛은 광섬유 프루브에 의해 탐지되어 포토 다이오드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된다.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PC로 전송된 디지털 섬모운동 신호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며 AR 스펙트럼 방법에 의해 실시간으로 CBF가 결정될 수 있다. 인체의 비강 중비갑개 전단부(anterior end of middle turbinate)에서 직접적으로 프루브를 적용하여 획득된 신호를 분석하였다. 8명의 정상인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CBF는 5에서 10Hz 사이에서 분포했으며 평균적으로 7.3$\pm$1.1Hz 값을 나타냈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CBF 값과 유사한 결과이며 측정된 값들의 표준편차도 또한 보고된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약물에 대한 섬모운동의 영향 및 질별 발달 과정에서의 섬모 운동의 변화 분석 등의 임상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ana pipiens에서 호르몬이 난자운반에 미치는 영향 (Hormonal Effects on Egg Transportation in Rana pipiens)

  • 엄재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1호
    • /
    • pp.1-6
    • /
    • 1974
  • Rana pipiens의 난자운반은 섬모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섬모운동은 배란시에 분비되는 난소호르몬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저자는 이러한 난자운반이 순전히 난소호르몬에 의존하는가 난소호르몬 이외의 기타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인가 또는 난소호르몬 없이도 수행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려고 본 실험을 시도하였다. 난관 적출된 개구리에 배란을 유도시켜 얻어진 복강난자를 난소적출을 실시한 암 Rana pipiens의 복강내에 이전시킨 대조군과 이전 직후 뇌하수체, 뇌하수체와 progesterone, progesterone, FSH, LH 또는 estrogen 등을 각각 주사시킨 각 호르몬 투여군의 6군으로 나누고 이식한 난자들에 대한 각 호르몬의 효과를 관찰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적출 Rana pipiens에 배란된 난자를 이식시키면 이식체내에서 난자운반이 진행되었다. 2. Progesterone, estrogen, FSH, LH 및 progesterone과 뇌하수체 호르몬 투여군의 난자운반은 대조군과 비슷한 현상을 보여 주었으므로 이들이 섬모운동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았으나 뇌하수체 호르몬은 섬모운동과 난관투입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었다. 3. 난자의 난관으로의 진입은 복강내에 난자수가 일정량(약 200)에 다달아야 이루어졌다. 4. 난소적출 개구리에서의 난자운반 진행상황으로 보아 난소가 섬모운동, 난자운반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았으며 섬모운동을 일으키는 요인은 복강내에 있는 난자 자체가 어떤 액성물질을 분비하는 것으로 고찰하였다.

  • PDF

한국산 2미기록종, 원반겹가지섬모충과 술병겹가지섬모충(섬모충문: 소막충강: 주모목) (Two Newly Recorded Epistylid Ciliates, Epistylis chrysemydis and E. entzii (Ciliophora: Oligohymenophora: Peritrichida) in Korea)

  • 윤재술;신만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99-107
    • /
    • 2004
  • 울산 인근의 하수처리장에서 채집된 섬모충류가 겹가지섬모충과(Epistylidae)에 속하는 원반겹가지섬모충 (Epistylis chrysemydis)과 겹가지섬모충 (Epistylis entzii)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이 종들은 DIC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체관찰하였으며, Protagol로 염색하여 세부형질을 관찰하였다. E. chrysemydis는 위구부의 위구순에는 2개의 bulge가 있으며, 섬모열은 위구부에서 11/2바퀴를 돌고, 1개의 수축포는 배쪽에 위치하며, 줄기가 텅 비어 있는 형태이다. 구부막판 1과 3의 끝이 구부막판 2보다 길다. 반면에 E. entzii는 위구부의 위구순에는 1개의 bulge가 있으며 섬모열은 위구부에서 11/4-11/3바퀴를 돈다. 수축포는 등쪽에 위치하며 줄기는 꽉 찬 형태이다. 구부막판 1과 2의 끝이 구부막판 3보다 길다. 이종들은 한국에서 처음 보고된다.

자주복 Takifugu rubripes에 침투한 스쿠티카섬모충의 형태와 감염어의 외부증상

  • 강법세;나오수;이영돈;이정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38-539
    • /
    • 2001
  • 자주복(Takifugu rubripes)은 높은 부가가치의 양식품종인 어류이나 이빨이 날카로워 그물을 절단하거나 서로 깨물어 상처를 입히고, 사육시에 공식현상이 타 어종에 비해 심하기 때문에 치어사육 및 양성시 2∼3회에 걸쳐 이빨을 절단하여 사육하는 양식이 까다로운 종이다. 자주복 양성 중에 스쿠티카섬모충(scuticociliates)의 감염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 최근에 들어 양성중인 다른 해산어류에서도 스쿠티카섬모충의 감염이 대량폐사 원인으로 되어 있어 이들 섬모충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중략)

  • PDF

기관지 천식 환아에서의 점액섬모 청소율(Mucociliary Clearance) (Mucociliary Clearance in the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 이명현;선용한;남승곤;고영률;정준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73-181
    • /
    • 1996
  • 연구배경 : 점액섬모 청소율의 저하가 천식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생각되어 왔다. 실제로 직접적인 기관지 내시경 검사 또는 핵의학적 검사를 이용하여 시행한 연구에의 성인의 기관지 천식에서 점액성모 청소율의 저하가 있으며 천식 증상의 정도와 임상 상태에 따라 점액섬모 청소율이 변화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소아 천식 환자에서 점액섬모 청소율의 저하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의 저하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고자 경증의 안정된 천식 환아군, 대표적 섬모 운동 이상질환인 비운동성 섬모 증후군 환이군 그리고 정상 대조군에서 점액섬모 청소율 스캔을 시행하였다. 아울러 천식 환아에서 기도과민성의 지표인 $PC_{20}$과 점액성모 청소율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3명의 경증의 안정된 천식환아와 8명의 비운동성 섬모증후군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10명의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점액섬모 청소율은 방사능 분무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무제로는 $^{99m}Tc$으로 표지된 Tin colloid를 사용하였고 nebulizer를 통해 생성하였고 흡인은 자발 호흡을 이용하여 mouthpiece를 통하였고 흡입한 후 gamma camera로 흡입직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각각 잔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점액섬모 청소율은 각 시간에 따른 잔류 방사능량을 기저 방사능량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천식 환아의 $PC_{20}$은 methacholine Chai등에 의한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하였다. 결과 : 1) 모든 대상군에서 잔류 방사능 비율은 시간에 따라 저하되었다. 2) 30분, 60분 90분의 잔류 방사능 비율은 비운동성 성모 증후군 환아군, 천식 환아군, 정상 대조군 순이었으나 통계상으로는 비운동성 섬모 증환아군과 정상 대조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2시간 잔류 방사능 비율을 비교하였는데 천식환아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비운동성 섬모 증후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4) 천식 환아에서 $PC_{20}$을 잔류 방사능 비율과 비교하였는데 $PC_{20}$과 잔류 방사능 비율과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 : 점액섬모 청소율은 소아 천식 환아에서도 정상보다 저하되어 있었다. 이런 소견에서 정액섬모 청소율의 저하가 소아 천식에서도 성인에서와 마찬가지로 병태생리에 중요한 인자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아 천식 환아에서의 점액섬모 청소율의 저하의 정도는 비운동성 섬모 증후군 환아에 비하여 심하지 않았다.

  • PDF

조상아세포내(造象牙細胞內) 나타나는 원형섬모(原形纖毛)의 미세구조(微細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RUDIMENTARY CILIA IN ODONTOBLASTS OF THE MOUSE DENTAL PULP)

  • 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6권1호
    • /
    • pp.87-92
    • /
    • 1980
  • 생쥐 치수내 조상아세포의 미세구조연구 중에 종종 보게되는 원형섬모의 미세구조와 이들의 가능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1. 상아질형성물질을 분비하는 기능을 가진 조상아세포내 2가지 다른 형태의 원형섬모가 발견된다. 2. 조상아세포내 2개의 Basal Centriole을 가지고 있으면서 아마 중앙에는 쌍으로 된 microtuble이 없고 쌍으로 된 9개의 말초섬유를 가진 형태의 원형섬모는 조상아세포와 치수내 말초신경 사이에 일어나는 지각 기능에 관여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3. 다른 한형태의 섬모, 즉 한개의 Centriole을 가지고 있으면서 쌍으로된 9개의 말초섬유를 가진 섬모는 조상아세포에서 분비된 상아질 형성물질을 움직이게 하는 이동가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