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치 작업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29초

WORK BARGE 선의 냉동.공조 SYSTEM (HVAC & Refrigeration System for Work Barge Vessel)

  • 남임우;정재천;김봉제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83-590
    • /
    • 2008
  • 최근 작업자 숙소 및 이송용 외에 작업용으로 사용 가능한 Barge선의 일종인 Accommodation Work Barge 선의 건조량이 증가 추세인 바 현재 중국에서 건조 중인 해당 선박의 HVAC & Refrigeration system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 시스템은 R404A Direct expansion 냉각방식 (직접팽창방식)이 적용되었으며 HVAC system 중 Air conditioning 부분에 대해서는 선박의 각 Deck 기준으로 Zoning 하여 개별적인 Air handling unit와 Condensing unit를 구성하였으며 (각 unit의 용량은 필요용량의 100%), 냉동 창고의 Refrigeration system은 해당 격실 (육고, 어고, 야채고)에 각각 Unit cooler를 설치하고, Condensing unit를 기계실에 설치하였다. 장비는 전체 용량 100%에 대하여 항시 운전하는 100% 용량의 장비와 비상시에 운전하는 100% 용량의 예비 장비로 구성된다. 냉동 창고에 인접한 Dry provision store는 냉동 창고와는 별개로 중앙 공조기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Spot cooling하였다. 본 System의 구성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은 아래와 같다. 1. Air conditioning system이 각 Zone에 대하여 구성되므로 각 Zone에 대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2. Air con. 실에 Air handling unit와 Condensing unit가 설치되므로 냉매 배관의 길이가 짧다. 3. Air con. 실에 Air handling unit와 Condensing unit가 설치되므로 실내의 Maintenance space 상에 여유가 없다.

  • PDF

물류센터내 이동랙의 최적 관리 방법 연구 (A Study for Optimum Management using Mobile-Rack in Distribution Center)

  • 신재영;박형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1-252
    • /
    • 2015
  • 최근 창고가 자동화됨에 따라 국내 창고업계에서는 작업효율은 물론 보관효율을 극대화하는데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로인해 주목받는 기술이 바로 랙과 랙 사이에 입출고 작업을 위한 통로공간을 없애고, 각 랙마다 이동가능한 바퀴 혹은 레일을 설치, 동기화하여 DEAD SPACE를 최소화하는 이동랙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저온($-50^{\circ}C$) 창고에 이동랙을 설치하였을 경우 이를 최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동랙의 경로와 작업차량의 경로를 동기화하고 계절적 품목 우선순위를 고려해 보관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추가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검증한다.

  • PDF

해사채취 선박에 설치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Seawater-Overflow Reduction Device Installed on a Sand Dredging Vessel)

  • 권철휘;이남도;장규상;김인수;정백훈;강훈;권민선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5호
    • /
    • pp.245-256
    • /
    • 2009
  • 해사채취 선박에 설치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월류수 저감장치가 설치된 선박과 설치되지 않은 선박의 작업시 부유사 농도를 관측 비교하였다. 부유사 관측결과 월류수 저감장치가 설치된 선박과 설치되지 않은 선박의 작업시 부유사 농도는 부유사 발생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km 정점부터 배경농도와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월류수 저감장치의 사용여부에 따른 부유사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부유사의 저감효율은 52.9~65.5%(평균 60.8%)로 조사되었다. 또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은 중층에서 평균 62.6%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부유사 관측 결과만으로 월류수 저감장치의 부유사 저감효율을 산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관측 결과 나타난 월류수 저감장치의 부유사 저감효과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월류수 저감장치는 해사채취시 부유사 저감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추후 월류수 저감장치 여과망의 여과효율 등 여러 인자들과의 상호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사채취 선박에 설치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을 도출할 예정이며 해사채취 대상해역의 정기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지진감시설비의 과도진동에 대한 원인 분석

  • 주광호;전규식;이종림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4)
    • /
    • pp.352-358
    • /
    • 1996
  • 원자력발전소의 지진에 대한 절대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된 지진감시설비망에 과도진동이 유발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여,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울진1,2호기 배관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속도계 및 응답스펙트럼기록기에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인위적인 충격이나 배관진동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개연성을 밝혀 내고 이러한 지진감시설비의 개선 및 적합한 설치장소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국내 가선집재 작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fficiency Analysis of Cable Logging Operation in Korea)

  • 유중원;한희;정주상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6호
    • /
    • pp.35-4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가선집재 작업 현장 실태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작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집재 작업의 설계와 가선 설치의 공학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로 인해 손실되는 생산성과 증가되는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가선집재 설계 시 현장의 지형적 입지여건과 공학적 안전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대부분 가선의 처짐(deflection)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시간 당 생산성이 최대 65%까지 감소하고, 집재비용이 2배 이상 증가되어 전반적인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에서 가선집재 작업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작업 안전과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가선의 설치와 장비의 운용, 불필요한 생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장 기술의 보급이 필요하다.

ARC-NUCLEART연구소의 보존, 복원, 멸균작업

  • 자크 뒤셴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2년도 제16회 추계학술대회 및 국제학술강연회
    • /
    • pp.31-40
    • /
    • 2002
  • 1. 프랑스의 문화재보존과 복원 연구소 조직 현황소개 2. ARC-NUCLEART연구소 소개-연구소에서 문화재 보존을 위해서 사용 기술소개 - 지상과 해양의 고고학 발굴시 젖은 목재와 가죽작품 건조작업, 강화작 업, 보수작업 수행 -목재문화재 (조각상, 가구, 사적 바닥마루), 멸균 및 강화처리 - 가죽문화재의 복원 3. 연구소 시설 4. 화재 자질의 파손상태파악과 고고학가치의 목재와 가죽작품 보존 방법에 대한 연구 수행 5. ARC-NUCLEART에서 보존, 복원하는 문화재의 처리 용례 아크 뉘클레아르(ARC Nucleart)의 감마선조사기 설치

  • PDF

1999년 석유수요 전망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11호통권209호
    • /
    • pp.34-37
    • /
    • 1998
  • 이 보고서는 대한석유협회에 설치된 석유수요전망위원회가 실무작업반의 공동작업을 거쳐 확정한 1999년 석유수요 전망에 대한 내용이다. <편집자 주>

  • PDF